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해방전후사/한국전쟁
· ISBN : 9788961877060
· 쪽수 : 500쪽
· 출판일 : 2021-12-31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8
1편 <개설> 언론보도를 통해 본 1945~1954년의 독도
Ⅰ 머리말 26
Ⅱ1947년의 독도: 일본의 도발과 한국의 학술조사 29
1. 일본 측의 독도 도발 29
2. 과도정부의 독도수색위원회 조직 32
3. 울릉도 독도 학술조사 34
Ⅲ1948~1951년의 독도: 독도폭격사건과 대일강화조약 체결 40
1. 1948년의 독도: 독도폭격사건 40
2. 1949년의 독도: 맥아더 라인 확대 41
3. 1950년의 독도: 맥아더 라인과 독도조난어민위령비 43
4. 1951년의 독도: 대일강화조약과 일본의 도발 45
Ⅳ1952년의 독도: 평화선 선언과 독도폭격사건 50
1. 평화선 선언 50
2. ‘독도가 한국령’이라는 자료 공개 52
3. 맥아더 라인 폐기 53
4. 제2차 울릉도·독도학술조사단 파견과 제2차 독도폭격사건 54
5. 클라크 라인의 설정 60
Ⅴ1953년의 독도: 일본의 침범과 한국의 학술조사 61
1. 1953년 2월 독도폭격연습지 해제 61
2. 일본의 독도 침범과 한국의 대응 62
Ⅵ 1954년의 독도: 독도의 시설 설치와 경비대 상주 69
1. 한국의 독도 영토표지 설치 69
2. 일본의 자위권 발언 70
3. 울릉도민의 ‘독도자위대’ 결성 70
4. 일본 측의 총격사건 74
5. 국회 독도시찰위원단의 독도 시찰 75
6. 독도의 시설 설치 및 독도 우표 발매 76
7. 국제사법재판소와 유엔에 회부 시도 78
8. 경북 경찰국장의 독도 방문과 독도경비대의 구호 요청 80
맺음말 83
참고문헌 86
2편 〈자료〉 1947~1954년 독도 관련 국내 주요 언론보도 기사
1. 11947년의 독도
과도정부, 울릉도 독도 학술조사 실시
6월 20일
『대구시보』, 2면, “왜적 일인(日人)의 얼빠진 수작, 울릉도 근해의 소도(小島)를 자기네 섬이라고 어구(漁區)로 소유”91
7월 23일
『동아일보』, 2면, “판도에 야욕의 촉수 못 버리는 일인(日人)의 침략성, 울릉도 근해 독도 문제 재연” 93
『동아일보』, 2면, “당연 우리 것, 신(申) 국사관장 담(談)” 94
8월 3일
『동아일보』, 4면, “독도 문제 중대화, 수색위원회 조직코 협의” 95
『부인신보』, 2면, “울릉도 답사대, 조선산악회서 파견” 96
8월 5일
『동아일보』, 2면, “독도는 우리 판도(版圖), 역사적 증거 문헌을 발견, 수색회서 맥 사령에 보고” 97
8월 12일
『대구시보』, 2면, “독도에 조사단, 경찰청서 파견” 98
8월 13일
『한성일보』, 2면, “근해 침구(侵寇)의 일(日) 어선, 맥아더선(線) 수정도 건의” 99
8월 17일
『영남일보』, 3면, “독도시찰대, 오늘 출발” 100
8월 19일
『영남일보』, 2면, “울릉도학술단 조사 수행기(1), 동백꽃 피는 바닷가에서 도민의 해양 비약을 기원” 101
8월 21일
『자유신문』, 2면, “문제 많은 독도도 탐험, 울릉도학술조사대 안착 활동 중” 103
8월 22일
『대구시보』, 2면, “독도를 탐사” 104
『서울신문』, 2면, “울릉도학술조사대 현지 착(現地着), 활동에 착수” 105
8월 23일
『부녀일보』, 2면, “독도는 해산물의 보고, 그러나 사람 살 수 없는 곳” 106
『영남일보』, 2면, “울릉도학술단 조사 수행기(2), 너울안개 도동 항구에 다정하게 맞아 준 도민들” 107
『조선일보』, 2면, “울릉도 학술답사대, 독도 답사, 의외! 해구(海狗) 발견” 109
8월 24일
『영남일보』, 2면, “독도서 해구(海狗) 3두를 포획” 110
