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무역
· ISBN : 9788960540606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09-07-27
책 소개
목차
1부 무역실무 개요
1장 무역의 기초
1. 무역업의 창업 2. 해외시장조사 3. 시장조사의 실패 사례 4. 시장조사 방법 5. 거래선의 발굴
2장 무역 관련 법규
1. 대외무역법 2. 외국환거래법 3. 관세법
3장 수출절차
1. 수출상담 및 수출계약 체결 2. 신용장 수령 및 수출승인 3. 수출용 원자재 조달 및 무역금융 4. 수출통관, 운송계약 및 보험계약 5. 수출대금의 회수 및 관세환급
4장 수입절차
1. 수입계약 체결 2. 수입승인 및 신용장 개설 3. 운송서류 내도 및 대금결제 4. 수입통관 5. 수입물품 원산지 표지제도
2부 무역계약 실무
5장 품질 및 수량조건
1. 품질 결정의 방법 2. 품질 결정시기 3. 품질의 입증방법 4. 수량 결정(표시) 단위 5. 수량 결정시기와 입증방법
6장 가격조건
1. INCOTERMS의 의의 2. INCOTERMS 2000의 무역조건의 주요 내용 3. INCOTERMS 2000 요약
7장 선적 및 보험조건
1. 선적방법 2. 분할선적과 환적 3. 지연운송과 선적일의 입증 4. 보험조건
8장 대금결제조건
1. 대금결제 방법의 종류 2. 송금 3. 추심 4. 신용장
3부 통관 실무
9장 통관 기초
1. 통관의 개념 2. 품목분류 3. 관세율 4. 원산지제도
10장 수출통관
1. 수출통관 절차 2. 수출신고 3. 수출신고서 수리 4. 적하목록 제출 및 승인절차 5. 수출신고 수리물품의 적재
11장 수입통관
1. 수입통관 절차 2. 수입신고 3. 수입물품 검사 4. 수입신고 수리 5. 보세구역
12장 관세환급
1. 관세환급의 개념과 요건 2. 관세환급 신청 가능자와 환급신청서류 3. 관세환급 방법 4. 관세환급 절차
4부 운송, 보험, 클레임 실무
13장 해상운송 실무
1. 국제운송과 복합운송의 개념 2. 컨테이너 3. 해상운송 운임 4. 선하증권
14장 항공운송 실무
1. 항공운송의 특성과 항공화물 2. 항공화물 운송체제 3. 항공기와 장비 4. 항공화물운송장
15장 해상보험 실무
1. 해상적하보험의 개요 2. 적하보험 계약의 체결 및 성립 3. 적하보험의 시기와 종기 4. 보험료 산정방법 5. 협회적하약관의 종류 및 담보범위
16장 무역클레임 실무
1. 무역클레임의 의의 2. 클레임의 제기절차 3. 클레임 해결방법 4. 중재절차
저자소개
책속에서
수출신고서는 상업송품장(Commercial Invoice) 또는 포장명세서(Packing List) 등을 근거로 작성하되 신고시점에 제시된 현품과 동일해야 한다.
품목번호 또는 품목별로 별도의 ‘란’으로 구분해 기재하고, 동일 ‘란’ 안에는 모델·규격별로 ‘모델·규격, 성분, 상표명, 수량, 단가, 금액’을 최대 50행까지 상세히 기재해야 한다. 모델·규격이 최대 50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출신고서의 ‘송품장부호’란에 반드시 해당 송품장부호를 기재해야 한다. 다수의 품목으로 신고서 1매를 초과할 경우에는 ‘을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신고서의 우측 상단에 ‘을지’라 표시한다. - 234쪽 중에서
클레임을 제기받은 경우에 검토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계약조건의 미비에 의한 것이 아닌가?
② 인도 후 합리적인 기간 내에 제기된 것인가?
③ 하자를 입증할 객관적인 입증자료가 있는가?
④ 물품의 검사는 공인검정기관에 의해 합리적인 기간 내에 행해졌는가?
⑤ 손해청구금액은 합리적인 산출에 의한 타당성을 지니고 있는가?
⑥ 당해 계약의 특성을 충분히 감안한 것인가? - 367쪽 중에서
CIF조건의 수출인 경우 수출상은 보험자(보험회사)와 수출상품에 대해 적하보험계약을 체결한다. 수출상은 운송될 상품의 수량과 금액이 파악된 시점에서 보험회사에 소정의 적하보험신청서(Cargo Insurance Application)를 제출해 보험계약을 체결해야 하나 실무에서는 편의상 보험회사와 전화 등을 통한 구두로 계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부보조건은 수입상이 개설한 신용장상의 보험조건과 일치하도록 부보를 해야 하며, 가격조건이 CFR이나 FOB일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수입상이 적하보험을 부보하므로 수출상은 적하보험에 부보할 필요가 없다. - 89쪽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