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방, 골수, 제대혈 성체줄기세포

지방, 골수, 제대혈 성체줄기세포

(2012 우수과학도서 선정도서)

박철원 (지은이)
에세이퍼블리싱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18,000원 -10% 0원
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1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지방, 골수, 제대혈 성체줄기세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지방, 골수, 제대혈 성체줄기세포 (2012 우수과학도서 선정도서)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의학
· ISBN : 9788960236820
· 쪽수 : 294쪽
· 출판일 : 2011-10-10

책 소개

의과학자의 관점으로 난치성 질환 발병과정을 통찰함으로써 매우 정확하고 쉽게 서술되었다. 간엽줄기세포가 어떻게 난치성 질환 치료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지 학문적 근거를 토대로 정확하게 풀어놓았다.

목차

머리말 ·04

제1부 서론: 줄기세포, 면역반응 그리고 약리효과 ·17
STEP 01 ┃ 줄기세포 ·18
1. 배아줄기세포와 성체줄기세포
2. 간엽줄기세포
3. 간엽줄기세포의 놀라운 약리효과 포착
4. 요점

STEP 02 ┃ 면역과 염증반응, 섬유화 그리고 간엽줄기세포 ·29
1. 면역세포의 소통 방법: 분비되는 면역제어 인자와 수용체
2. 면역계의 꽃들: 자연 및 획득 면역세포
3. 획득면역을 제어하는 면역세포: 보조 T 세포와 억제 T 세포
4. 과다면역 질환과 간엽줄기세포
5. 손상된 조직 복구와 섬유화 그리고 간엽줄기세포
6. 요점

STEP 03 ┃ 간엽줄기세포의 약리효과 ·47
1. 많은 종류의 강력한 면역억제제를 생산하는 대형공장
2. 섬유화 억제에 필요한 많은 생리제어 인자를 생산하는 대형공장
3. 혈관재생에 필요한 많은 생리제어 인자를 생산하는 대형공장
4. 손상된 조직복구에 필요한 많은 생리제어 인자를 생산하는 대형공장
5. 요점


제2부 난치성질환과 간엽줄기세포 ·55
STEP 04 ┃ 아토피 피부염과 간엽줄기세포 ·56
1. 약해진 피부 방어벽
2. 특이한 면역계
3. 기존 및 미래 치료법
4. 요점

STEP 05 ┃ 만성신장병과 간엽줄기세포 ·70
1. 신장 구조
2. 신장병의 원인과 발병 과정
3. 기존 치료 방법과 한계
4. 만성신장병 치료제로서 간엽줄기세포
5. 요점

STEP 06 ┃ 간경변증과 간엽줄기세포 ·87
1. 주요 간 기능과 구조: 간세포와 혈관과의 밀애
2. 간 재생 능력
3. 간경화의 원인과 발병 과정
4. 미래 치료법: 간엽줄기세포 투여
5 간엽줄기세포 투여 때 고려할 사항
6. 요점

STEP 07 ┃ 당뇨병과 간엽줄기세포 ·103
1. 인슐린: 혈당강하의 필수 호르몬
2. 제1형 및 제2형 당뇨병
3. 정상인과 당뇨병 환자의 혈당패턴
4. 당뇨 합병증의 발병 이유
5. 주요 당뇨병 치료 방법
6. 당뇨병과 각종 줄기세포
7. 요점

STEP 08 ┃ 급성심근경색과 간엽줄기세포 ·121
1. 심장구조와 관상동맥
2. 심근세포와 주변조직
3. 급성심근경색 후 손상된 심장조직 리모델링
4. 급성심근경색과 간엽줄기세포
5. 요점

STEP 09 ┃ 척수손상과 간엽줄기세포 ·135
1. 척수를 이루는 세포
2. 척수 구조
3. 척수손상
4. 척수손상 후 이차적 손상 발생
5. 척수손상 후 재생이 어려운 이유
6. 척수손상 치료
7. 척수손상과 간엽줄기세포
8. 요점

STEP 10 ┃ 뇌졸중과 간엽줄기세포 ·155
1. 뇌와 뇌신경세포
2. 시냅스: 뇌신경세포가 서로 접하여 정보를 주고받는 지점
3. 시냅스, 신경회로 그리고 기억
4. 신경유연성
5. 뇌졸중과 뇌신경세포 파괴, 시냅스 파괴, 신경회로 파괴
6. 뇌졸중과 재활운동
7. 뇌졸중과 간엽줄기세포
8. 요점

STEP 11 ┃ 퇴행성관절염과 간엽줄기세포 ·173
1. 연골성분 및 기능
2. 연골을 만드는 세포: 연골세포
3. 퇴행성관절염의 발병과정
4. 퇴행성관절염 패취제의 두 얼굴
5. 기존 치료방법과 한계
6. 퇴행성관절염과 간엽줄기세포
7. 요점

