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뇌과학 > 뇌과학 일반
· ISBN : 9788962626421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25-01-24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글 005
프롤로그: 독자에게 010
서론: 집단학살을 예방하려면 이해가 필요하다 022
신경과학의 역할 030
WEIRD가 아닌 인구 집단은 거의 만나지 않는 신경과학자들 034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인터뷰 수행 039
인터뷰 진행 045
이 책에 관하여 051
단 하나의 생명도 중요하다 059
1장 집단학살 가해자들의 말 들어보기 062
르완다와 캄보디아에서의 인터뷰 수행의 어려움 068
인터뷰 해석 080
집단 공격 082
(나쁜) 권위에 대한 복종 084
강요에 따른 가담 090
결론 106
2장 복종에 관한 실험적 연구의 간략한 역사 108
복종 연구의 탄생: 초기 실험 연구의 통찰력 112
밀그램의 복종 실험 116
밀그램과 유사한 접근법을 사용한 다른 연구 121
밀그램과 유사한 연구의 결함 126
밀그램의 연구 이후의 복종 연구 130
복종을 연구하는 새로운 실험적 접근법 133
실험실 실험이 실제 잔혹행위를 반영할 수 있을까? 147
결론 148
3장 우리는 어떻게 우리 행동에 주인의식과 책임감을 가지는 것일까? 150
주체의식과 인간의 두뇌 157
자신의 행동에 책임지기 162
개인 간 책임의 분산 167
복종 상황에서 감소된 주체성과 책임감의 신경적 근원 173
고도로 계층적인 사회 구조의 영향 181
결론 186
4장 복종할 때의 도덕적 감정 188
뇌는 공감을 느끼도록 설정되어 있다 191
공격성 증가, 공감 저하, 공감 조절 203
‘우리’ 대 ‘그들’ - 비인간화와 집단 잔혹행위로 가는 길 214
인간 행동에 미치는 비인간화의 영향 223
명령 복종은 죄책감과 관련된 신경 기반에 영향을 미친다 229
결론 234
5장 명령을 내릴 때 명령자의 뇌 속에서는 236
계층적 사슬의 복잡성에 관하여 243
지도자들이 자신의 명령 아래 행해진 잔혹행위를 책임지는 경우는 얼마나 될까? 245
지도자의 도덕적 의사 결정 251
명령자와 중간자의 뇌 256
기계에 명령하기: 계층적 사슬의 새로운 과제? 262
6장 황폐함은 어디에나 있다 266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이해 271
스트레스가 많은 사건은 뇌를 변화시킨다 275
전투원들의 말하지 않은 고통 280
전쟁의 도덕적 결과 283
전쟁 트라우마 피해자의 PTSD 288
회복력의 개념 294
트라우마의 후유증이 세대를 거쳐 전해질 수 있을까? 298
전쟁, 트라우마, 갈등, 전쟁, 트라우마, 갈등: 끝없는 순환 303
7장 결론: 어떻게 평범한 사람들이 부도덕함에 맞서 싸우는 것일까? 306
역사 속에서 구조자 알아보기 313
타인을 도우려고 모든 위험을 무릅쓰는 사람은 누구인가? 319
비용이 많이 드는 도움 행위의 신경과학 325
실험실 환경에서 사람들을 불복종하게 만드는 방법 329
부도덕한 명령에 대한 저항의 신경과학 334
결론 340
에필로그: 희망의 지평선 342
감사의 글 346
참고문헌 350
찾아보기 376
리뷰
책속에서
충격적인 진실은 가해자들이 우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이다. 과거 연구를 예로 들면 연구자들은 테러 공격을 계획하는 지하드 구성원들에게 정신 건강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지 못했다.11 실제로 그들은 대부분 교육을 받았고 결혼했으며 자녀도 있었다. 그들은 비록 외로움과 고립감을 느끼며 자신과 강하게 연결된 가치를 공유하는 집단의 운동에 참여할 의향이 있었지만, 정신 질환을 앓고 있지는 않았다. 유명한 정치 철학자이자 나치 집단학살의 생존자인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는 나치의 주요 기획자 중 한 명인 아돌프 아이히만Adolf Eichmann이 괴물이 아니었다고 이미 결론을 내렸다. 그보다는 총통Fuhrer을 섬기며 총통의 이념을 공유하는 관료적 광대로 보았다. 유대인 생존자 엘리 위젤Elie Wiesel은 이렇게 말했다. “그들이 악마가 아니었다는 것이 악마적이다.”
-서론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인터뷰 수행」
실제로 밀그램의 연구 결과는 이런 종류의 자기 예측 결과와 약간 달랐다. 밀그램의 획기적인 실험에 참가한 사람은 40명이었다. 이들 중 65퍼센트는 실험을 중단해 달라는 학습자의 비명과 애원 소리가 들리는데도 최대 전압 강도를 부과했다. 중요한 것은 참가자 중 누구도 300볼트의 충격 강도 전에 멈출 것을 요청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는 중요한 질문을 제기한다. 참가자들은 왜 복종했을까? 일반적인 사람이 다른 참가자에게 고통스럽고 치명적인 전기 충격을 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밀그램은 자신의 연구를 통해 얻은 복종 수준을 설명하려고 노력했다. 그는 사람들이 실험자의 명령을 따를 때 자신의 주체성과 책임을 실험자에게 넘긴다고 설명했다. 그들은 ‘생각 없는 행동 주체thoughtless agents of action’가 되어 ‘대리적 상태agentic state’에 들어간다.
-2장 복종에 관한 실험적 연구의 간략한 역사 「밀그램의 복종 실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