『자유신문』, 2면, “동해 신비경인 독도의 생태에 황홀, 산악회 조사대” 111
8월 27일
『남선경제신문』, 2면, “독도는 이런 곳, 절경의 풍광 가지고, 수산 자원이 풍부” 113
『대구시보』, 2면, “동해의 고도(孤島) 울릉도행(1), 선경(仙境)에 들어온 감(感)” 115
『서울신문』, 2면, “조사대 일행, 울릉도 출발 귀로(歸路)에” 117
8월 28일
『남선경제신문』, 2면, “독도는 이런 곳” 118
『영남일보』, 2면, “울릉도 학술조사를 마치고 돌아와서(3) (김득룡)” 121
8월 29일
『부녀일보』, 2면, “독도 소개 영화를 목하(目下) 제작 중” 124
『영남일보』, 2면, “울릉도 학술조사를 마치고 돌아와서(4), 원시적 영농의 개량과 흉년 제가가 125
초급(焦急) 과제 (김득룡)”
8월 30일
『대구시보』, 2면, “독도 사진 공개, 본사 최 촉탁 촬영” 127
8월 31일
『대구시보』, 2면, “사진, 본사 최 촉탁 촬영” 128
9월 4일
『공업신문』, 2면, “생명선은 수산과 임산업(林產業), 울릉도, 식량 교통난도 해결” 129
9월 9일
『서울신문』, 3면, “울릉도조사대의 귀환 보고 강연회” 132
9월 21일
『한성일보』, 2면, “울릉도학술조사대 보고기(1) (홍종인)” 133
9월 24일
『한성일보』, 2면, “울릉도학술조사대 보고기(2) (홍종인)” 135
9월 25일
『한성일보』, 2면, “울릉도학술조사대 보고기(3) (홍종인)” 137
9월 26일
『한성일보』, 2면, “울릉도학술조사대 보고기(終) (홍종인)” 139
10월 15일
『독립신보』, 2면, “독도는 우리 것! 악랄한 왜적의 촉수, 증빙자료가 엄연히 증명” 141
10월 18일
『수산경제신문』, 1면, “독도 근방에 일(日) 밀선(密船) 출몰” 143
10월 22일
『동아일보』, 2면, “일본의 침략적 야욕, 이번엔 황해 파랑서에, 자기네 영토라고 맥 사령에 보고 ” 144
11월 5일
『부산신문』, 2면, “울릉도 보고전(報告展) 서울서 개최” 145
11월 15일
『서울신문』, 4면, “울릉도 보고전을 열면서 (홍종인)” 146
2 1948년의 독도 독도폭격사건과 독도 어업
7월 8일
『조선일보』, 1면, “헌법안 제2독회 완결, ‘대한민국 헌법’, 제3독회는 12일부터 개시, 국회 27차 회의 ” 149
7월 17일
『대공일보』, 1면, “울릉도와 독도(1) (유하준)” 150
7월 18일
『대공일보』, 1면, “울릉도와 독도(2) (유하준)” 152
7월 20일
『대공일보』, 1면, “울릉도와 독도(3) (유하준)” 155
『수산경제신문』, 2면, “독도의 물개① (박재동)” 158
7월 21일
『대공일보』, 1면, “울릉도와 독도(4) (유하준)” 160
7월 22일
『대공일보』, 1면, “울릉도와 독도(5) (유하준)” 163
『수산경제신문』, 2면, “독도의 물개② (박재동)” 165
7월 23일
『대공일보』, 1면, “울릉도와 독도(6) (유하준)” 167
『수산경제신문』, 2면, “독도의 물개④ (박재동)” 168
7월 25일
『수산경제신문』, 2면, “독도의 물개⑤ (박재동)” 170
9월 4일
『수산경제신문』, 1면, “수산업계의 회고와 전망(6), 이재 어민의 구휼책 막연, 인명과 선박 손실은 일대 치명상” 171
9월 5일
『수산경제신문』, 1면, “수산업계의 회고와 전망(7), 근해에 왜(倭) 밀어선 빈번, 교활한 수단으로서 재침 기도” 174
3. 1949년의 독도 맥아더 라인 변경
6월 3일
『조선중앙일보』, 2면, “맥아더 라인 사수, 손 해군 총참모장 담(談)” 177
6월 15일
『강원일보』, 1면, “맥아더 라인 확대 문제, 주일대사에 재교섭 지시” 178
9월 23일
『경향신문』, 1면, “정부 당면 시책, 33의원에 답변, 맥아더 라인 변경할 시에는 한국 안전을 불침해 ” 179
