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비극은 그의 혀끝에서 시작됐다

비극은 그의 혀끝에서 시작됐다

(심리학자와 언어전문가가 알기 쉽게 풀어낸 말의 심리)

박소진, 이미정 (지은이)
  |  
학지사
2012-02-20
  |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11,700원 -10% 0원 390원 11,3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비극은 그의 혀끝에서 시작됐다

책 정보

· 제목 : 비극은 그의 혀끝에서 시작됐다 (심리학자와 언어전문가가 알기 쉽게 풀어낸 말의 심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이론 심리학
· ISBN : 9788963308258
· 쪽수 : 224쪽

책 소개

‘말’속에 숨은 본심을 파헤친다. 사소한 말 한마디에도 상처받는 나를 위한 심리학자 박소진과 언어전문가 이미정의 명쾌한 멘토링을 만날 수 있다. 상대방의 심리를 알기 위한 가장 강력한 수단이자 기본적인 단서는 ‘언어’다. 이 책은 심리학과 언어치료학을 전공한 두 저자가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말과 관련된 심리를 알기 쉽게 풀어 쓴 말 심리학책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1장 오해와 상처
나를 외치다
부정방어 vs. 자기개방
저 잘난 맛에 산다
왜곡된 자기사랑
욕 없이 대화가 안 돼
욕의 미학
내 말이 곧 진리다
잘 못된 자기주장
참 대단하시군요_
비아냥거림
술을 잘 못해요
내숭과 후광효과
비극은 그의 혀끝에서 시작됐다
영화 <올드보이>

2장 진실 혹은 거짓
‘사랑한다’는 말의 의미
책임지기
무조건 ‘예스’라는 말에 속지 말 것
수동공격성
확실히 내 팔자는 사납다
부정왜곡 극복하기
누구나 혼잣말을 한다
환각 또는 망상
칭찬에도 의도가 있다
칭찬보다는 격려를 부탁해
도대체 어떡하라는 거야
이중메시지의 함정
공부 하나도 안 했어요
믿을 수 없는 사실, 거짓말
우리 아이에겐 장애가 있어요
마음 읽기가 어려운 사람들

3장 분석과 공감
여자들에게 필요한 것은 위로와 공감
분석하는 남자와 공감하는 여자
결혼하면 여자가...
결혼관의 남녀 차이
오빠라고 불러 봐
오빠의 재탄생
나는 길치다
공간인식과 설명의 차이
남녀의 말은 왜 다를까
영화 <냉정과 열정 사이>

4장 실수와 유희
역부족+힘겹다=역겹다
통쾌한 말실수
그게 이름이 뭐였더라
건망증 vs 명칭실어증
저 지금 떨고 있어요
사회불안 줄이기
혀가 짧아서 발음이 나쁘다고?
잘못된 발음습관
말을 더더더듬지 않고 싶어요
정상적 비유창성 vs. 말더듬
나나가 지구에 오면 뭐가 될까요?
언어 유희의 즐거움

5장 표정과 몸짓
몸이 하는 말을 들어 보세요
몸짓의 심리
당신의 눈동자가 흔들리고 있군요
눈은 그 사람의 마음을 닮는다
연습하면 늘어요
무언의 대화, 스킨십
무슨 말을 해야 할까
침묵의 다양한 의미
먼로의 눈이 내게 말해요
눈빛의 언어
몸은 거짓을 말하지 않는다
비언어적 단서들

