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의 왕과 궁궐귀신 이야기

조선의 왕과 궁궐귀신 이야기

김용관 (지은이)
돋을새김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10% 2,500원
700원
14,400원 >
12,600원 -10% 2,500원
0원
15,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의 왕과 궁궐귀신 이야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의 왕과 궁궐귀신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61673303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2-11-30

책 소개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되어 있는 귀신 또는 도깨비에 관한 이야기들을 통해 조선왕실의 역사를 재미있게 풀어쓴 책이다. 개국 초기에서부터 거의 400여년 동안 궁궐귀신에게 쫓겨 다닌 조선의 왕들의 이야기를 통해 드러나지 않은 왕실의 이면사, 궁궐의 변천사, 사회적 현상들을 보다 생생하게 만나볼 수 있다.

목차

서문•5

부엉이와 밝은 눈을 가진 아이•11
도성에 날아든 부엉이•13
왕자의 난과 부엉이•18
너는 낮을 지배하라! 나는 밤을 지배할 것이니•28
밝은 눈을 가진 아이•39
죽은 신덕왕후와 싸우다•43
한양을 다시 만들다•52

경복궁의 불길한 기운•57
물이 마르고 임금이 갇히는 흉한 터•60
도망 다니는 임금•68
집이 많아도 갈 곳이 없다•74
둔갑법을 써서 귀신을 속여라!•81
경복궁을 지켜라!•90
불길한 기운과 맞서 싸우는 두 임금•99

부엉이와 계유정난•113
계유정난을 예고한 부엉이•115
귀신놀이를 즐긴 세조•123
애꾸눈의 목효지•130
예언대로 전개되는 역사•139
333년 뒤 단종의 한풀이•150
궁궐 귀신이 된 두 여인•156

귀신이 흔하던 시대•167
성안에 요귀가 많습니다!•170
귀신들린 임금•179
붉은 기운으로 나타나는 연산 귀신•186
밤마다 우는 가마•192
괴물이냐? 귀신이냐?•197
임금이 죽은 다음 날 또 나타난 괴물•204

창경궁과 통명전•215
경복궁을 피하기 위해 만든 궁궐•217
자손이 귀신에게 해를 당할 곳•222
창경궁에 어린 두 여인의 한•229
궁궐 귀신에게 쫓긴 광해군과 인조의 콤플렉스•235
귀매들이 날뛰는 통명전•244

주요 사건 일지•253

저자소개

김용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에서 태어나 인천에서 대학을 다녔다. 몇몇 잡지사에서 기자로 일하다 출판사로 옮겨 여러 권의 책을 기획했으며 출판사를 운영하기도 했다. <월간 중앙>에 조선 역사의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한경리쿠르트>에 조선 군주의 리더십에 관한 글을 연재했으며 김만중이란 필명으로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충격적인 성 스캔들 사건을 엮은 <조선을 뒤흔든 성 스캔들>을 출간했다. 저서에 자본주의의 역사를 분석한 <탐욕의 자본주의> 서양 지식인들의 지적 계보를 엮은 <생각의 진화>, 정조의 리더십을 주제로 한 <CEO, 정조에게 경영을 묻다>, 영조의 삶을 소설적 기법으로 쓴 <영조의 세 가지 거짓말> 연암 박지원을 통해 18세기 조선 사회를 고찰한 <그냥 아롱으로 살아라!>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제부터 궁궐귀신을 물리치는 ‘구나驅儺’ 행사를 하라. 방상씨 탈을 쓰고 처용무를 추면서 악귀를 쫓는 놀이를 벌여라.”
방상씨는 악귀를 쫓는다는 신이다. 중국에서 행하던 귀신 쫓는 놀이의 일종인데 태종은 이것을 연말이나 연초에 궁궐에서 꼭 거행하도록 했다. 검은 옷이나 붉은 치마를 입은 방상씨는 눈이 네 개 그려져 있는 가면을 쓰고 곰 가죽을 둘러쓴다. 그리고 행렬 맨 앞에서 창과 방패를 들고 도망가는 귀신을 더 멀리 쫓는 몸짓을 한다.


태종은 자신의 살기등등한 기운이나 사람을 믿지 못하는 성정이 북악에서 내려오는 좋지 않은 기운 때문이라고 자주 한탄했다.
집이 많아도 갈 곳이 없는 사람이 바로 태종이었다. 경복궁이 싫어 창덕궁을 만들었지만 그곳에서도 거처하지 못하고 수강궁에서 살다가 낙천정에 머물렀으며, 그곳도 불안해지자 풍양궁과 연희궁 등지로 옮겨 다녔다. 이곳저곳에 자신이 갈 곳을 만들었지만 그 어느 곳도 편치 않았다. 태종은 언제나 떠다니는 구름처럼 그렇게 세상을 떠돌았다.


밤이 깊어지자 원경왕후는 귀신에 홀린 것처럼 헛소리를 했다. 세종은 어머니의 병을 낫게 하기 위해 신하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무당들이 시키는 대로 행동했다.
“한두 명의 귀신이 몸에 들어온 것이 아닙니다. 복숭아나무 가지를 꺾어 항상 곁에 두게 하세요. 그리고 오늘, 달이 가장 밝은 자정 무렵에 복숭아나무 가지를 직접 들고 북쪽 하늘 방향으로 절을 하세요. 그럼 귀신들이 두려워 물러날 겁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