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마케팅/브랜드
· ISBN : 9788960541160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14-08-28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PART 1 현대 유통의 기본을 파악한다
1. 유통에는 어떤 역할이 있을까|2. 유통관련 업종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3. 유통경로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4. 유통지배·유통계열화란 무엇인가|5. 소매점의 조직화란 무엇인가|6. 유통혁명, 가격파괴란 무엇인가|7. 한국 및 일본 유통의 특징은 무엇인가
PART 2 소매업의 구조와 현상을 파악한다
1. 소매업자의 기능을 알아보자|2. 소매업자는 어떻게 분류되는가|3. 백화점은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4. 백화점 판매부진의 원인은 무엇인가|5. 슈퍼마켓은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6. 슈퍼마켓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7. 편의점이 급성장하는 이유는 무엇인가|8. 레귤러 체인과 볼런터리 체인이란 무엇인가|9. 할인점은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10. 할인점은 어떠한 형태로 발전할 것인가|11. 무점포판매란 무엇인가|12. 왜 통신판매가 인기를 모으는가|13. 개인 상점과 전통시장은 어떻게 변할까|14. 쇼핑센터란 무엇인가|15. 리스·렌탈 비즈니스란 무엇인가
PART 3 도매업과 물류의 구조와 현상을 파악한다
1. 도매업자의 기능을 알아보자|2. 도매업자는 어떻게 분류되는가|3. 도매업자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4. 상사회사는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가|5. 농수산물 도매시장은 어떤 곳인가|6. 소매점 지원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7. 물류에는 어떤 수단이 있을까|8. 새로운 물류구조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9. 배송의 효율화는 어떻게 일어나는가|10. 유통 VAN이란 무엇인가
PART 4 마케팅과 유통의 관계를 파악한다
1. 마케팅이란 무엇인가|2. 소비자 욕구와 마케팅은 어떤 관계인가|3. 머천다이징이란 무엇인가|4. 재고관리란 무엇인가|5. 유통업자 브랜드란 무엇인가|6. 가격 결정의 기본 메커니즘은 무엇인가|7. 가격 정책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8. 오픈가격은 왜 바람직한가|9. 촉진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10. 광고를 통해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11. 효과적인 광고란 어떤 것인가|12. 퍼블리시티란 무엇일까|13. 판매원 판매활동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14. 판매촉진활동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PART 5 유통의 국제화와 정보화의 흐름을 파악한다
1. 유통의 국제화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2. POS 시스템에서 유통은 어떻게 변화하는가|3. SCM, ECR이란 무엇인가|4. EDI에서 상품거래는 어떻게 변화하는가|5. 마케팅의 정보 시스템화란 무엇인가|6. 캐시리스는 어디까지 진행되었는가|7. 정보 네트워크 시대의 유통은 어떻게 되는가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상품이 도착할 때까지의 과정을 유통경로라고 한다. 유통경로의 기본은 생산자→도매업자→소매업자→소비자이다. 그러나 항상 이 경로를 통해서 유통되는 것은 아니다. 생산자가 소매점과 계약을 맺고 물품을 파는 경우도 있고, 다이렉트 메일로 주문을 받아서 소비자에게 물품을 보내는 경우도 있다. 또 소매업자를 통해서 파는 경우에도 백화점, 편의점, 할인점 등 다양한 유통경로가 있다. 그외에 생산자가 직접 소매점 체인을 만들어서 판매하는 경우도 있다.
큰 생산업체가 상품을 대량으로 생산하여 전국 소비자에게 판매할 경우, 소비자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상품을 팔려고 한다면 배송하기 위한 비용이나 노력이 많이 들어간다. 그래서 생산자는 소비자와의 사이에 도매업자와 소매업자를 개입시켜 그들로 하여금 상품의 유통을 담당하게 한다. 대량으로 생산된 상품은 생산자→도매업자→소매업자라는 과정이 있기 때문에 서서히 분할될 수 있다.
실제가격과 생산자 희망소매가격의 차이가 너무 크면 이중가격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탄생한 것이 오픈가격(open price)이다. 오픈가격제도에서는 생산자가 소매가격의 설정에 일체 관여하지 않고, 소매점이 자유롭게 소매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소매가격이 있어도 지켜주지 않는다. 희망소매가격을 폐지하고 소매점이 소매가격의 결정을 책임지게 하자’고 하여 생산자가 오픈가격으로 옮기는 경우가 눈에 띄게 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