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상문학상 대상 작가를 말한다

이상문학상 대상 작가를 말한다

(이상문학상 대상 작가 그들은 누구인가)

김미현, 이순원, 하응백 (지은이)
문학사상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13,500원 -10% 2,500원
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이상문학상 대상 작가를 말한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상문학상 대상 작가를 말한다 (이상문학상 대상 작가 그들은 누구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70129273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9-05-17

책 소개

역대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들이 대상 수상을 하던 그해에 동료 평론가.소설가.수필가.시인 등이 쓴 '작가가 본 작가'를 시대의 흐름에 맞게 수정.보완하고 편집하여 한 권의 책으로 엮었다.

목차

· 책머리에_05

· 2011년 제35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_공지영
문학에 새겨진 공지영이라는 작가_문학평론가 안서현_15

· 2017년 제41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_구효서
이 좋은 날의 품앗이, 혹은 빚 갚기_소설가 이순원_33

· 2008년 제32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_권여선
우리 시대의 진정한 탐사자_문학평론가 차미령_45

· 2002년 제26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_권지예
내면으로 감춰진 삶의 표정_문학평론가 이현식_67

· 2016년 제40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_김경욱
김경욱은 늙지 않는다_소설가 윤성희_79

· 2015년 제39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_김숨
선량한 사람이 좋다고 말하는 선량한 사람_시인 장승리_89

· 1977년 제1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_김승옥
하나의 세계를 뒷전에 거느린 작가_소설가 송영_97

· 2009년 제33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_김연수
소통의 가치와 글쓰기의 윤리_문학평론가 손정수_107

· 2012년 제36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_김영하
마음을 설명한다는 것_소설가 염승숙_125

· 2003년 제27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_김인숙
바다를 건너가는 나비의 날갯짓처럼_문학평론가 정홍수_141

· 1997년 제21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_김지원
투명하고 아름답고 유현하고 신비로운 사람_소설가 서영은_151

· 2004년 제28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_김훈
꽃밭에 뛰어든 맹수의 포효_문학평론가 박철화_159

· 2010년 제34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_박민규
초라한 현실을 넘고, 다시 판타지도 넘어서_문학평론가 김종욱_169

· 1999년 제23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_박상우
샤갈의 마을에서 옥탑방에 이르는 길_문학평론가 하응백_185

· 2018년 제42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_손홍규
몰두하면 사랑하게 된다_소설가 최은미_201

· 2001년 제25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_신경숙
‘시작’되지 않는 신경숙론의 ‘시작’을 위하여_문학평론가 우찬제_213

· 1996년 제20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_윤대녕
영혼의 부활을 꿈꾸는 사람_문학평론가 최성실_237

· 2019년 제43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_윤이형
검은 숲의 헤드 랜턴과 레일라의 선물_시인 유형진_249

· 1998년 제22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_은희경
바라보는 그녀와 보여지는 그녀_문학평론가 김미현_261

· 1978년 제2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_이청준
그가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_수필가 심정섭_279

· 2007년 제31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_전경린
자기에게 돌아오는 머나먼 모험_문학평론가 김종욱_289

· 2006년 제30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작가_정미경
문학, 절규의 방_문학평론가 김미현_305

