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의학
· ISBN : 9788960236820
· 쪽수 : 294쪽
· 출판일 : 2011-10-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04
제1부 서론: 줄기세포, 면역반응 그리고 약리효과 ·17
STEP 01 ┃ 줄기세포 ·18
1. 배아줄기세포와 성체줄기세포
2. 간엽줄기세포
3. 간엽줄기세포의 놀라운 약리효과 포착
4. 요점
STEP 02 ┃ 면역과 염증반응, 섬유화 그리고 간엽줄기세포 ·29
1. 면역세포의 소통 방법: 분비되는 면역제어 인자와 수용체
2. 면역계의 꽃들: 자연 및 획득 면역세포
3. 획득면역을 제어하는 면역세포: 보조 T 세포와 억제 T 세포
4. 과다면역 질환과 간엽줄기세포
5. 손상된 조직 복구와 섬유화 그리고 간엽줄기세포
6. 요점
STEP 03 ┃ 간엽줄기세포의 약리효과 ·47
1. 많은 종류의 강력한 면역억제제를 생산하는 대형공장
2. 섬유화 억제에 필요한 많은 생리제어 인자를 생산하는 대형공장
3. 혈관재생에 필요한 많은 생리제어 인자를 생산하는 대형공장
4. 손상된 조직복구에 필요한 많은 생리제어 인자를 생산하는 대형공장
5. 요점
제2부 난치성질환과 간엽줄기세포 ·55
STEP 04 ┃ 아토피 피부염과 간엽줄기세포 ·56
1. 약해진 피부 방어벽
2. 특이한 면역계
3. 기존 및 미래 치료법
4. 요점
STEP 05 ┃ 만성신장병과 간엽줄기세포 ·70
1. 신장 구조
2. 신장병의 원인과 발병 과정
3. 기존 치료 방법과 한계
4. 만성신장병 치료제로서 간엽줄기세포
5. 요점
STEP 06 ┃ 간경변증과 간엽줄기세포 ·87
1. 주요 간 기능과 구조: 간세포와 혈관과의 밀애
2. 간 재생 능력
3. 간경화의 원인과 발병 과정
4. 미래 치료법: 간엽줄기세포 투여
5 간엽줄기세포 투여 때 고려할 사항
6. 요점
STEP 07 ┃ 당뇨병과 간엽줄기세포 ·103
1. 인슐린: 혈당강하의 필수 호르몬
2. 제1형 및 제2형 당뇨병
3. 정상인과 당뇨병 환자의 혈당패턴
4. 당뇨 합병증의 발병 이유
5. 주요 당뇨병 치료 방법
6. 당뇨병과 각종 줄기세포
7. 요점
STEP 08 ┃ 급성심근경색과 간엽줄기세포 ·121
1. 심장구조와 관상동맥
2. 심근세포와 주변조직
3. 급성심근경색 후 손상된 심장조직 리모델링
4. 급성심근경색과 간엽줄기세포
5. 요점
STEP 09 ┃ 척수손상과 간엽줄기세포 ·135
1. 척수를 이루는 세포
2. 척수 구조
3. 척수손상
4. 척수손상 후 이차적 손상 발생
5. 척수손상 후 재생이 어려운 이유
6. 척수손상 치료
7. 척수손상과 간엽줄기세포
8. 요점
STEP 10 ┃ 뇌졸중과 간엽줄기세포 ·155
1. 뇌와 뇌신경세포
2. 시냅스: 뇌신경세포가 서로 접하여 정보를 주고받는 지점
3. 시냅스, 신경회로 그리고 기억
4. 신경유연성
5. 뇌졸중과 뇌신경세포 파괴, 시냅스 파괴, 신경회로 파괴
6. 뇌졸중과 재활운동
7. 뇌졸중과 간엽줄기세포
8. 요점
STEP 11 ┃ 퇴행성관절염과 간엽줄기세포 ·173
1. 연골성분 및 기능
2. 연골을 만드는 세포: 연골세포
3. 퇴행성관절염의 발병과정
4. 퇴행성관절염 패취제의 두 얼굴
5. 기존 치료방법과 한계
6. 퇴행성관절염과 간엽줄기세포
7. 요점
STEP 12 ┃ 류머티즘 관절염과 간엽줄기세포 ·189
1. 발병 과정
2. 기존 치료 방법과 한계
3. 류머티즘 관절염과 간엽줄기세포
4. 요점
STEP 13 ┃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과 간엽줄기세포 ·200
1. 장조직의 방어벽: 점액층과 상피세포
2. 장조직의 방어벽 손상과 장내 세균 침투
3. 면역계 이상
4.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과 간엽줄기세포
5. 요점
STEP 14 ┃ 전신 홍반성 루푸스와 간엽줄기세포 ·210
1. 발병 과정
2. 루푸스 환자가 햇볕에 약한 이유
3. 기존 치료법
4. 전신 홍반성 루푸스와 간엽줄기세포
5. 요점
STEP 15 ┃ 다발성 경화증과 간엽줄기세포 ·220
1. 발병 과정
2. 기존 치료법
3. 다발성 경화증과 간엽줄기세포
4. 요점
STEP 16 ┃ 이식편대숙주 질환과 간엽줄기세포 ·232
1. 이식편대숙주 질환이란?
2. 주조직적합성 항원 일치에도 이식편대숙주 질환 발생 가능
3. 이식된 공여자 조혈모세포와 T 세포 운명
4. 기존 치료법
5. 이식편대숙주 질환과 간엽줄기세포
6. 요점
제3부 간엽줄기세포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논란 ·245
STEP 17 ┃ 간엽줄기세포와 암세포 ·246
1. 간엽줄기세포가 암세포로 변한다는 주요 연구결과 번복
2. 간엽줄기세포가 기존 암세포의 증식을 제어할 가능성
3. 간엽줄기세포의 계속적 투여는 면역력 약화를 야기할 수 있다
4. 요점
STEP 18 ┃ 간엽줄기세포는 모세혈관을 막는 보릿자루가 아니다 ·253
1. 펄라니 등의 연구결과
2. 간엽줄기세포는 모세혈관보다 크지만……
3. 설익은 연구결과 인용 보도로 찬물 끼얹기
4. 요점
STEP 19 ┃ 간엽줄기세포는 타인의 면역공격을 회피한다 ·260
1. 조직이식 후 면역거부반응의 주범: 주조직적합성 항원
2. 간엽줄기세포의 면역공격 억제 방법: 면역회피와 면역억제
3. 간엽줄기세포가 심근세포로 분화될 경우
4. 요점
STEP 20 ┃ 간엽줄기세포의 양면성: 지킬박사와 하이드 ·267
1. 간엽줄기세포는 명약
2. 간엽줄기세포는 독약
3. 외국에서 간엽줄기세포 투여 받을 경우 따져야 할 사항
4. 요점
STEP 21 ┃ 줄기세포 연구논문과 맹신 ·275
1. 과학저널에 발표된 연구논문의 운명
2. 네이처, 사이언스 논문도 맹신은 금물
3. 학계가 인정하지 않은 연구결과 맹신은 금물
4. 요점
STEP 22 ┃ 각종 줄기세포 연구방향과 국가정책 ·283
1. 분화된 줄기세포 임상적용은 비교적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2. 미분화 간엽줄기세포 임상적용은 질환에 따라 현재 가능하다
3. 미분화 간엽줄기세포 임상적용에 대해 필요한 국가정책들
4. 요점
맺음말 ·2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