4. 1950년의 독도 맥아더 라인 사수
2월 28일
『경향신문』, 2면, “일(日) 어구(漁區)의 확장 언명한 일 없다, 맥 라인 침범선은 엄단 , 183
내한한 '헤' 씨 기자단에 언명”
11월 27일
『동아일보』, 1면, “대일강화(對日講和), 미(美) 7원칙을 제시, 소(蘇)는 미측 설명을 요구” 184
5. 1951년의 독도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 체결
7월 23일
『조선일보』, 1면, “대일강화(對日講和) 조인국서, 한국 제외는 부당, 양(梁) 주미 대사 정식 항의” 187
7월 24일
『동아일보』, 1면, “[사설] 외교사절단 파견을 요망” 188
7월 25일
『동아일보』, 1면, “대일구화조약안의 검토(상) (유진오)” 190
8월 21일
『조선일보』, 2면, “한국 요구 대부분을 용인, 대일강화조약 최종안 수정” 192
8월 28일
『조선일보』, 1면, “맥선(線) 존속시키라, 이(李) 공보처장 성명 발표” 193
8월 30일
『민주신보』, 2면, “잊어버렸던 독도, 대일강화문제로 재등장, 한일 어획 경쟁 석일(昔日)부터 계속, 194
귀속 여부 상항 회의 관건, 엄연히 한국 영토인데 일본인들이 모략”
9월 1일
『민주신보』, 2면, "명백히 된 독도 귀속, 15세기 말엽 한인이 발견, 성종 2년 군역 피한 사람 197
수색으로 발견, 아(我) 정부 문헌을 양 대사에게 송부"
9월 5일
『민주신보』, 2면, "가증, 일 독도 자기 영토라고 주장, 노골화한 영토 야심, 포츠담선언, 맥 지령에도 198
엄연히 불포함, 경계하자! 독도 아닌 타 영토 수호에도"
『조선일보』, 2면, “경계할 일본의 재기, 민주 관용은 침략을 조장, 이 대통령 상항(桑港)회의 등에 언급 ” 200
9월 9일
『조선일보』, 1면, “한국은 요구권 보유, 상항(桑港)회의에서 덜레스 씨 연설” 203
9월 22일
『조선일보』, 2면, “파랑서조사단(波浪嶼調查團) 현지에” 204
11월 26일
『동아일보』, 2면, “독도를 죽도(竹島)로 자칭, 일 영유 주장, 조일신문 보도에 교포 분격” 205
11월 29일
『자유신문』, 2면, “독도는 우리 영토, 이 공보처장 일본에 경고” 206
6. 1952년의 독도 평화선 선언과 제2차 울릉도 독도 학술조사
1월 16일
『경향신문』, 1면, “재일동포의 사활문제, 한일회담에 부치는 좌담회, 상호간 감정 완화, 209
한일회담에 현지 대표 참석이 필요”
1월 26일
『자유신문』, 2면, “한국 해역 주권행사 선언의 파문, 공해 관습의 위반, 일본 정부 강경히 비난 개시 ” 210
1월 30일
『동아일보』, 2면, “인해권(隣海權) 선언에 일 정식 항의, 가증! 독도의 일본 영토를 주장” 211
2월 1일
『경향신문』, 1면, “국회와 협조로, 허(許) 서리 기자 회견 담” 212
『경향신문』, 2면, “독도는 엄연한 아(我) 영토! 해양 주권선언 당연, 일본 이의에 산악회서 반박” 213
2월 2일
『경향신문』, 1면, “인접해양 주권선언과 일본” 215
2월 17일
『동아일보』, 1면, “한일 본회담, 일본 주장” 217
3월 8일
『동아일보』, 2면, “독도의 한국 영토 입증, 귀중한 문헌 외무당국 입수” 219
4월 15일
『경향신문』, 2면, “중등 입학, 국가고시문제” 220
5월 2일
『동아일보』, 1면, “독도 문제 귀추 주목, 맥선(線) 철폐로 복잡화” 221
5월 6일
『동아일보』, 1면, “[사설] 한일어업문제” 222
5월 23일
『민주신보』, 2면, “어선단 대규모 확충 화급, 일본 어선 아(我) 해역에 불법 침범” 224
7월 12일
『조선일보』, 2면, “독도 근해서 조개 등 대량 어획” 225
8월 2일
