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신라/통일신라
· ISBN : 9788961840774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09-05-29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모란과 굴레의 변주곡 3
1장 흔들리는 정국
1 하늘이 내려준 옥대 12
2 진흥왕이 남긴 분쟁의 씨앗 20
3 진평왕 통치 54년 28
2장 국인이 세운 여자
1 미륵이 되지 못한 딸 38
2 모란꽃이 핀 그림 57
3 성性·골骨 분쟁 64
4 여왕시대 74
3장 나제동맹에서 나제전쟁으로
1 백제의 한恨 90
2 옥문곡에 모인 개구리 99
3 백제와 고구려의 협공 113
4 치욕의 대야성 전투 123
4장 여왕을 위하여
1 떠오르는 잠룡潛龍 김춘추 130
2 여왕의 사천왕이 된 김유신 151
3 불국토의 건설자 자장 161
4 임신서기석과 신라 최고의 조각가 양지 174
5장 여왕이 꿈꾼 신라
1 향기 나는 여왕의 절, 분황사 184
2 신라인의 미소를 담은 영묘사 192
3 9한韓을 물리친 황룡사 구층탑 199
4 선덕여왕이 별을 바라본 곳, 첨성대 220
6장 나를 도리천에 묻어다오
1 당 태종의 세 가지 계책 230
2 여왕은 나라를 잘 다스릴 수 없다 239
3 수미산에 묻힌 여왕 255
7장 여왕은 전설이 되어
1 여왕을 사랑하다 불이 된 지귀 268
2 여왕의 전설과 신비의 샘 천곡사 석천 278
3 필사본『화랑세기』가 전하는 선덕여왕과 주변 인물들 283
4 벗어나지 못한 여인의 굴레━후대의 평가 290
*나오며 철길 앞에선 불국토 294
*읽기 보조자료
1 사료해석 : 『삼국사기』 신라본기 선덕왕 304
『삼국유사』 선덕왕 지기삼사 307
2 선덕여왕 시대 신라가 백제·고구려와 벌인 전투표 309
3 선덕여왕과 주변인물의 계보도 311
4 선덕여왕 관련 지명·유적 지도 312
*참고문헌 313
*도판목록 316
*찾아보기 320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그렇다면 모란과 나비가 그려진 그림은 어떤 의미일까? 모란은 부귀하라는 뜻이므로 나비의 상징이 문제가 된다. 중국에서 나비는 디에蝶(접), di?라고 하는데, 이 발음은 80세 노인을 나타내는 디에?(질), di?와 같다. 즉 모란과 나비가 그려진 그림이 있으면 80세까지 부귀를 누리라는 뜻이 된다. 고대에는 70세까지 사는 일도 드물었으므로 나이 80까지 부귀하라는 것은 축복의 의미가 있다. 실제로 조선의 화가 심사정의 화조화에는 모란과 나비만 그려지기도 했다. 그러나 모란과 나비를 같이 그리지 않은 경우도 많은데 그것은 80세까지만 부귀하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 62, 63쪽-
『삼국유사』의 이야기는 이미 경주 부산 지역의 설화로 토착화되어 있는 모습이다. 그리고 오늘날에도 경주 오봉산 지역에는 여근곡 설화를 담은 여근곡이 실제로 있다. 경부고속도로를 타고 영천을 지나 건천에 가기 전에 있는 경주터널을 지나면 바로 오른쪽 편에 높이 688m의 오봉산五峰山이 나타난다. 이곳에 여근곡이 있다. 속칭 음문골로도 불리는 여근곡을 정면에서 바라보면 여성의 성기 모양과 비슷하다. 이 때문에 마을 사람들은 여근곡의 음기를 누르기 위해 마주보이는 산을 남성산으로 삼았다. 그리고 여근곡 아래에 있는 마을 이름이 섶들인데, 다른 마을사람들이 놀릴 때 십들이라 불렀다고 한다.
-106쪽-
선덕여왕은 647년 1월 8일에 죽었고, 비담은 1월 17일에 죽었다. 비담의 난이 별이 떨어진 다음날에 끝났다면 난은 11일 동안 계속된 것이다. 비담이 17일에 죽은 것을 거꾸로 계산하면, 1월 7일에 반란이 일어났으며 다음날 선덕여왕이 죽었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 이것은 여왕이 반란으로 피살되었을 가능성을 알려주기도 한다. 즉 명활성에 근거를 둔 비담의 군대가 월성에서 왕을 지키고 있던 시위대나 김유신의 군대를 공격하는 와중에 여왕이 시해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636년에 여왕이 병이 들었는데 의술과 기도로 효과가 없었다고 할 정도로 여왕의 건강이 좋지 않았고 당시 60세가 넘었을 여왕의 나이를 생각하면, 여왕의 죽음에 임박해서 반란이 일어났다고 볼 수도 있다.
- 256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