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88962021431
· 쪽수 : 534쪽
· 출판일 : 2010-04-20
책 소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기금의 목적
제3장 투자와 지출의 목적
제4장 투자철학
제5장 자산배분
제6장 자산배분 운용
제7장 전통 자산군
제8장 대안 자산군
제9장 자산군 운용
제10장 투자과정
책속에서
기금 축적의 목적을 이해하는 것은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첫 번째 단계다. 기금이 존재하는 이유를 정의함으로써, 수탁자들은 특정 투자의 목적을 명료하게 표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근본이 있는 방식으로 투자 정책과 과정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투자 목적은 기관의 다양한 투자 및 지출 정책이 적정한가를 측정할 수 있는 궁극적인 잣대를 제공하기 때문에 투자 목적은 펀드 운용 과정에 본질적인 기반이 된다. 투자 목표는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에 깔려 있는 철학적인 신조에 영향을 미치고 펀드매니저에게 중요한 지표를 제공한다. 투자자들은 기관의 목적을 얼마나 잘 달성시키는가를 기준으로 포트폴리오 자산 배분과 지출 정책의 조합을 평가함으로써, 포트폴리오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는 것을 투자과정의 핵심에 놓는다.
압도적으로 많은 수의 투자자들에 의해 발표되는 형편없는 투자 수익에도 불구하고, 적극적 종목 선택은 거의 모든 기관 투자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투자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펀드매니저들은 기회의 폭을 가장 넓게 제공하는 비효율적 시장에 집중함으로써 투자의 성공 확률을 높인다. 유동성이 떨어지는 자산에 투자하는 것은 참을성이 있는 장기적 투자자에게 매우 큰 수익을 안겨주며, 가치 지향으로 시장에 접근하는 방식은 안전 마진을 제공한다. 투자자들이 현명하고 조심스럽게 적극적 운용을 수행하더라도 효율적으로 평가된 자산 가격은 시장 수익을 초과하는 전략을 발견하고 구현하는 데 큰 어려움을 준다. 투자자들이 높은 수익을 내고 있는 자산을 매수하고, 낮은 수익을 내는 자산을 매도하는 일은 시장에서 자주 일어나지만 이럴 경우 시장 수익을 초과하는 수익을 낼 가능성은 극적으로 줄어든다. 이성적인 시장 효율성과 비이성적인 투자자들의 행태가 결합되어 종목 선택을 더 어려운 게임으로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