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세무/재무/회계
· ISBN : 9788960600300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07-04-02
책 소개
목차
지은이의 말 _ 회계 지식이 기업의 경영 전략을 결정한다!
감수자의 말 _ 회계 지식이 회사의 운명을 결정한다!
1부 재무제표, 이렇게 짜여진다
1장 대차대조표를 보는 방법은 따로 있다
자산이란 무엇이며, 어떤 역할을 하는가?
부채란 무엇이며, 어떻게 분류되는가?
자본이란 무엇이며,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One Point Lesson 회계와 기업 지배구조의 개혁
2장 손익계산서의 핵심을 배우자
손익계산서의 핵심을 알아야 이익이 보인다
3장 현금흐름표의 정석을 바로 알자
현금흐름표를 알아야 회계가 보인다
2부 비율분석을 알면 회사의 경영상태가 보인다
4장 회사의 수익성, 이렇게 파악하라
매출총이익률을 통해 수익성을 파악하라
매출액영업이익률을 통해 수익성을 파악하라
5장 회사의 효율성, 이렇게 확인하라
총자본회전율을 통해 효율성을 확인하라
6장 기업의 안전성, 이렇게 체크하라
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지표가 도산을 예측한다
자기자본과 안전성의 관계가 성장률을 알려준다
7장 회사를 총체적으로 파악하는 노하우를 배우자
총자산이익률(ROA), 이보다 더 쉬울 수 없다
자기자본이익률(ROE), 이렇게 구한다
경제적 부가가치(EVA), 이렇게 판단한다
One Point Lesson 경제이익지표의 원리
3부 재무관리를 알면 회계가 더 쉽다
8장 시간에 따라 변하는 화폐의 가치를 바로 알자
화폐는 시간에 따라 가치가 다르다
9장 투자 의사결정 방법을 바로 알자
현명한 투자 의사결정 방법은 따로 있다
10장 위험과 수익의 상관관계를 명확히 이해하자
위험과 수익은 상관관계가 있다
부록 _ 닛산자동차와 도요타자동차의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외
책속에서
자산이 자금의 운용상황을 나타내는 반면, 부채는 자본과 함께 자금의 조달상황, 즉 자금을 어디에서 어떻게 조달하는지를 나타낸다. 부채와 자본의 차이점은 자본은 변제할 필요가 없지만 부채는 미래에 반드시 변제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부채는 타인자본, 자본은 자기자본이라 한다. 부채는 크게 유동부채와 고정부채로 분류되며, 이는 자산의 분류와 비슷하다. - 본문 60쪽 중에서
영업현금흐름의 계산법은 직접법과 간접법으로 분류된다. 직접법은 모든 거래의 수입과 지출을 모두 기록하고 그 차액을 해당 회계기간의 현금흐름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간접법은 당기순이익에 감가상각비 등 현금 이외의 비용을 가산하고, 외상매출금이나 외상매입금 등의 증감을 조정함으로써 영업현금흐름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대부분 간편하다는 이유로 대부분 간접법을 선호하고 있다. - 본문 119쪽 중에서
유형자산 중에서 토지와 건설가계정 외의 것들은 감가상각의 대상이 된다. 유형자산은 사용이나 시간의 경과 등에 따라 소비되는데, 소비의 정도에 따라 각 기간의 비용(감가상각비)으로 나누는 것을 감가상각이라 한다. 이와 같이 비용이나 수익을 소비의 발생 또는 정도에 따라 행하는 방식을 발생주의(accrual basis)라 하고, 현금의 유입과 유출에 따라 행하는 방식을 현금주의(cash basis)라 한다. - 본문 30쪽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