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부안 동학농민혁명과 문화콘텐츠

부안 동학농민혁명과 문화콘텐츠

윤석산, 우수영, 김정희, 김종길, 전찬일, 박대길, 임형진, 성주현, 성강현 (지은이), 동학학회 (엮은이)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0원
20,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부안 동학농민혁명과 문화콘텐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부안 동학농민혁명과 문화콘텐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60687057
· 쪽수 : 319쪽
· 출판일 : 2022-01-30

책 소개

부안은 동학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지역이다. 그러나 동학사에 있어서 부안의 위상은 아직 제대로 정립되지도 평가되지도 못했다. 그 점에 주목해서 동학의 문화 콘텐츠를 중심으로 다룬 책이다.

목차

머리글

부안 동학 문화콘텐츠 활용의 의의와 전망_윤석산
1. 글을 열며
2. 해월의 호남 포덕과 신앙 횔동
3. 해월의 가르침과 부안의 동학
4. 백산대회의 의의
5. 부안 동학의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6. 글을 닫으며

동학농민혁명과 관련된 문화콘텐츠의 연구동향 분석과 앞으로의 과제_우수영
1. 서론
2. 문화 콘텐츠의 범주와 양상에 대한 연구 동향
3. 동학농민혁명의 문화 콘텐츠에 대한 논의 양상
4. 동학농민혁명을 형상화한 한국문학의 성과 및 전망
5. 결론을 대신하여

동학농민혁명의 음악 양상과 문화콘텐츠로서의 잠재성_김정희
1. 들어가며
2. 기록에 나타난 동학음악의 양상과 역할
3. 현존하는 동학 관련 음악
4. 문화콘텐츠로서 동학음악의 활용방안
5. 나가며

동학과 민중미술의 만남: ‘백산(白山)’ 회화에 담긴 민중미학_김종길
1. 들어가기
2. 1970년대 민중미술론의 형성
3. 민족적 형식과 민중적 미의식
4. 미술동인 두렁 ; 동학을 민중미학으로 창작한 최초의 소집단
5. 동학과 민중미술 ; 샤먼리얼리즘의 미학
6. ‘임술년’의 작품 ; 이명복, 이종구, 송창의 꽃그늘 날풍경
7. ‘현발’의 작품 ; 김정헌의 ‘땅의 길, 흙의 길’
8. ‘광자협’의 작품 ; 홍성담의 민중 메시아
9. 나오기

동학(농민)혁명과 문화콘텐츠, 그리고 한류(K-Wave): 동영상(Moving Images)을 중심으로_전찬일
1. 들어가며
2. 동학과 동영상
3. 동학과 한류
4. 나가며: 제언

부안 동학농민혁명 문화콘텐츠 방안 연구_박대길
1. 머리말
2. 부안 동학농민혁명 역사문화자원
3. 부안 동학농민혁명 문화콘텐츠 현황과 방안
4. 마무리

부안지역의 동학과 김낙철 -전봉준 노선과의 차이를 중심으로_임형진
1. 동학의 출현과 부안
2. 부안 지역의 동학 전파와 확산-김낙철 형제
3. 부안 지역의 동학농민혁명
4. 결론-김낙철과 전봉준 노선의 차이

『홍재일기』를 통해 본 부안지역 동학과 동학농민혁명_성주현
1. 머리말
2. 동학의 포교와 교세의 확장
3. 동학농민혁명과 부안지역 동학 세력의 동향
4. 동학농민혁명 이후 동학 세력의 동향
5. 맺음말

백산대회의 역사적 의미_성강현
1. 머리말
2. 동학의 호남 포교와 부안의 동학
3. 고부기포와 백산성 주둔
4. 3월 기포와 백산 대회
5. 동학농민혁명의 전개
6. 맺음말

