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식품영양학/조리
· ISBN : 9788959969975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2-06-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PART 1 쌀
전래와 농경의 시작
고려~조선시대 권농정책
일제의 쌀 수탈
해방과 혼분식
쌀의 자급자족
PART 2 밥
쌀밥
보리밥과 콩밥
국밥
비빔밥
주먹밥과 김밥
죽
누룽지와 숭늉
PART 3 면
국수
칼국수와 수제비
메밀국수
냉면
당면과 잡채
PART 4 김치
민족의 음식
김장문화
김치의 종류
장아찌와 짠지
PART 5 소고기
우금령
불고기
갈비
로스구이
육회와 곱창
PART 6 돼지고기
돼지의 역사적 의미
삼겹살
돼지갈비와 제육볶음
보쌈
PART 7 닭고기
전래와 수용
백숙과 닭한마리
닭도리탕과 찜닭
달걀
PART 8 그 밖의 육류
육식문화의 전통
양고기와 말고기 그리고 사슴과 노루
꿩고기와 오리고기
PART 9 물고기
물고기 이름 ‘치’
물고기 이름 ‘어’
민물고기
민물과 바다를 오가는 물고기
말려먹는 물고기
그 밖의 물고기들
회
매운탕
PART 10 수산물
조개
오징어와 문어
낙지와 주꾸미
게와 대하
해삼과 멍게 그리고 개불
PART 11 채소
채소의 의미
잎줄기채소
열매채소
뿌리채소
버섯
콩나물과 숙주나물
구황식물
PART 12 과일
인과류
준인과류
장과류
핵과류
견과류
과일 또는 채소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조선시대 소고기의 또 다른 이름은 먹는 것이 금지된 고기, 즉 금육이었는데, 다른 한편으로는 도림(桃林)이라고도 했다. 중국의 주 무왕이 은나라 요새였던 도림에 소를 놓아 키웠다는 데서 도림이 소고기를 가리키는 말이 된 것이다. 먹지 못한 소고기를 이처럼 풍류적으로 불렀다는 사실은, 조선시대인들이 다른 어떤 육류보다 소고기를 좋아했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