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88961874885
· 쪽수 : 383쪽
· 출판일 : 2019-11-07
목차
1장 한민족과 퉁구스족의 관계------------------------김인희
2장 고구려어와 퉁구스어 비교 분석 :
《삼국사기》 권35·권37 <지리지>를 중심으로-----------엄순천
1. 연구 목적
2. 고구려어 음운체계의 특징
3. 고구려어 홀·달계 지명에서 추출된 단어와 퉁구스어 비교
4. 유사성이 높은 고구려어와 퉁구스어
3장 단군신화와 퉁구스족의 곰 신화 비교----------------서영대
1. 곰 신화 비교 연구의 필요성
2. 한국의 곰 신화
3. 동북아 민족의 곰 신화
4. 동북아 곰 신화를 통해 본 단군신화의 특징
5. 건국신화의 특징을 지닌 단군신화
4장 고구려의 주몽신화와 허저족의 이마칸 문학 비교-----최원오
1. 비교 검토를 위한 전제
2. 고구려의 주몽신화 이해를 위한 관점
3. 허저족의 족원과 이마칸 문학
4. 주몽신화에 대한 새로운 이해
5. 동북아의 모얼건 문학과 고구려의 주몽신화
5장 한국 무속과 퉁구스족 샤머니즘 비교-------------쑤항蘇杭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성과 분석
3. 역사와 현황
4. 발생 메커니즘 비교
5. 신 계보의 비교
6. 접신 방식과 의례 비교
7. 공통점과 차이점
6장 고구려 혼례와 퉁구스족 혼례 비교---------------김인희
1. 연구의 필요성
2. 고구려 혼례의 특징
3. 중국 동북 지역의 고대 민족과 고구려의 혼례 비교
4. 현대 퉁구스족과 고구려 혼례 비교
5. 고구려와 퉁구스족 혼례의 공통점과 차이점
7장 고대 한국 건축과 퉁구스족 건축 비교--------------한동수
1. 연구 대상
2. 고대 한국 건축의 양상
3. 고대 한국 건축과 퉁구스족 건축의 상호 관계
4. 한국 고대 건축에 대한 퉁구스족 건축의 영향
8장 한민족 복식과 퉁구스족 복식 비교-----------------조우현
1. 비교 연구의 대상
2. 퉁구스족 복식의 특징
3. 퉁구스족 모자의 특징
4. 퉁구스족 신발의 특징
5. 한민족 복식과 퉁구스족 복식의 관련성
9장 한민족과 퉁구스족 문화 비교--------------------김인희
* 주석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