STEP 12 ┃ 류머티즘 관절염과 간엽줄기세포 ·189
1. 발병 과정
2. 기존 치료 방법과 한계
3. 류머티즘 관절염과 간엽줄기세포
4. 요점

STEP 13 ┃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과 간엽줄기세포 ·200
1. 장조직의 방어벽: 점액층과 상피세포
2. 장조직의 방어벽 손상과 장내 세균 침투
3. 면역계 이상
4.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과 간엽줄기세포
5. 요점

STEP 14 ┃ 전신 홍반성 루푸스와 간엽줄기세포 ·210
1. 발병 과정
2. 루푸스 환자가 햇볕에 약한 이유
3. 기존 치료법
4. 전신 홍반성 루푸스와 간엽줄기세포
5. 요점

STEP 15 ┃ 다발성 경화증과 간엽줄기세포 ·220
1. 발병 과정
2. 기존 치료법
3. 다발성 경화증과 간엽줄기세포
4. 요점

STEP 16 ┃ 이식편대숙주 질환과 간엽줄기세포 ·232
1. 이식편대숙주 질환이란?
2. 주조직적합성 항원 일치에도 이식편대숙주 질환 발생 가능
3. 이식된 공여자 조혈모세포와 T 세포 운명
4. 기존 치료법
5. 이식편대숙주 질환과 간엽줄기세포
6. 요점


제3부 간엽줄기세포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논란 ·245
STEP 17 ┃ 간엽줄기세포와 암세포 ·246
1. 간엽줄기세포가 암세포로 변한다는 주요 연구결과 번복
2. 간엽줄기세포가 기존 암세포의 증식을 제어할 가능성
3. 간엽줄기세포의 계속적 투여는 면역력 약화를 야기할 수 있다
4. 요점

STEP 18 ┃ 간엽줄기세포는 모세혈관을 막는 보릿자루가 아니다 ·253
1. 펄라니 등의 연구결과
2. 간엽줄기세포는 모세혈관보다 크지만……
3. 설익은 연구결과 인용 보도로 찬물 끼얹기
4. 요점

STEP 19 ┃ 간엽줄기세포는 타인의 면역공격을 회피한다 ·260
1. 조직이식 후 면역거부반응의 주범: 주조직적합성 항원
2. 간엽줄기세포의 면역공격 억제 방법: 면역회피와 면역억제
3. 간엽줄기세포가 심근세포로 분화될 경우
4. 요점

STEP 20 ┃ 간엽줄기세포의 양면성: 지킬박사와 하이드 ·267
1. 간엽줄기세포는 명약
2. 간엽줄기세포는 독약
3. 외국에서 간엽줄기세포 투여 받을 경우 따져야 할 사항
4. 요점

STEP 21 ┃ 줄기세포 연구논문과 맹신 ·275
1. 과학저널에 발표된 연구논문의 운명
2. 네이처, 사이언스 논문도 맹신은 금물
3. 학계가 인정하지 않은 연구결과 맹신은 금물
4. 요점

STEP 22 ┃ 각종 줄기세포 연구방향과 국가정책 ·283
1. 분화된 줄기세포 임상적용은 비교적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2. 미분화 간엽줄기세포 임상적용은 질환에 따라 현재 가능하다
3. 미분화 간엽줄기세포 임상적용에 대해 필요한 국가정책들
4. 요점

맺음말 ·291

저자소개

박철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도 춘천 출생으로 서울고와 건대 축대를 단과대학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이스라엘의 The Weizmann Institute of Science에서 당뇨병 발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혈당 조절 호르몬인 인슐린 유전자가 발현되는 분자기전을 연구하여 이학 석·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JBiolChem, 1992, 267권, 15642-9쪽). 미국 Harvard Medical School의 세포학과에서 연구 펠로우로 재직하며 비만과 제2형 당뇨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방세포 형성 분자기전을 연구하였으며(Cell, 1998, 92권, 829-39쪽), 같은 대학 의학과에서 유전자 변이로 악성 신장암 발병을 야기하는 Von Hippel·Lindau tumor suppressor 유전자를 분자 수준에서 연구하여 그 기능을 밝혔다(Nat Cell Biol, 2000, 2권, 423-7쪽). 연세대 의과대학 내분비연구소에서 연구 조교수로 재직하며 같은 대학 이현철 교수와 공동으로 제1형 당뇨병을 치료하는 인슐린 유전자요법을 실험동물 수준에서 성공하였다(J Gene Med, 2005, 7권, 621-9쪽). 저서로는 『지방, 골수, 제대혈 성체줄기세포』(2012 교육과학기술부 우수과학도서)와 『탈모, 발모 머리카락 세포』(2013)가 있으며 현재 일상생활 속 과학 이야기를 통한 국민건강 증진은 물론 대사성 질환과 암을 포함한 난치성 질환의 기존치료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세포치료제 및 유전자치료제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블로그: http://blog.naver.com/science815 이메일: cwpark11@empal.com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