『경향신문』, 2면, “독도 등에 조사단, 11반 구성 출발” 226
9월 12일
『동아일보』, 2면, “울릉도 독도 탐사, 산악회서 금일 출발” 227
9월 13일
『동아일보』, 2면, “독도학술조사단, 수일간 출발 연기” 228
9월 18일
『경향신문』, 2면, “울릉도·독도학술조사단, 17일 출발” 229
『조선일보』, 2면, “17일 출발, 울릉도 독도 학술조사반” 230
9월 21일
『경향신문』, 2면, “독도학술조사단, 현지에 무사 귀착” 231
『동아일보』, 2면, “독도에 또 폭격소동, 불안과 공포에 싸인 도민들” 232
『동아일보』, 2면, “미군 비행기로 추정, 독도학술조사단이 보고” 232
9월 22일
『경향신문』, 2면, “독도주변 어선을 폭격, 현지 학술조사단 보고” 234
『동아일보』, 2면, “폭격연습지 아님은 5공군도 확인하고 있다, 독도 무경고폭격에 상공장관 담” 235
9월 23일
『조선일보』, 2면, “독도를 또 폭격, 단발기 폭탄 4개를 투하” 236
9월 24일
『조선일보』, 2면, “침범시엔 발포! 일(日), 해양선언 무시에 단호 태도” 237
9월 25일
『조선일보』, 2면, “독도에 또 폭격 연습! 22일 쌍발기 4대가” 238
9월 26일
『동아일보』, 2면, “울릉도 우복(又復) 폭격, 학술조사단이 보고” 239
9월 28일
『동아일보』, 2면, “독도폭격 상금(尙今) 계속, 학술조사단 제4차 보고” 240
9월 29일
『동아일보』, 1면, “한국전쟁 양상 변모? 연안 전면 봉쇄 단행, 적의 해로 기습 등에 대비 ” 241
『동아일보』, 1면, “일선침범도 경계, 민간선박에 출입허가제” 242
『동아일보』, 1면, “신(新) 경비선서 독도는 제외” 242
9월 30일
『경향신문』, 2면, “천연자원이 사장(死藏), 독도의 어로 보호 긴요” 243
『조선일보』, 1면, “목적 못 이루고, 독도학술조사단 28일 무위 귀환” 244
10월 8일
『동아일보』, 2면, “독도조사단, 9일 보고회 개최” 245
10월 10일
『동아일보』, 1면, “유엔군 봉쇄선 일부를 개정? 정부 요청을 이해” 246
10월 11일
『동아일보』, 2면, “울릉도 조사단 보고회 성황” 247
10월 16일
『경향신문』, 2면, “독도 미답기(未踏記)(상) (김원용)” 248
10월 17일
『경향신문』, 2면, “독도 미답기(중) (김원용)” 250
10월 18일
『경향신문』, 2면, “독도 미답기(완) (김원용)” 252
7. 1953년의 독도 독도 경비와 제3차 울릉도 독도 학술조사
2월 28일
『동아일보』, 2면, “독도 어민 공포 일소(一掃), 공폭(空爆) 연습 중지를 미군서 보장” 255
3월 2일
『경향신문』, 1면, “대(對) 독도 야욕 미식(未熄), 일본 또 소유를 주장” 256
『마산일보』, 2면, “독도의 한국 귀속에 일(日), 금명 견해 표명시, 한일회담에서 토의 의향” 257
6월 29일
『동아일보』, 1면, “한국 어부 불법 체포, 일, 독도 영유 계속 주장” 258
7월 3일
『동아일보』, 2면, “침략의 상투 수단 노골, 일의 독도 침범에 국내 여론 비등” 259
『동아일보』, 2면, “역사적 제(諸) 증거 뚜렷, 일본의 영토란 만부당, 산악회 성명” 260
『동아일보』, 2면, “어민 납치는 불법행위, 행정 당국의 강력한 조치 절실, 어민회 성명” 261
7월 7일
『경향신문』, 2면, “일본의 괴이한 처사” 262
7월 8일
『동아일보』, 2면, “국회서 처리방안 논의, 일 정부의 독도 침점(侵占) 사건” 263
7월 9일
『경향신문』, 1면, “외무위원 독도에 관심 집중” 265
『경향신문』, 2면, “우리 경찰대를 파견, 일인이 건 현판 철거, 독도사건에 진 장관 언명” 266
『동아일보』, 2면, “독도의 일(日) 표식 제거, 조병옥(趙炳玉) 씨 피살설 무근, 진 내무장관 담 ” 267
