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초콜릿 초콜릿

초콜릿 초콜릿

(두 자매의 삶, 달콤한 초콜릿, 꿈을 함께해준 소중한 사람들)

진저 박, 프랜시 박 (지은이), 문수민 (옮긴이)
라이프맵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2개 85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초콜릿 초콜릿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초콜릿 초콜릿 (두 자매의 삶, 달콤한 초콜릿, 꿈을 함께해준 소중한 사람들)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외국에세이
· ISBN : 9788962602746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1-05-31

책 소개

초콜릿 마니아이자 작가인 프랜시 박과 진저 박은 워싱턴 코네티컷 가 모퉁이에서 25년간 워싱턴 최초의 초콜릿 전문점 '초콜릿초콜릿'을 운영하면서 동화 같은 삶을 살고 있다. 아메리칸드림을 일궈낸 재미교포 2세 프랜시 박, 진저 박 자매. 이 책은 '초콜릿초콜릿'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두 자매의 삶과 그곳을 드나드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목차

01. 키스의 맛, 바치초콜릿
02. 버건디그라페, 꿈의 가게로의 초대
03. 반달 버터크림 속에 녹아든 꿈
04. 샴페인트뤼플과 밸런타인데이 소동
05. 행운의 밀크초콜릿무스
06. 깔루아트뤼플 그리고 악마의 돔
07. 실연 뒤의 선물, 부숑
08. 피칸츄이바를 좋아하는 남자
09. 먼스터민트패티와 또 한 번의 이별
10. 수제 하우스트뤼플의 비밀
11. 별 다섯 개가 빛나는 초콜릿바
12. 다크아몬드바크는 영원히
13. 레몬헤븐과 새 보금자리

저자소개

진저 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워싱턴 D.C.에서 살고 있는 한국계 미국인 작가로, 글을 쓰며 초콜릿 가게를 운영하고 있다. 언니 프랜시스 박과 함께 『자유를 찾아 떠나는 여정: 한 어린이의 북한 탈출기(My Freedom Trip: A Child’s Escape from North Korea)』, 『여왕벌(Royal Bee)』, 『잘 있어, 신당동 382번지(Good-bye, 382 Shin Dang Dong)』, 『초콜릿 초콜릿(Chocolate Chocolate)』 등을 썼고, 국제도서협회(IRA) 아동 도서상, 패터슨 청소년 도서상, 조앤. G. 슈가맨 아동 도서상, IRA-CBC 교사 선정 도서, 주니어 라이브러리 길드 선정 도서를 비롯한 많은 상을 받았다. 『신의주 백선 백화점(The Hundred Choices Department Store)』은 진저 박의 첫 장편소설이다.
펼치기
프랜시 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워싱턴DC 코네티컷 애비뉴에서 1984년부터 ‘초콜릿초콜릿(Chocolate Chocolate)’을 운영하고 있는 프랜시 박(Frances Park), 진저 박(Ginger Park) 자매는 한인 이민 2세대이자 지역의 유명인사다. 미국 내 주요 매체들은 자매의 독특한 초콜릿 숍과 인생 스토리를 주목했다. 또한 그녀들은 북한을 탈출한 어머니의 실화를 소재로 한 『자유를 향한 여행 : 북한을 탈출한 아이My Freedom Trip(1998년)』와 19세기 한국을 배경으로 쓴 『여왕벌The Royal Bee(2000년)』로 국제도서협회 어린이도서상과 학부모선정 어린이도서상을 받은 동화작가이기도 하다. 영어로 쓰였지만 원초적 한국정서를 담고 있는 이들의 작품은 한국계 미국인의 정체성과 삶을 바라보는 따뜻한 시선으로 독자의 감성을 적시고 있다.
펼치기
문수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에서 예술학을 전공하였으며 글밥 아카데미 수료 후 바른번역 소속 전문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역서로는 『디자이너 브랜드 시작하기』, 『얼굴과 손 그리기』, 『리스크 판단력』, 『인생의 끝에서 다시 만난 것들』, 『독한 충고』, 『마우이 섬으로 가는 길』, 『1분 협상수업』, 『초콜릿 초콜릿』, 『워런 버핏의 위대한 유산』, 『킨포크』, 『왜 회사에서는 이상한 사람이 승진할까?』, 『면접이 막막할 때마다 꺼내 읽는 책』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인정할 건 인정하자. 초콜릿만이 엉망진창인 기분을 달래줄 수 있는 운수 사나운 날이 있는 법이다. 바로 그런 날 사람들은 자신을 홀리는 초콜릿 조각에 손을 뻗는다. 쇼콜라 뒤 주르(chocolate du jour, ‘그날의 초콜릿’이라는 뜻의 프랑스어)라고나 할까. 오늘 같은 날 어울리는 초콜릿은 어느 것일까 골똘히 생각한 끝에 프랜시는 선반에서 로열블루빛 상자를 꺼내 하얀 리본을 풀고 봉인을 뜯었다. 상자는 시거케이스처럼 위로 열렸고 그 아래 파란별이 새겨진 은색포일로 화려하게 차려입고 줄줄이 늘어선 봉봉의 자태가 드러났다. 둥근 덩어리처럼 생긴 이 봉봉의 이름은 바치(Baci, 이탈리아어로 ‘키스’라는 뜻), 세계적인 초콜릿메이커인 페루지나의 제품이었다. 맛은? 오페라가 따로 없었다.
“맘껏 먹자고.”
진저 앞으로 바치 하나, 바스락.
프랜시 몫의 바치 한 개, 바스락.
바치는 포장을 뜯는 것마저도 섬세한 경험이다. 포일 안쪽에 끼워진 사랑의 글귀는 함께 싸여있는 부드러우면서도 바삭한 헤이즐넛 초콜릿만큼이나 큰 위안이 되어주었다. 머지않아 신나는 연애를 하게 되리라고 적혀 있었으니까. 우리 둘 다 별다른 연애를 하고 있지 않았으므로 희망적인 운세를 읽고 나자 바치는 곱절이나 더 맛있게 느껴졌다. 순간 삶이 조금 더 밝아졌다.


