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생산/품질/물류관리
· ISBN : 9788962604184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12-09-10
책 소개
목차
서문
생산 관리란 무엇인가?
01 생산이란 무엇인가?
02 생산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
03 최근의 생산 흐름은 어떠한가?
04 생산에는 어떠한 형태가 있는가?
05 생산에는 어떠한 방식이 있는가?
06 생산 관리란?
07 생산 관리의 3요소
08 생산 관리의 3가지 근간
왜 생산 관리가 필요한가?
09 생산 관리가 필요한 이유
10 생산 관리의 기능
11 생산 관리의 대상
12 생산 관리의 목적
13 생산 관리의 활동
14 생산 형태와 생산 관리의 관계
15 생산 관리의 담당 부서는?
16 생산 관리 구조의 구성
17 생산 관리 체계의 구성
18 생산 관리의 관리 사이클 구조
생산 관리의 현황
19 생산 형태의 구성
20 생산 방식의 분류
21 자사 제품의 흐름
22 생산 전개 시 필요한 전달 항목
23 구매 방식의 분류
24 생산 관리 시스템이란?
25 생산성이란?
26 개선 활동이란?
27 방침 관리란?
28 활동 관리판의 관리
생산 관리에 필요한 각종 관리
29 공정 관리란?
30 품질 관리란?
31 구매 관리란?
32 자재 관리란?
33 외주 관리란?
34 재고 관리란?
35 설비 관리란?
36 레이아웃 관리란?
37 물류 관리란?
38 원가 관리란?
생산 계획의 진행 방법
39 수요 예측이란?
40 생산 계획이란?
41 생산 계획은 왜 필요한가?
42 생산 계획의 작성 부서는?
43 생산 계획은 어떻게 수립하는가?
44 달성 가능한 생산 계획 수립
45 공정 계획이란?
46 부하 계획이란?
47 일정 계획은 어떻게 수립하는가?
48 생산 체제와 재고 계획의 조정
생산 통제의 진행 방법
49 생산 통제란?
50 진척도 관리는 어떻게 진행하는가?
51 눈으로 확인하는 관리란?
52 산업공학이란?
53 현품 관리란?
54 생산 중 제품 관리란?
55 작업 관리란?
56 공수 관리, 여력 관리란?
57 생산량 관리란?
다양한 생산 방식
58 라인 생산 방식이란?
59 1인 생산 방식이란?
60 컴업 시스템이란?
61 CIM이란?
62 도요타 생산 방식이란?
63 저스트 인 타임 생산 방식이란?
64 간판 방식이란?
65 평준화 생산이란?
66 생산 시점 정보 관리란?
67 ISO14001과 환경 대응 생산 시스템이란?
QCD를 향상시키기 위한 생산 관리
68 고객의 요구 품질 충족
69 목표 원가 내의 생산 활동
70 납기 준수
71 최적의 라인 편성
72 신뢰성이 높은 설비의 도입
73 ABC 분석으로 관리를 간소화하기
74 표준 작업을 지키기 위해서는?
75 생산 로트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76 적정 재고의 산출 방법
77 제조물책임법에 대응하기
생산 체질의 개선
78 리드 타임을 단축한다
79 다능공을 육성한다
80 동작경제의 원칙을 활용한다
81 기존 라인을 재편성한다
82 가공 시간을 단축한다
83 공정 변경 시간을 단축한다
84 유휴 시간을 단축한다
85 설비 정지 시간을 단축한다
86 현장 개선 5원칙을 시행한다
87 유연성이 높은 설비를 도입한다
88 공장 내 물류를 개선한다
89 ISO9001의 인증을 취득한다
향후의 생산 관리
90 MRP를 도입한다
91 MPS가 MRP를 좌우한다
92 MRPⅡ를 도입한다
93 ERP를 도입한다
94 제약 조건 이론을 도입한다
95 SCM을 도입한다
96 EMS를 활용한다
97 식스시그마(6σ) 기법을 도입한다
98 패키지 소프트웨어를 도입한다
99 NWS를 구축한다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