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제의 재만 조선인 정책

일제의 재만 조선인 정책

김주용, 김태국, 이홍석 (지은이)
동북아역사재단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600원
17,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1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000원 -10% 600원 10,200원 >

책 이미지

일제의 재만 조선인 정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제의 재만 조선인 정책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61877374
· 쪽수 : 504쪽
· 출판일 : 2022-06-30

책 소개

1931년 만주사변 이후 그 지역에 ‘괴뢰 만주국’을 세운 일제는 조선인 이주정책을 적극적으로 실시하였다. 한반도 남부에서 거주하던 농민들은 선만척식주식회사라는 알선업체를 통해 집단으로 이주시키기 시작하였고, 1930년대 초 약 100만 명이었던 조선인 이주자는 1945년 해방 당시 약 220만 명에 달했다.

목차

서론 15

^^제1부 만주 지역 조선인 사회 형성과 일제의 조선인민회 정책

제1장 재만 조선인 사회의 형성과 중일의 조선인 지배정책
1. 만주 지역 조선인 사회의 형성 36
2. 중일 양국의 재만 조선인 사회에 대한 지배정책 44
제2장 1910~1920년대 조선인민회의 설립과 활동
1. 만주 지역에서 조선인민회의 설립 66
2. 조선인민회의 임원 구성 98
3. 조선인민회의 조직 체계와 성격 100
4. 조선인민회의 활동을 통한 재만 조선인 사회에 대한 지배력 구축 107
5. 일제의 만주 침략에서 조선인민회의 위상과 역할 128
제3장 ‘만주국’ 시기 전만조선인민회연합회의 설립과 활동
1. ‘만주국’ 시기 조선인민회의 통합조직으로서 전만조선인민회연합회 설립 134
2. 일본의 식민 지배정책과 전만조선인민회연합회의 활동 159
3. ‘만주국’ 식민 지배 구축에서 전만조선인민회연합회의 위상과 역할 191

^^제2부 일본영사관 경찰의 재만 조선인 통제^^

제4장 일본영사관 경찰의 만주 지역 거주지 침투와 확장
1. 일본영사관 경찰의 유래와 경찰기구 설치 198
2. 간도 지역의 일본영사관 경찰기구 설치 201
3. 남・북만 조선인 거주지의 일본영사관 경찰기구 설치 228
제5장 일본영사관 경찰의 재만 조선인 통제와 탄압
1. 일본영사관 소속 조선인 경찰의 조선인 통제 246
2. 일본영사관의 조선인 경찰용원에 의한 조선인 통제 260
3. 일본영사관 경찰의 조선인 친일단체를 통한 조선인 통제 272
제6장 일본영사관 경찰의 만주 지역 조선인 탄압
1. 일본영사관 경찰의 탄압 능력 강화 286
2. 만주사변 전 영사관 경찰의 한국 독립운동에 대한 탄압 312
3. 만주사변 후 영사관 경찰의 한인 항일운동에 대한 탄압 331

^^제3부 ‘만주국’ 성립 이후 일제의 조선인 이주정책^^

제7장 ‘만주국’ 성립과 조선인 이주정책
1. 만주사변과 ‘안전농촌’ 설치 354
2. ‘만주국’의 조선인 이주정책과 조선인 이주 실태 396
제8장 중일전쟁 이후 일제의 조선인 이주정책
1. ‘만주국’의 집단이민 정책 406
2. 흑룡강성 영안현 지역 집단부락 설치 418
3. 북간도 왕청현 나자구 지역 집단부락 설치 428
제9장 ‘개척민’의 등장과 ‘왕도낙토’의 실체
1. 만선척식회사와 ‘개척민’ 434
2. 조선인 개척민의 생활 실태 441
3. ‘협화’의 허구성: 왕도낙토의 변명 452
제10장 남은 자와 떠난 자들의 변주곡
1. 토지 점유와 정착: 중국 공민 조선족으로 458
2. 귀환 460

결론 465
부록 473
참고문헌 490
찾아보기 497

저자소개

김주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학교 역사문화학과 부교수. 동국대학교 문학박사. 『재만 조선인 통제(1)-재만 조선인 이주정책과 친일단체 육성』(동북아역사재단, 2021), 『일제의 재만 조선인 정책』(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2), 『한국독립운동과 만주: 이주, 정착, 저항의 점이지대』(경인문화사, 2018), 『만주지역 친일단체』(역사공간, 2014), 『대한독립대장정』(선인, 2021), 『일제의 간도 경제침략과 한인사회』(선인, 2008) 등.
펼치기
김태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연변대학교 인문사회과학학원 교수 국민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동북지구 조선인민회 연구』(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2007), 『중국조선족사료전집 력사편-이주사 10권』(연변인민출판사, 2011), 『간도신보 기사색인』(홍콩 아세아출판사, 2011), 『대련신문 한국독립운동 관계기사-해외의 한국독립운동사료』 41(국가보훈처, 2016) 등이 있다.
펼치기
이홍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연변대학교 인문사회과학학원 교수 중국 연변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日本驻中国东北地区领事馆警察机构研究-以对东北地区朝鲜民族统治为中心』(延边大学出版社, 2008), 『이민과 개발』(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1)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1879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