『조선일보』, 2면, “국회의 태도 강경, 일본 경찰의 독도 침범문제” 268
7월 10일
『조선일보』, 1면, “독도사건에 건의안 8일 국회서 채택” 269
【참고자료】 국회 회의록(1953년 7월 6일) 270
【참고자료】 국회 회의록(1953년 7월 7일) 272
【참고자료】 국회 회의록(1953년 7월 8일) 288
7월 11일
『조선일보』, 2면, “독도에 군함 급파, 일인 침범 사실을 조사” 290
7월 15일
『경향신문』, 2면, “독도 보호에 실력 행사, 일(日) 안보청 순시선 불법상륙 기도” 291
『경향신문』, 2면, “조일신문의 보도” 291
『동아일보』, 1면, “일, 독도 영유 고집, 순시선 피격? 일(日) 대한(對韓) 항의” 292
『조선일보』, 2면, “일, 적반하장, 독도사건 항의설” 293
7월 16일
『동아일보』, 1면, “미(美)에 조정 요청? 독도 문제, 일(日) 외상 해괴 증언” 294
『민주신보』, 2면, “독도 문제 또다시 험악, 관계관 긴급 회동코 대책 강구” 295
『조선일보』, 2면, “독도는 단호 방위, 손 국방부 장관 담” 296
『조선일보』, 2면, “일선 2척 독도 침범, 정지 신호하자 도주” 296
『평화신문』, 2면, “일본 정부 의연(依然) 해괴한 고집” 298
7월 19일
『동아일보』, 1면, “독도 근해 초계 계속, 아(我) 해군 일선 침범에 대비” 299
7월 20일
『동아일보』, 1면, “독도 문제에 대일(對日) 통고? 18일 국무회의 결과 주목” 300
7월 24일
『경향신문』, 2면, “평화한 농촌의 묘사, 울릉도의 농가, 임석제(林奭濟) 씨 사진전에서” 301
8월 6일
『동아일보』, 1면, “일선(日船)의 영해 침범, 정부서 대일 항의” 302
8월 22일
『조선일보』, 2면, “독도에 해군 체류, 손 국방장관 기자회견 담” 303
9월 12일
『조선일보』, 2면, “독도에 일(日) 어선 200척, 추방 위해 함정(艦艇)을 파견” 304
『조선일보』, 2면, “철저히 추방할 터, 손 장관 강경한 태도 천명” 304
9월 17일
『경향신문』, 1면, “한일회담 재개도 의문시” 305
9월 18일
『경향신문』, 1면, “평화선 침범과 일본의 항의” 306
9월 27일
『조선일보』, 1면, “[사설] 오도(誤導)되는 일본 여론” 307
10월 3일
『동아일보』, 2면, “독도 등 답사, 대한산악회서” 309
10월 5일
『자유신보』, 1면, “독도·평화선 문제 위요(圍繞), 일본 측 고의로 배한(排韓) 여론을 선동, 310
김 공사(公使), 실증 들어 일 태도를 재차 통박”
10월 19일
『조선일보』, 2면, “독도 답사에 성공, 산악회 학술조사단 18일 귀경” 312
10월 20일
『경향신문』, 1면, “[사설] 일본의 태도 시정을 촉구” 313
10월 22일
『조선일보』, 2면, “독도에 다녀와서(1), 제1차는 상륙 실패, 표식없는 일본 경비선 근해에 출몰 (홍종인)” 315
10월 23일
『조선일보』, 2면, “독도에 다녀와서(2), 뜻 않은 ‘전파’의 격려, 해가 뜨며, 본격적인 작업을 개시 (홍종인)” 317
10월 24일
『조선일보』, 1면, “한일회담 절충 위해, 일 외상 방한을 시사” 320
10월 26일
『조선일보』, 2면, “독도에 다녀와서(3), 로빈손 크루소도 될 뻔, 15일 밤엔 고도(孤島)서 막영(幕營) 홍( 종인)” 321
10월 27일
『동아일보』, 1면, “한국령 표식 탈거(奪去), 일, 23일 독도를 침해” 324
『조선일보』, 2면, “독도에 다녀와서(4), 하룻밤 꿈을 맺고, 분화구 있는 독도와 기약없이 작별 (홍종인)” 325
10월 31일
『조선일보』, 2면, “독도에 다시 우리 표식, 백(白) 내무장관, 경북지사에 명령” 327
11월 15일
