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메이지 유신 초기의 조선침략론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88961874410
· 쪽수 : 163쪽
· 출판일 : 2019-05-30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88961874410
· 쪽수 : 163쪽
· 출판일 : 2019-05-30
책 소개
동북아역사재단 교양총서 13권. 메이지 정부 성립을 전후로 조선과 일본 사이에는 특별한 외교적 갈등이 존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에서 반한 감정이 증폭되었고, 조선침략론이 등장하였다. 일본에서 조선침략론이 발생한 이유가 무엇인지 해답을 제시하기 위한 책이다.
목차
간행사
머리말
1장. 메이지 유신 이전 일본의 조선관과 한일관계
1. 임진왜란 전후 처리와 두 개의 조선관
2. 조선 후기 한일관계의 특징
3. 왜관의 이해
4. 에도 막부의 개항과 ‘대외팽창론’의 대두
2장. 에도 막부의 개항과 쓰시마 번
1. 일본의 개항과 쓰시마 번
2. 쓰시마 번의 이봉 운동과 에도 막부의 외교 일원화 정책
3. 양이 운동의 전개와 원조 요구 운동의 변화
4. 쓰시마 번의 조선진출론과 원조 요구 운동
5. 도쿠가와 요시노부 시대의 쓰시마 번
3장. 메이지 유신 이후의 쓰시마 번 그리고 왜관
1. 메이지 정부 수립과 ‘구폐’로 간주된 한일관계
2. 메이지 정부와 1868~1869년의 조선침략론
3. 메이지 유신과 왜관
4. 일본 외무성 관리의 조선 국정 탐색과 1870년의 정한론
5. 폐번치현과 왜관
6. 하나부사 요시모토의 도한과 기유약조 체제 붕괴
4장. 기유약조 체제 붕괴 이후의 왜관(1872~1876)
1. 1872년 후반의 왜관
2. 1873년의 왜관
3. 정한론 정변(메이지 6년의 정변)
4. 고종의 친정과 한일관계 회복을 위한 노력
5. 전쟁 위기와 극적인 타협-조일수호조규 체결
맺음말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