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한국 전통음악
· ISBN : 9788960786769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8-10-31
책 소개
목차
서문:〈 놀량사거리〉는 무엇인가?·4
서론:〈 놀량사거리〉의 정의·14
1.〈 놀량사거리〉의 역사성
가) 고문헌자료에 나타난〈 놀량사거리〉의 역사성·18
1) 『기완별록(奇玩別錄)』에 나타난 〈놀량〉·18
2) 신재효의 「박타령」에 나타난 〈놀량〉·19
3) 신재효의 「변강쇠가」에 나타난 〈놀량〉·19
4) 정현석의 『교방가요(敎坊歌謠)』 속의 〈놀량〉·19
나) 음반자료에 나타난〈 놀량사거리〉의 역사성·21
1) 〈놀량〉의 음반 자료·21
2) 앞산타령의 음반자료·22
3) 뒷산타령의 음반자료·23
4) 경발림(경사거리)의 음반자료·23
다) 현 행〈 놀량사거리〉와 20세기초 잡가집에 나타난〈 놀량사거리〉 노랫말
비교·23
1) 놀량·24
2) 사거리·27
3) 중거리·29
4) 경발림·32
2.〈 놀량사거리〉 노랫말의 의미
가) 놀량·37
나) 사거리·41
다) 중거리·45
라) 경발림·50
3.〈 놀량사거리〉의 연희 주체와 전승과정
가)〈 놀량사거리〉의 연희 주체는 사당패·55
나)〈 놀량사거리〉의 형성 시대·58
다)〈 놀량사거리〉의 분화·61
라)〈 놀량사거리〉의 전승·70
4.〈 놀량사거리〉의 음악적 특징과 음악문화적 가치
가)〈 놀량사거리〉의 음악적 특징·76
1)〈 놀량사거리〉의 리듬 요소·76
2)〈 놀량사거리〉의 음조직·80
3) 사거리에서 나타나는 잦은 전조 및 새로운 음조직·90
4) 〈놀량사거리〉의 종지구와 구조·94
나)〈 놀량사거리〉의 음악문화적 가치·96
5.〈 놀량사거리〉의 전승자별 비교
가) 황용주와 한명순의 예술 활동
나) 전승자별〈 놀량사거리〉 비교·102
1) 리듬 요소·103
2) 놀량 앞부분(초목이)의 유무·105
3) 요성의 패턴·105
4) 전조·106
5) 노랫말·107
결론:〈 놀량사거리〉의 가치와 전승·110
●부록 1
│보론│
〈놀량사거리〉와〈 경기산타령〉의 선후관계와 문화재 종목 지정과정
가〈) 놀량사거리〉와〈 경기산타령〉의 정의·116
나〈) 경기산타령〉 원조설의 허구·118
다〈) 경기산타령〉의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과정·127
라〈) 놀량사거리〉의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조서보고서(1968년)·130
마〈) 놀량사거리〉의 황해도 무형문화재 제3호 지정 과정·134
●부록 2
〈놀량사거리〉 전승자별 악보·141
참고문헌
책속에서
우리 민요 중에 발림을 섞어가며 서서 부르는 노래를 입창(立唱)이라 한다. 입창의 반대 개념은 좌창(坐唱)이다. 좌창에는 경기좌창, 서도좌창 등이 있으며 입창의 대표적인 노래가 바로 〈놀량사거리〉이다. 〈놀량사거리〉는 산타령이라고도 부른다.
〈놀량사거리〉는 노래다. 〈놀량사거리〉의 역사성을 증명하는 방법은 주로 두 가지다. 고문헌 자료에 언제부터 등장하는가 하는 점과 일제 강점기에 출시된 음반 자료에 현행의 〈놀량사거리〉와 어떻게 유사하게 남아 있는가 하는 점이다. 또한 20세기 초에 발간된 여러 잡가집에 나타난〈놀량〉과 현행 〈놀량〉의 노랫말을 비교해보면 놀량의 역사성이 검증될 수 있다.
〈놀량사거리〉와 〈경기산타령〉 모두 그 노랫말은 현재 사용하지 않는 말도 많아 그 내용 파악이 어렵다. 따라서 〈놀량사거리〉나 〈경기산타령〉의 본 모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노랫말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때문에 〈놀량사거리〉와 〈경기산타령〉의 노랫말의 뜻을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