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60687057
· 쪽수 : 319쪽
· 출판일 : 2022-01-30
책 소개
목차
머리글
부안 동학 문화콘텐츠 활용의 의의와 전망_윤석산
1. 글을 열며
2. 해월의 호남 포덕과 신앙 횔동
3. 해월의 가르침과 부안의 동학
4. 백산대회의 의의
5. 부안 동학의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6. 글을 닫으며
동학농민혁명과 관련된 문화콘텐츠의 연구동향 분석과 앞으로의 과제_우수영
1. 서론
2. 문화 콘텐츠의 범주와 양상에 대한 연구 동향
3. 동학농민혁명의 문화 콘텐츠에 대한 논의 양상
4. 동학농민혁명을 형상화한 한국문학의 성과 및 전망
5. 결론을 대신하여
동학농민혁명의 음악 양상과 문화콘텐츠로서의 잠재성_김정희
1. 들어가며
2. 기록에 나타난 동학음악의 양상과 역할
3. 현존하는 동학 관련 음악
4. 문화콘텐츠로서 동학음악의 활용방안
5. 나가며
동학과 민중미술의 만남: ‘백산(白山)’ 회화에 담긴 민중미학_김종길
1. 들어가기
2. 1970년대 민중미술론의 형성
3. 민족적 형식과 민중적 미의식
4. 미술동인 두렁 ; 동학을 민중미학으로 창작한 최초의 소집단
5. 동학과 민중미술 ; 샤먼리얼리즘의 미학
6. ‘임술년’의 작품 ; 이명복, 이종구, 송창의 꽃그늘 날풍경
7. ‘현발’의 작품 ; 김정헌의 ‘땅의 길, 흙의 길’
8. ‘광자협’의 작품 ; 홍성담의 민중 메시아
9. 나오기
동학(농민)혁명과 문화콘텐츠, 그리고 한류(K-Wave): 동영상(Moving Images)을 중심으로_전찬일
1. 들어가며
2. 동학과 동영상
3. 동학과 한류
4. 나가며: 제언
부안 동학농민혁명 문화콘텐츠 방안 연구_박대길
1. 머리말
2. 부안 동학농민혁명 역사문화자원
3. 부안 동학농민혁명 문화콘텐츠 현황과 방안
4. 마무리
부안지역의 동학과 김낙철 -전봉준 노선과의 차이를 중심으로_임형진
1. 동학의 출현과 부안
2. 부안 지역의 동학 전파와 확산-김낙철 형제
3. 부안 지역의 동학농민혁명
4. 결론-김낙철과 전봉준 노선의 차이
『홍재일기』를 통해 본 부안지역 동학과 동학농민혁명_성주현
1. 머리말
2. 동학의 포교와 교세의 확장
3. 동학농민혁명과 부안지역 동학 세력의 동향
4. 동학농민혁명 이후 동학 세력의 동향
5. 맺음말
백산대회의 역사적 의미_성강현
1. 머리말
2. 동학의 호남 포교와 부안의 동학
3. 고부기포와 백산성 주둔
4. 3월 기포와 백산 대회
5. 동학농민혁명의 전개
6.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