『동아일보』, 1면, “‘한국이 독도 침략 운운’, 일 정부, 미(美)에 구원 요청” 328
11월 16일
『자유신문』, 1면, “출어문제 미(美)와 협의, 일 외상, 독도 문제도 언급” 329
11월 26일
『조선일보』, 1면, “대일외교의 강화, 국회, 정부에 건의안을 가결” 330
8. 1954년의 독도 독도의 시설 설치와 경비 강화
1월 20일
『조선일보』, 4면, “우리나라 표식을 다시 건립, 20일, 독도에 경북도 직원을 파견” 333
1월 23일
『조선일보』, 2면, “독도에 영토표식, 19일 또다시 건립” 334
1월 25일
『조선일보』, 2면, “포항으로 무위 귀환, 독도 영토표식 건립대(建立隊)” 335
2월 2일
『동아일보』, 1면, “일령(日領)을 고집, 독도 문제에 일 회답문서” 336
3월 17일
『동아일보』, 1면, “독도 방위에 자위권, 일본 법제국 장관이 언명” 337
4월 2일
『경향신문』, 2면, “독도에 새로운 촉수, 일본 권위지도에도 한국 영토라고 명시, 인광채굴권 허가, 338
일(日), 매일(每日) 지(紙) 그 기만성을 야유(揶揄)”
4월 3일
『경향신문』, 2면, “독도 보호해주오, 울릉도민 당국에 진정” 340
5월 2일
『동아일보』, 3면, “‘독도를 수호하자’, 울릉도민회서 자위대 결성 결의” 341
『서울신문』, 3면, “독도 수호에 궐기! 울릉도민이 자위대 조직” 342
5월 3일
『조선일보』, 3면, “우리 영토를 수호, 독도의 자위대를 결성” 343
5월 5일
『경향신문』, 2면, “금년 내로 완성, 울릉도에 수전(水電) 건설” 344
5월 6일
『조선일보』, 2면, “독도 기록영화, 6일 치대(齒大)서 공개” 345
『조선일보』, 2면, “훌륭한 조직이다, 백 총리, 독도자위대에 협조 지시” 346
5월 13일
『조선일보』, 2면, “이번엔 암석에 조각, 독도에 영토 표식대를 다시 파견” 347
6월 2일
『경향신문』, 2면, “독도에 괴비행기, 기총소사코 하관(下關) 쪽으로 뺑소니” 348
『동아일보』, 2면, “독도에 정체 불명 기(機), 영토표식 향해 기총소사” 349
『조선일보』, 2면, “일함(日艦), 독도에 기총소사, 영토표식 말소가 목적?” 350
6월 4일
『조선일보』, 1면, “[사설] 독도의 우리 어민에 대한 일본 경비선의 발포” 351
『조선일보』, 2면, “정체 불명 기(機), 독도 상공서 사격, 당국, 일함(日艦) 기총소사 진상을 조사 ” 354
6월 5일
『경향신문』, 2면, “억지 쓰는 일(日) 정부, 독도 영토권에 또 망언” 355
『마산일보』, 2면, “독도 총격사건, 과학적 조사 진행” 356
『조선일보』, 2면, “일기(日機) 소행이 확실, 독도 총격사건의 진상 판명” 357
6월 6일
『조선일보』, 1면, “독도 영토권을 고집, 일 조약국장이 망언” 358
6월 7일
『조선일보』, 3면, “이번엔 우리 표식을 촬영, 거듭하는 일본의 독도 침범행위” 359
6월 8일
『조선일보』, 1면, “‘독도는 우리 영토’, 일본 주장은 어불성설, 외무부 반박” 360
6월 9일
『민주신보』, 2면, "악화된 평화선, 일본 측 독도 영유를 호언" 361
6월 12일
『조선일보』, 2면, “독도에 조사대 급파, 내무부, 독도사건 경위를 발표” 362
6월 16일
『조선일보』, 2면, “격랑 만나 귀환, 해양경찰, 다시 독도로” 363
6월 19일
『조선일보』, 2면, “평화선 수호에 이상 있다, 당국자 함정 부족 해결을 호소” 364
『조선일보』, 2면, “독도 방위 강화, 항만시설 적부(適否) 조사” 364
『조선일보』, 2면, “해양경비의 강화, 백(白) 장관, 필요성을 역설” 365
6월 20일
『경향신문』, 1면, “일본의 침략근성, 갈(葛) 처장, 독도 침범사건에 경고” 366
7월 16일
『경향신문』, 2면, “토비대(討匪隊)와 해양경찰, 국회위원들이 위문” 367
