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북아시아 고고학 개설 2 - 역사시대 편

동북아시아 고고학 개설 2 - 역사시대 편

동북아역사재단 북방사연구소 (지은이)
동북아역사재단
4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700원 -10% 0원
2,150원
36,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38,7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북아시아 고고학 개설 2 - 역사시대 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북아시아 고고학 개설 2 - 역사시대 편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88961877091
· 쪽수 : 544쪽
· 출판일 : 2021-12-31

책 소개

중국 동북 삼성 및 그 주변 지역은 우리 민족이 고대부터 활동해 온 역사무대이지만 이 지역에 대한 고고학 연구서는 국내에서 아직까지 발간되지 않았다. 해당 지역의 역사 고고학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를 통해 한민족사 구축에 기여하고자 기획되었다.

목차

책머리에·3
총설 _ 권오영
I. 이 책이 다루는 시간과 공간·14
II. 연구의 주체·15
III. 종족성의 문제·17
IV. 연구의 역사와 전망·18

제1부 고대 국가의 태동과 발전 개관 _ 권오영
I. 통합적 이해가 필요한 이유·26
II. 『삼국지』에 나타난 동북아시아의 고대·28
1. 가옥·28
2. 성곽·29
3. 묘제와 장제·30
부여 _ 이종수
I. 시대 개관·34
II. 조사 현황·35
1. 해방 이전 시기(1945년 이전)·35
2. 해방 이후 –1980년대 이전·35
3. 1980년대 -2000년대 이전·36
4. 2000년대 -현재·37
III. 유적·38
1. 성곽·38
2. 생활유구·41
3. 무덤·43
IV. 유물·47
1. 토기·47
2. 무기류·48
3. 마구류·51
4. 생산 도구·52
5. 생활용구·53
6. 장식품·54
7. 와전류·56

고구려
I. 시대 개관 _ 양시은·60
II. 도성과 관방 체계 _ 양시은·61
1. 졸본 도읍기·63
2. 국내 도읍기·71
3. 평양 도읍기·83
III. 고분 _ 양시은·88
1. 적석총·89
2. 국내 도읍기의 왕릉·102
3. 벽화분·108
IV. 유물·115
1. 토기 _ 정인성·115
2. 와전 _ 주홍규·128
3. 마구 _ 주홍규·147
4. 무기와 무구 _ 주홍규·154
5. 장신구 _ 주홍규·159
6. 그 밖의 금속제 유물 _ 주홍규·164

옥저 _ 유은식
I. 시대 개관·176
II. 남옥저의 고고문화·177
III. 북옥저의 고고문화·180
1. 유적 분포 양상·181
2. 주거 형태와 난방시설·183
3. 출토 유물·185
4. 상대편년과 연대·189
5. 단결-크로우노브카문화의 확산·193

읍루 _ 유은식
I. 시대 개관·200
II. 동북아시아 철기시대 고고문화·203
1. 제1송화강 중류지역의 교남문화·203
2. 삼강평원지역의 곤토령문화와 봉림문화·205
3. 흑룡강 중하류지역의 폴체문화·210
4. 연해주의 폴체문화·214
III. 읍루 문헌 기록과 고고학 자료의 비교·217

선비 _ 정상석
I. 시대 개관·224
II. 고고학사·225
III. 유적·227
1. 호륜패이고원지역·227
2. 서요하 상류·230
3. 내몽고 중부·232
4. 대릉하 유역·236
IV. 선비의 이동·237
V. 삼연문화·239
VI. 맺음말·241

돌궐 _ 권오영
I. 돌궐과 위구르의 간추린 역사·246
1. 투르크와 돌궐·246
2. 돌궐의 역사·247
3. 위구르의 역사·250
II. 돌궐과 위구르의 문화·251
1. 기록에 나타난 습속·251
2. 주거와 도시·253
3. 문헌에 나타난 묘제와 제사·255
4. 석인·256
5. 돌담장과 사당·259
6. 무덤·262
7. 돌궐문자와 비·265
8. 기물·266
9. 예술·266

제2부 중세 국가의 성립과 전개 개관 _ 권오영
I. 동북아시아의 중세를 보는 시각·274
II. 중세 국가의 이모저모·275
1. 도성제·276
2. 능묘·277
3. 기물·278

발해
I. 시대 개관 _ 정석배·282
II. 도성 _ 정석배·286
1. 구국·286
2. 중경·288
3. 상경·291
4. 동경·299
5. 서경과 남경·301
III. 관방 유적 _ 정석배·304
IV. 사찰과 24개돌 유적 _ 정석배·316
1. 사찰 유적·316
2. 24개돌 유적·321
V. 마을과 생산 유적 _ 정석배·324
1. 일반 마을 유적·324
2. 생산 유적·329
VI. 고분 _ 권오영·333
1. 발해 고분의 정의와 조사의 역사 · 333
2. 주요 유적·338
3. 묘제와 부장품·348
4. 장제·351
5. 과제·355
VII. 발해의 유물 _ 정석배·358
1. 지붕 기와와 건축 부재·358
2. 불교 관련 유물·365
3. 무기류와 마구 및 거마구류·369
4. 치장 및 장신구류와 형상 유물들·375
5. 일상 생활용품과 놀이 도구 및 악기·381
6. 농공구류와 수렵 도구, 기타 유물·386
7. 용기류·389

물길 · 말갈 _ 홍형우
I. 시대 개관·414
1. 역사적 배경·414
2. 물길 · 말갈 연구 현황·415
II. 고고학으로 본 물길·말갈·430
1. 고고학으로 본 물길·432
2. 고고학으로 본 말갈·441
III. 말갈 유적의 확산과 전개·455
1. 서아무르 유역·455
2. 동아무르 유역·457
3. 연해주지역·459

요 · 금 _ 조윤재
I. 시대 개관·474
II. 요대의 고고 자료·474
1. 성지·475
2. 고분·487
3. 도자요지·501
4. 전폐교장·502
5. 종교 유적·503
III. 금대의 고고 자료·504
1. 성지·505
2. 계호·508
3. 고분·510
4. 기타 중요 유적 및 유구·513
5. 동하국의 유적과 유물·515
IV. 서하의 고고 자료·515
1. 성지·515
2. 서하 왕릉·521

찾아보기·531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