저자소개

윤석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천도교 교령,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1947년 서울 출생. 경동고등학교와 한양대학교 국문과에서 공부하고,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등학교 3학년 때에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동시가 당선되었고, 대학교 4학년 때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시가 당선되었다. 한양공고와 중동중고등학교에서 국어교사로 근무했으며, 한양대학교 에리카 캠퍼스 국문과에서 교수로 31년간 근무하고 정년퇴임했다. 한양대학교 학보사 주간 교수, 한양대학교 에리카 캠퍼스 도서관장, 한양대학교 국제문화대 학장, 남가주 대학(USC) 방문교수, 하와이 대학(UH)방문교수, 버클리 대학(UC Berkeley) 방문교수를 역임했다. 또 한국언어문화학회 회장, 문화체육관광부 종교자문위원, 천도교 서울교구장, 천도교중앙총부 교서편찬위원장, 천도교중앙총부 상주선도사, (사)한국시인협회 회장, 삼일운동 100주년 기념사업회 공동대표를 역임했다. 제1회 한국시문학상, 제19회 편운문학상, 제29회 펜문학상 본상, 제5회 신석초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그동안 『바다 속의 램프』, 『온달의 꿈』, 『처용의 노래』, 『용담 가는 길』, 『적.寂』, 『견딤에 대하여』, 『밥 나이, 잠 나이』, 『나는 지금 운전 중』, 『절개지』, 『전철 안 홍해』, 『햇살 기지개』 등의 시집과 『도원기서(道源記書)』, 『어면순(禦眠楯)』, 주해 『동경대전(東經大全)』, 주해 『용담유사』, 『영역본 동경대전』 등의 번역 및 주해서를 출간했다. 또한 『박인환 평전』, 『용담유사 연구』, 『고전적 상상력』, 『용담(龍潭)에서 고부(古阜)까지』, 『동학사상과 한국문학』, 『한국에서 발생한 우주적 종교, 천도교』, 『동학 교조 수운 최제우』, 『한시로 읽는 경기』, 『일하는 한울님』, 『천도교』, 『어머니께서 담배를 피우신 연유』, 『동학·천도교의 어제와 오늘』 등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전찬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3년 11월 월간 『말』 지에 로만 폴란스키 감독의 <비터 문>(1992) 리뷰를 기고하며 영화 비평의 길에 전격 들어섰다. 1998년 결성된 젊은영화비평집단 회장 등으로 활동했으며, 2002년부터 2007년까지는 프로그램 코디네이터로 부산국제영화제(BIFF)에 느슨하게 참여했다. 이후 2009년부터 2016년까지는 프로그래머, 마켓부위원장, 연구소장으로 부산영화제에 몸담았다. 2020년 2월부터는 팟캐스트 및 유튜브 매불쇼 ‘시네마지옥’ 코너에 라이너 등과 함께 4년째 고정 출연 중이다. 저서로 『봉준호 장르가 된 감독(2020), 『영화의 매혹, 잔혹한 비평』(2008) 등이, 역서로 『존 레논 1940-1980』(1993) 등이 있다. ‘글로컬 컬처 플래너 & 커넥터’(Glocal Culture Planner & Connector) 및 ‘퍼블릭 오지라퍼’ 등을 표방하며 비평을 넘어 다채로운 문화 프로젝트들을 기획·추진해오고 있는바, 2025년 개봉을 목표로 베트남-한국 협력 영화를 기획‧추진 중이다. 2019년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 100주년을 기념해 기획·출간한 단행본 『내 삶에 스며든 헤세』도 그중 하나다. 2023년 11월 현재 경기영상위원회 위원장, 한국문화콘텐츠비평협회 고문, 부산콘텐츠마켓 전문위원 등을 맡고 있다.
펼치기
