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신라/통일신라
· ISBN : 9788960781375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2-04-06
책 소개
목차
서문_왜 여왕의 시대인가
글을 시작하면서
제1장 통일과 망국의 전야, 여성의 시대를 감돌았던 국제 정세
1. 고구려 : 권력 분쟁으로 강대국의 위세를 잃다
2. 백제 : 무왕-의자왕, 강한 리더십에서 여론의 분열로
3. 중국(당제국의 개국과 몰락) : 외세의 부상과 부재
4. 왜(倭) : 존재 자체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존재
5. 발해 : 상보적인 관계, 그 가능성과 한계
제2장 세 여왕이 걸은 길
1. 선덕여왕(善德女王, 632-647) : 상생상존(相生相存)의 지혜를 발휘하다
? 등극의 과정과 이세민의 견제
? 백제와 고구려의 집요한 공세와 외교전의 전개
? 김춘추와 김유신, 알천 등과 같은 인재를 중용하고 전폭적인 신임을 보이다
? 전방위적인 압박 속에서 황룡사(黃龍寺) 대탑을 건립하다
? 비담과 염종의 반란 속에 생을 마치다
2. 진덕여왕(眞德女王, 647-654) : 외교술로 누란(累卵)의 위기를 전환시키다
? 난중에 등극하여 적대 세력을 타도하고 화해를 도모하다
? 전왕의 정책을 계승하면서 국정의 흔들림을 막다
? 당나라의 요구를 수용하면서 외교적인 성과를 거두다
? 부드러움의 결실을 다음 왕에게 넘기고 죽다
3. 삼국의 통일을 성취하기까지 : 태종무열왕과 문무왕, 654년부터 776년까지
4. 진성여왕(眞聖女王, 887-897) : 통제력을 잃고 민란과 호족 세력에 압도되다
? 파국의 목전에서 등극하여 국면 전환을 모색하다
? 위홍의 죽음으로 황음(荒淫)에 빠지다
? 무모한 조세 수납으로 민심을 잃다
? 자포자기와 병마 속에 권력을 포기하다
제3장 여왕의 시대를 뒷받침한 사람들
1. 선덕여왕의 사람들
? 김춘추 : 외교와 교섭의 귀재
? 김유신 : 통일 대업의 선봉장으로 멸사봉공하다
? 원광법사와 자장율사 : 신라 사람들을 불교의 정신 아래 모이게 하다
2. 진덕여왕의 사람들
? 알천 : 통일기 신라의 감추어진 명장
? 강수 : 문장의 힘으로 국가에 봉사하다
? 비령자와 거진 : 통일의 제단에 신명을 바친 용사들
3. 진성여왕의 사람들
? 위홍 : 칼을 써보지도 못하고 무대에서 떠나다
? 거인 : 은자의 길에서 나락으로 떨어진 불운아
? 최치원 : 신라 천년 사진의 대미를 장식한 지식인의 초상화
? 궁예 : 왕자로 태어나 미륵으로 승천하다
? 견훤 : 용이 되려다 이무기로 머물고 만 영웅
제4장 통일과 망국의 길목에서 보여준 부드러움과 통합의 리더십
1. 선덕여왕 : 부드러움으로 강함을 포용하다
2. 진덕여왕 : 외교력으로 통일의 기틀을 마련하다
3. 진성여왕 : 절망과 실정으로 부드러움이 힘을 잃다
제5장 통일의 길, 망국의 길-어느 길을 택할 것인가
1. 정신(종교)적인 단결이 군사력의 우위보다 중요하다
2. 의심스러우면 쓰지 말고, 썼으면 의심하지 말라-파트너십의 미덕을 잊지 말라
3. 양보와 대화가 없는 권력은 쓰러진다-귀를 열고 먼 곳을 내다보라
4. 권력층의 지지보다 국민(백성)들의 신뢰를 얻도록 하라-민심을 잃지 말라
5. 능력과 상황에 맞는 정책을 펼쳐라
글을 마치면서_비전은 어디에 있는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