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63240763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10-10-29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들어가며
1장 신체미학과 자기 돌보기 _미셸 푸코
푸코의 몸에 관련한 생각을 응용하여 신체미학, 특히 분석적 신체미학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동성애와 사도 마조히즘적 성행위에 도착하였던 푸코의 독특한 신체미학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의 극단적 주장을 어떤 방식으로 수정하여 긍정적 프라그마티즘 신제미학에 적용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2장 침묵하는, 절름거리는 몸의 철학 _메를로퐁티의 신체적 주목의 부족
서양에서 몸에 대한 가장 체계적인 이론을 세운 현상학자로 일컬어지는 메를로퐁티의 신체철학을 살펴본다. 몸의 자발성, 즉각성 그리고 내재적 가치 등의 교육되거나 정화되지 않은 상태의 반성을 통하지 않는 몸의 성질을 높이 평가하는 메를로퐁티의 이론의 배경은 무엇이며,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알아본다.
3장 신체적 주관과 신체적 종속 _시몬 드 보부아르의 성과 노화
우리 사회의 주류 세력인 젊은 남성이 아닌 여성과 노인의 몸이 어떻게 우리 사회에서 소외되고 부정적으로 여겨지고 있는지에 대한 보부아르의 견해를 밝히고 있다. 이러한 소외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슈스터만은 이들에게 이상적인 모습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노화를 건강하게 받아들이는 방법에 관해서도 생각해 본다.
4장 비트겐슈타인의 신체미학 _심리철학, 예술철학, 정치철학에 있어서의 설명과 개선
비트겐슈타인의 심리철학, 예술철학,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그가 몸을 철학에 있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슈스터만은 이들에 대해 포괄적이고 이들 사이의 경계에 비판적인 비트겐슈타인의 이해에 동조하면서 특히 몸의 이러한 범교과적 특성을 프라그마티즘적으로 우리에게 유용하게 적용할 것을 주장한다.
5장 태풍의 눈으로 더 깊이 _윌리엄 제임스의 신체철학
미국의 저명한 심리학자이자 프라그마티스트인 윌리엄 제임스의 신체철학을 살펴본다. 몸을 모든 경험의 핵심이라고 생각하였던 제임스는 습관, 의식의 흐름, 정서 등 여러 부분에서 몸에 관련한 문제를 분석하고 있는데, 이 장에서는 그러한 그의 분석뿐만 아니라 삶의 철학을 주장해온 제임스가 몸의 이론을 실생활에서 어떻게 실천했는지가 드러나 있다.
6장 신체적 반성 되찾기 _존 듀이의 몸과 심리철학
이원론에 반대하여 몸과 마음을 통합체로 볼 것을 주장한 듀이의 입장을 살펴본다. 어떤 목적을 향할 때 더욱 심화되는 성질을 지니는 심신 통일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듀이의 주장과 함께, 알렉산더의 몸 이론에 대한 그의 일방적인 지지에 대한 배경과 문제점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역자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