저자소개

하응백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에서 태어나 영남중, 대건고를 졸업했다. 경희대 국문과 졸업, 같은 학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문학평론으로 당선, 문단에 데뷔했다. 경희대 국문과 교수, 국민대 문창대학원 겸임교수를 지냈다. 2002년 휴먼앤북스 출판사를 창립 현재에 이르고 있다. 문학평론집 『문학으로 가는 길』, 『낮은 목소리의 비평』, 『친구야, 다리를 건너거라』, 국악해설서 『창악집성』, 『인문학으로 읽는 국악이야기』, 낚시 에세이 『나는 낚시다』, 소설집으로 『남중(南中)』(2019)을 냈다. 『개뿔 같은 내 인생』은 하응백의 첫 에세이 모음이다.
펼치기
이순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7년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났습니다. 초등학교 시절 마땅히 읽을 동화책이 없어 박종화의 《삼국지》부터 이광수, 김유정, 오영수 등 우리 현대소설과 번역된 세계문학을 닥치는 대로 읽었습니다. 청소년기엔 잠시 학교를 그만두고 대관령에서 고랭지 채소농사를 짓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다시 학교로 돌아와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입학한 다음부터 열심히 문학공부를 했습니다. 1985년 강원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소〉가 당선되어 소설가가 된 후 1996년 〈수색, 어머니 가슴 속으로 흐르는 무늬〉로 제27회 동인문학상, 1997년 〈은비령〉으로 제42회 현대문학상, 2000년 〈아비의 잠〉으로 제1회 이효석문학상, 〈그대 정동진에 가면〉으로 제7회 한무숙문학상, 2006년 제1회 허균문학작가상, 제2회 남촌문학상을 수상했습니다. 창작집으로 《그 여름의 꽃게》, 《말을 찾아서》, 《은비령》, 《그가 걸음을 멈추었을 때》, 《첫눈》 등이 있고, 장편소설 《압구정동엔 비상구가 없다》, 《수색, 그 물빛무늬》, 《아들과 함께 걷는 길》, 《19세》, 《나무》, 《워낭》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김미현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65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20년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95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평론 부문으로 등단하여 평론활동을 시작했다. 저서로 『한국여성소설과 페미니즘』, 『판도라 상자 속의 문학』, 『여성문학을 넘어서』, 『젠더프리즘』, 『번역트러블』 등이 있다. 소천비평문학상, 현대문학상(평론 부문), 팔봉비평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작가.비평가가 본 이상문학상 대상 작가들
《이상문학상 작품집》이 나오면 나는 언제나 대상 작가의 ‘문학적 자서전’과 ‘작가론’을 가장 먼저 펼친다. 심사 과정에서 혹시 놓친 부분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가장 활동적인 작가와 그 작가를 자기 논리의 틀 속으로 끌어들이려는 비평가의 씨름이 재미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펴내는 책 속의 글이 실린 순서를 따라갈 경우, 비평가 가운데는 안서현, 차미령, 이현식, 손정수, 정홍수, 박철화, 김종욱, 하응백, 우찬제, 최성실, 김미현 씨 등의 글이 있다. 비평가의 작가론은 비평적 틀을 내세우며 작가의 세계를 논리화한다. 하지만 소설가와 시인과 수필가가 쓴 작가론은 창작의 길에서 함께 보아온 작가의 숨겨진 구석을 들춰내 보이는 사적 글쓰기의 특징이 담겨 있다. 소설가 이순원, 윤성희, 송영, 염승숙, 서영은, 최은미 씨 등의 글에서 느껴지는 동료에 대한 따뜻한 사랑과 격려가 참으로 아름답다. 시인으로는 장승리 씨와 유형진 씨가 있고, 수필가 심정섭 씨의 글도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이들 모두가 우리 작가들에 대한 빛나는 상찬으로만 끝나지 않는 다는 점이 주목된다. 우리 독자들도 이를 눈치챌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문학평론가 권영민, ‘책머리에’ 중에서


우리 집 거실 탁자에 구효서의 산문집 《인생은 지나간다》가 딱 놓여 있었다. 그 산문집에 지금도 네이버에 검색되는 ‘이순원의 폭탄주’ 얘기가 나온다. 그 일을 강릉에 계시는 아버지까지 알게 되어 야단을 들었다. 비겁하게 그걸 글로 쓰다니. 이 친구는 받으면 꼭 받은 것만큼 언젠가는 그렇게 되갚음을 한다.
―소설가 이순원, 〈이 좋은 날의 품앗이, 혹은 빚 갚기〉


아, 생각해보니 나는 단 한 번도 경욱 선배가 화를 낸 걸 본 적이 없다. 그가 울분에 찬 것도 본 적이 없다. 또 생각해보니 나는 단 한 번도 그가 깔깔거리며 큰 소리로 웃는 것도 본 적이 없다. 그는 늘 이가 보일 정도의 미소만 지었다. 그에게는 늘 똑같은 주파수를 유지하는 능력이라도 있는 것일까. 이 대단한 평정심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소설가 윤성희, 〈김경욱은 늙지 않는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