『조선일보』, 2면, "일 참의원 독도 조사계획, 엄중한 한국의 감시로 실패” 368
7월 20일
『경향신문』, 2면, “오만불손한 왜경(倭警), 독도 부근에 배회코 어민 협뱍” 369
7월 25일
『동아일보』, 3면, “독도 경비 강화를 명령, 일 참의원단 내도설(來島說)에 대비” 370
7월 26일
『조선일보』, 3면, “24일 현지로 출발, 독도시찰의원단” 371
7월 28일
『조선일보』, 2면, “독도시찰의원단, 기념 표식 새겨놓고 귀항(歸港)” 372
7월 29일
『동아일보』, 2면, “절해의 섬 독도를 찾아서, 어장(漁場) 보도(寶島)에 등대 설치 긴요, 373
남대문 연상되는 무수한 수문(水門)”
『조선일보』, 2면, “풍파 거센 독도, 민의원 시찰단과 동선하고, 암석에 기록된 시찰 표식, 376
무심한 갈매기의 외로운 표정”
『조선일보』, 2면, “명함인사를 배격, 김 치안국장, 독도 문제 등 언급” 379
7월 30일
『동아일보』, 2면, “해경대의 실태 해부, 영해 수호에 SOS, 부족된 함정, 비약한 장비의 강화 초미 ” 380
8월 5일
『조선일보』, 1면, “일측(日側) 만행 규탄, 자유당(自由黨)서 성명” 382
8월 8일
『조선일보』, 2면, “독도에 등대 세우라, 의원들, 무장병 배치도 주장” 383
【참고자료】 국회 회의록(1954년 8월 6일) 384
8월 13일
『경향신문』, 2면, “독도에 등대 완성, 우리 영역표식에 개가” 389
8월 14일
『동아일보』, 2면, “독도에 등대, 12일부터 점등” 390
8월 15일
『조선일보』, 1면, “[사설] 독도에 불멸의 등대” 391
8월 24일
『조선일보』, 2면, “독도의 등대 설치, 외교사절단에 통고” 393
8월 26일
『마산일보』, 2면, “선박과 인원 배치, 독도 경비에 만반 태세” 394
8월 29일
『동아일보』, 1면, “독도서 국군이 발포, 일 가소로운 항의” 395
8월 30일
『조선일보』, 3면, “독도와 울릉도 간 무선시설을 완비” 396
9월 1일
『경향신문』, 2면, “3,000만 환의 예산, 독도에 경비대를 파견” 397
9월 2일
『서울신문』, 3면, “독도를 완전 무장, 경관(警官)을 상시 주둔, 국무회의 최종 결정” 398
『조선일보』, 1면, “김 공사, 일본 정부에 항의, 일정(日艇)의 독도 상륙 기도사건” 399
9월 3일
『동아일보』, 1면, “일(日) 항의를 일축, 김 공사 독도 문제에” 400
9월 5일
『경향신문』, 1면, “한일 독도분쟁, 일(日) 국제법정 제소?” 401
9월 9일
『동아일보』, 2면, “독도 우표 발매, 내(來) 15일부터” 402
9월 11일
『동아일보』, 1면, “여하한 사태에도 대처, 독도 경비에 만전, 김(金) 치안국장 담” 403
9월 12일
『경향신문』, 3면, “독도 경비는 반석, 외침시엔 단호히 분쇄, 김(金) 치안국장 담” 404
『조선일보』, 2면, “외침시엔 국방력을 동원. 독도 방위에 만반의 준비 완료” 405
9월 13일
『조선일보』, 3면, “독도 근해를 유익(遊弋), 경비정 장비를 강화” 406
9월 24일
『경향신문』, 1면, “독도 문제, 국재(國裁)에 일(日) 제소?” 407
9월 26일
『경향신문』, 1면, “독도 문제를 국재(國裁)에 제소, 일 내각서 결정” 408
9월 27일
『동아일보』, 1면, “국재(國裁) 제소란 해괴, 독도사건, 정부, 일에 반박 회답 호(乎)” 409
『조선일보』, 1면, “일(日), 김 공사에 제의, 독도 문제의 국재(國裁) 제소” 410
9월 29일
『경향신문』, 1면, “독도는 한국 영토, 일본의 부당한 주장 단호 일축” 411
9월 30일
『경향신문』, 1면, “국재(國裁) 제소는 부당, 외무부서 독도 문제로 성명” 412
『마산일보』, 1면, “독도는 한국 영토, 외무부서 일 주장 논박” 413