‘초콜릿중독(chocoholic)’이라는 단어가 생겨나기도 전부터 초콜릿중독이었던 우리에게 초콜릿 전문점을 여는 건 세상에서 제일 자연스러운 일처럼 여겨졌다. 초콜릿이 천정까지 꽉 들어차고 초콜릿향기가 거리까지 흘러나와 길 가던 손님들을 유혹하는 그런 가게를 꿈꿨다. 어쩌면 친구를 사귈 수 있을지도 몰랐다. 초콜릿을 쌓아 풍요로운 사업과 삶을 일구자. 앞으로는 가게가 제2의 보금자리가 될거야.
문제는 없었냐고? 눈먼 생쥐 두 마리처럼 도통 우리가 뭘 하고 있는지 몰랐다는 게 문제였다. 초콜릿을 좋아한다는 것 외엔 아무런 것도 명확한 것이 없었다. 대체 어떻게 동화에나 나오는 초콜릿 성을 지을 것인가? 가게 이름부터가 문제였다.
초콜릿 천국? 아냐. 초콜릿 바? 아냐, 아냐. 초콜릿 사랑? 아냐, 아냐, 안 돼.
진저가 오븐에서 다 구워진 브라우니 한 판을 끄집어냈다. 하지만 둘 다 머릿속으로는 미래의 가게에 어울리는 이름을 생각해내려 애쓰고 있었다. 생각해… 젠장, 생각하라고…! 브라우니에서 풍기는 달콤한 향기 때문에 도저히 집중할 수가 없었다.
진저는 종이냅킨 크기와 맞먹을 만큼 커다란 브라우니 조각을 잘라 언니에게 건넸다. 한입 베어 물자 행복에 겨운 신음소리가 절로 흘러나왔다.
“진저…, 어디서 이 조리법을 찾아낸 거야? 이건 진짜 초콜릿스러운걸.”
“조리법 같은 건 없어. 초콜릿스러운 맛을 두 배로 내려고 초콜릿칩을 넣었을 뿐인걸. 더블초콜릿이라고나 할까.”
진저가 브라우니를 우물거리며 말했다.
프랜시가 부스러기를 핥으며 꿈꾸듯 눈을 반쯤 감았다.
“초콜릿… 초콜릿….”
진저가 눈을 동그랗게 떴다.
“방금 뭐라고 했어?”
“뭐라고 했느냐니…, 초콜….”
자매끼리만 통하는 바로 그 순간, 우리는 번개를 맞은 듯했다.
“그래, ‘초콜릿초콜릿’이 좋겠어!!!”


주머니에는 돈이 있었고 잠잘 만한 바닥이 있었지만 엄마는 거지나 별다를 바 없었다. 쌀은 겨우 배급으로나 받을 수 있었고, 팔 물건이 없는 시장은 휑뎅그렁했다. 어느 날 엄마는 작은 가게 앞을 지나갔다. 그 가게의 진열장도 여느 가게와 다름없이 거의 비어 있었지만 무언가 가 엄마의 눈을 끌었다. 배가 고파서 헛것이 보이는 걸까? 눈앞에는 마음을 사로잡는 신기루가 도사리고 있었다. 지금껏 본 것 중에서 가장 큰 초콜릿바가 가득 든 통이었다. 갈색 포장지에 영어가 쓰여 있었다. 숨을 삼킨 엄마는 가게 주인에게 물었다.
“이게 다 어디서 난 거예요?”
주인은 날카로운 목소리로 말했다.
“공산당 녀석들이 미군 PX에서 쓸어온 걸 나한테 판 거야.”
암시장의 초콜릿. 그보다 더 맛있는 게 어디 있으랴? 엄마는 두 번 생각할 겨를도 없이 호주머니를 털었다.
그날 밤 미군의 B-52 전투기가 서울에 폭격을 퍼부었다. 이웃의 하숙집이 불타 사라지고 파편이 날아와 엄마의 머리 위에 있던 교회의 창유리를 산산조각내는 동안 엄마는 허쉬초콜릿바를 품에 넣고 두꺼운 군부대용 담요 아래 웅크리고 있었다. 그리고 다짐했다.
“죽을 운명이라면 초콜릿을 먹다 죽겠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