성주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위원, 청암대학교와 숭실대학교 연구교수로 지냈고, 현재 1923 제노사이드 연구소 소장, ㈜신인간사 대표다. 저서로는 『근대전환기 문화들의 조우와 메타모포시스』(공저, 보고사, 2021), 『근대전환기 서구문명의 수용과 민족운동』(선인, 2020), 『동학과 동학농민혁명』(선인, 2019), 『근대 신청년과 신문화운동』(모시는사람들, 2019), 『일제하 민족운동 시선의 확대』(아라, 2014), 『식민지시기 종교와 민족운동』(선인, 2013)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천도교소년회의 지역 조직과 활동」(『방정환연구』5, 2021), 「근대전환기 호열자의 유행과 천도교의 대응」(『세계역사와 문화연구』 56, 2020), 「衡平社と天道敎」(『部落解放硏究』 212,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임형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도 광주에서 태어나고 서울에서 자랐다. 경기대와 성균관대 그리고 경희대에서 수학하고 정치학 박사를 받았으며 경희대 후마나타스칼리지에서 객원교수로 강의하고 있다. 한국정치사상을 전공하였고 동학사상의 현재화에 관심을 가지고 천도교 청우당 연구를 주로 하고 있으며 학문을 넘어 천도교의 전위단체인 (사)동학민족통일회의 공동의장으로 있으며 동학의 후예임을 자처하고 있다.
펼치기
성강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도 삼척 출신으로 강릉고등학교와 경희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의대학교 대학원에서 『6·25전쟁 시기 천도교 포로의 전향과 종교 활동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의대학교 역사인문교양학부 겸임교수이며 동천고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충청도 옥천 동학혁명』(공저), 『전라도 전주 동학혁명』(공저), 『6·25전쟁시기 천도교 포로 연구』 등이 있으며, 한국전쟁 포로, 동학과 천도교, 민족운동 등에 관한 논문이 다수 있다. ■ 저서 『충청도 옥천 동학농민혁명』(공저) 『전라도 전주 동학농민혁명』(공저) 『강원도 원주 동학농민혁명』(공저) 『6·25전쟁 시기 천도교 포로 연구』 『부산 근현대사 산책』(공저) 『반도의 총후진』(공역) ■ 논문 「소파 방정환의 일본 유학시기 활동 연구」(2021) 「대한제국 진위대 연구」(2021) 「『개벽(開闢)』의 3·1독립운동 민족대표 담아내기」(2021) 「옥천 지역의 동학의 전파와 확산」(2020) 「동학농민군의 전주성 점령과 전주화약에 관한 고찰」(2019) 「6·25전쟁 시기 부산의 포로수용소」(2019) 「동학농민혁명 이후 해월 최시형의 피신과 교단 수습」(2018) 「해월 최시형의 단양 은거 시기 연구」(2016) 「제1차 교육과정의 국사 교과서 서술체제와 내용 분석」(2016) 「군대 해산 과정에서의 서소문 전투 연구」(2016) 「거제도 포로수용소의 9·17폭동 연구」(2016
펼치기
김정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작곡가, 한국음악학자. 부산예술대학 음악과, 중앙대학교 한국음악과,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학과 전문사,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박사 졸업후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강사를 지냈다. 서도피리산조 〈아용소리〉, 실내악 〈풍구타령〉, 관현악 〈홍애기〉 등의 곡을 작곡하고 음반 《일천 기러기 날아가듯》을 발매하였다. 저서 《지리산 자락의 민요 Ⅱ》와 공저 《놀량사거리 연구》가 있다.
펼치기
김종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문화재단 경기도미술관 학예연구관
펼치기
박대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안군청 전문위원
펼치기
동학학회 (기획)    정보 더보기
1998년 창립 이래 동학에 대한 학제적 연구를 통하여 한국사상의 정체성 확립과 21세기 인류문명의 대안적 세계관 정립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등재학술지인 동학학보를 연 4회 발간하고 있으며, 동학의 발상지인 경주를 시작으로 정읍·고창·보은·예산·영덕·남원·대구·홍천·구미·김천·청주·수원·영동·원주·전주·여주 등 지자체와 공동으로 학술대회를 개최해 오고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