10월 3일
『동아일보』, 1면, “[사설] 독도 문제에 대한 일본의 망론” 415
10월 6일
『경향신문』, 2면, “독도 침범엔 발포, 김(金) 치안국장, 강경책 시사” 417
『동아일보』, 2면, “일(日) 독도에 상륙 시도, 아(我) 경비진에 놀라 퇴각” 418
『조선일보』, 1면, “김 공사 귀국, 독도 문제 등 협의” 419
10월 7일
『경향신문』, 1면, “김 주일 공사, 경무대에 보고” 420
『조선일보』, 2면, “일선(日船) 독도에 접근, 아(我) 측 포문에 놀라 도주” 421
10월 8일
『경향신문』, 1면, “한일회담 조건 제시, 김(金) 공사, 기자회견에서 수긍” 422
10월 16일
『마산일보』, 1면, “일본 성의 표시 여하로 한일회담 재개 용의, 김 공사 외국 기자회견서 언명 ” 423
『마산일보』, 1면, “독도 문제 불일 정식 회답" 424
10월 25일
『경향신문』, 2면, “재일교포 위문단, 23일에 본사 방문” 425
10월 26일
『마산일보』, 1면, “일(日), 독도 문제 제소 실패, 한일회담 재개에 난제 개입” 426
10월 30일
『동아일보』, 1면, “한국 측 정식 거절, 일의 독도 문제 국제재(國際裁) 제소” 428
『마산일보』, 1면, “독도 엄연한 한국 영토, 국제재판소 제소 거부, 김 공사 일에 공식 각서 수교 ” 429
10월 31일
『마산일보』, 1면, “독도 제소 거부 후, 일본 태도 극 주목” 431
11월 12일
『조선일보』, 2면, “독도, 확연한 우리 영토, 60년 전 일인(日人) 간행지도에도 명시” 432
11월 16일
『경향신문』, 2면, “독도시찰위문단, 대구서 현지로 향발” 433
11월 22일
『경향신문』, 2면, “해괴한 일 정부의 처사, 독도 우표 붙인 우편물 반송 결정” 434
11월 24일
『동아일보』, 1면, “한국 해안포 사격, 독도 접근한 일선(日船)에” 435
『조선일보』, 2면, “국제협정의 위반, 일의 독도 우표 붙인 우편물의 반송설, 갈(葛) 처장 한일 우호 저해를지 적” 436
11월 25일
『경향신문』, 3면, “독도에 접근한 일선(日船), 해안포 사격에 격퇴” 437
『경향신문』, 3면, “수복지구에 우체국 개설, 체신장관, 독도 우표 언급” 438
11월 28일
『동아일보』, 1면, “독도 그린 우표 거부, 일 각의(閣議)서 정식 결정” 439
12월 2일
『마산일보』, 2면, “독도 우표 문제, 일측에서 항서” 440
12월 5일
『조선일보』, 2면, “독도는 한국 영토, 170년 전 일인 제작 지도에 명시, 영국박물관서 문헌 발견 ” 441
12월 7일
『동아일보』, 2면, “패류(貝類) 번식 적지, 독도 수산 실태 조사” 442
12월 8일
『동아일보』, 1면, “독도 문제 유엔 제소, 강기(岡崎) 일 외상 또 망언” 443
『마산일보』, 1면, “일측 망동을 응시! 강기(岡崎) 부수상, 독도 문제 고집” 444
12월 16일
『조선일보』, 3면, “일 정부의 항의는 부당한 간섭, ‘독도 우표’ 사용은 정당, 김 주일공사, 14일 회답 전달” 445
12월 17일 446
『서울신문』, 1면, “독도 문제와 나 (최남선)”
12월 20일
『조선일보』, 3면, “쌀 없어 기아 상태, 독도수비대서 구호 요청” 448
12월 22일
『서울신문』, 2면, “‘독도 우표’는 정당, 일 정부서의 불법화 계획 좌절” 449
3편 〈목록〉 1947~1954년 독도 관련 국내 언론보도 기사 목록
1. 1947년 452
2. 1948년 458
3. 1949년 460
4. 1950년 460
5. 1951년 461
6. 1952년 463
7. 1953년 468
8. 1954년 478
색인 494
자료 출처 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