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60460362
· 쪽수 : 238쪽
· 출판일 : 2013-10-31
목차
독도탐방 우리 땅 독도를 찾아서 · 6
제1장. 들어가는 말 · 22
운명의 섬, 독도를 보는 두 눈
독도의 역사
영유권 분쟁과 국제법
제2장. 독도 저널리즘 속의 독도 이야기 · 27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맥락 고려해 독자에게 제공해야
작지만 큰 섬 우리 땅 ‘독도’
반도의 아침 여는 ‘한민족 자존심’
독도, 일본 눈치 보느라 출입규제 40년
일본의 자충수… 양국관계 악영향
근래 첫 독도인과 외교 분쟁 원인
제1공화국 비망록, 일본제국주의 침략과 망언
일본 군국주의 망령과 조어대 열도
제3장. 독도 저널리즘 이슈와 분석 · 45
1) 갈등성
① 정치적 갈등
한일교섭 첫 단추, 저자세 외교가 문제였다
김종필은 민족과 역사 앞에 정중히 사죄하라
JP 굴욕외교 복사판?, ‘동해’ ‘일본해’로 양보한 사건의 파장
한일정상회담, 월드컵은 공동개최 일왕사죄는 글쎄?
일본정부, 언론플레이로 독도 때리기 ‘잔꾀’
일, 한일정상회담 때마다 ‘미래로 가자’, ‘과거는 모르쇠’
선거 때마다 JP는 동네북, 자민련 태생적 비밀의 섬
일본 공격대상 독도는 국내 선거 유세장선 희화화 대상
일본, 91~92년 2년 사이에 독도 117회 침범
일본은 93~95년 190회 독도정찰, 북한은 총격전
② 사건 사고형 갈등
일본의 어선나포 행패, 독도분쟁 조장 술수
독도망언 응어리, 한일전 승리로 풀었다
2) 상징성과 희화화
독도 주민 1호 최종덕 씨
춥고 멀고 외롭고 막내 섬 ‘독도’에 대한 묘사
3) 자료 발굴
미의회도서관에서 발견한 1700년대 ‘선역도’와 1600년대도 ‘동국주현도’
4) 학술 세미나
일본 반성 위에 유럽연합 같은 동아시아 공동체 필요
5) 여행상품과 상업성
‘독도는 우리 땅’인데 왜 출입 규제하나?
96년 독도 출입 대폭완화의 허와 실
은행 소주 백화점 등 마케팅 소재가 된 독도
6) 해외 보도사례
일본 군국주의 부활과 제2의 독도문제
제4장. 분석과 전망 · 182
일본의 교묘한 언론플레이 강력대처 해야
해양기지건설과 해상분쟁대비 해군력증강 절실
미국, 겉으론 ‘독도 중립’ 실상은 ‘일본 편들기’
대마도는 명백한 우리 땅, 한일 영토분쟁 묶어 논의해야
일본 정치게임, 우익신문으로 ‘한국 찔러보기’
제5장. 독도 저널리즘과 취재방법론 18가지 방안 · 212
일본에 앞서 JP사죄부터 선행돼야
독도, 더 이상 일본의 여론조작용일 수 없다
한일 공동인식 결여, 일본 순시선 3년 동안 190회 독도 정찰
독도 문제는 무대응이 상책이다?
독도, 역사적 해법과 정치적 해법 적절히 구사해야
남해와 서해 제2의 독도를 예방교육 필요
미일동맹 강화로 한미동맹의 ‘독도’는 밀리고
독도는 고독하고 외로운 섬일 수 없다
지나친 ‘독도’ 상업화 지양해야
우리 땅 대마도 반환을 당당하게 요구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