저자소개

박소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인지행동심리학회(협) 대표. 덕성여대에서 심리학을 전공(박사 수료)했고 덕성여대, 추계예대, 단국대 대학원에 출강했고 그 외 다양한 강의를 현재 진행 중이다. 그가 쓴 대표적인 저서로 『인지·행동치료 개론』(공역), 『인지상담의 이해와 실제』(공저), 『영화관에 간 심리학』, 『사람의 마음을 읽는 법』 등이 있다 그의 어려서 꿈은 심리학자가 아닌 작가로 지금도 작가가 되기 위해 한발 한발 나아가고 있다. 한국인지행동심리학회 협동조합
펼치기
이미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 졸업 후 아동 관련 일을 하면서 언어치료에 관심을 갖게 되어 명지대학교 대학원에서 언어치료학 과정을 밟았다. 늘 긍정적인 마음으로 새로운 일에 도전하는 것을 즐기며, 언어장애전문가로 현장에서 일하고 있다. 아이들이 성장하고 성숙해 가는 모습을 볼 때, 가장 큰 보람과 행복을 느낀다. 현재 덕성언어심리연구소에서 부소장직을 맡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1장 오해와 상처
비극은 그의 혀끝에서 시작됐다 영화 <올드보이> 中


우진은 왜 오대수를 15년간 감금했을까
철웅 : (심부름센터) 밉지만 차마 죽일 수 없는 놈, 죽이는 걸로는 부족 할 만큼 미운 년,
저희가 처리합니다.
우진 : 오래 갇혀 있으면 미치지 않나요?
철웅 : 원치 않으실 경우에는 저희가 약물을 좀 투여할 수 있습니다.
뭐 언제나 문제는 기간입니다만. 손님께서는 어느 정도?
우진 : 15년입니다.




철웅 : (헉! 숨 들이마시는 소리) 무슨 죄를 지었기에
우진 : 오대수는, 말이 너무 많습니다.
대수 : (내레이션) 물론 지금의 나는 그렇게 말이 많지 않다.

영화를 본 사람이라면 오대수가 술을 마시고 경찰서에서 보였던 온갖 추태를 떠올리며 ‘그래 참 말 많은 놈이야.’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우진의 대사의 속뜻은 해서는 안 될 말을 했다(우진과 자신의 누이의 ‘금지된’ 사랑을 폭로한 것)는 의미로 받아들여야 한다. 행간을 읽지 못하면 오대수가 수다스럽고 게걸스럽게 말을 많이 했기 때문에 15년이나 감금됐다는 웃지 못할 이야기가 돼 버린다. 다시 말해 오대수가 해서는 안 될 말을 발설한 죄, 그것을 우진은 “말이 너무 많다.”라고 표현한 것이다.

오대수는 자신이 한 말이 어떤 결과를 초래할 것인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지 못했다. 자신의 발설로 결국 우진의 누이는 자살을 하고 말았다. 사랑하는 누이의 죽음 앞에서 우진은 결심한다. 너도 나와 같은 죄를 짓게 하고 결국은 고통 속에 살게 하겠다고.
이를 짐작하게 하는 대목은 영화 전반부 우진의 대사 속에 나온다.

“자갈돌이나 바위돌이나 물속에 가라앉기는 마찬가지예요.”

영화 <올드보이>(박찬욱 감독, 2003)는 ‘근친상간’이라는 금기를 통해 역설적으로 선과 악의 불분명한 명암을 보여 주고 인간의 원죄의식을 일깨움으로써 어떤 인간도 이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음을 보여 줬다.
어쨌든 발단은 부주의하게 내뱉은 말로 시작된다. 그리고 그 말로 인해 치명적인 결과가 초래된 것이다. <올드보이>가 주는 교훈이 “말조심 하자.”는 아니더라도 말의 위력을 인식하고 아무 말이나 함부로 내뱉어서는 안 된다는 것은 명심해야 할 것 같다.
이 영화처럼 극단적이진 않아도 말로 인해 많은 일들이 벌어지곤 한다. 돌이켜보면 ‘그때 그런 말을 하지 않았더라면’ ‘그때 이렇게 말해 주었더라면’ ‘그(녀)가 왜 그런 말을 했을까’ 하고 후회하거나 상처 받았던 경험들이 있을 것이다.

말은 생각을 표현하는 도구 중 하나
.........가령 <시크릿 가든>에서 오스카가 슬에게 청혼했을 때 슬은 “나한테 오빠는 이제 한물간 스타인데 오빠는 나랑 결혼할 생각이었나 봐. 생각보다 순진하네. 실망스럽게.”라고 차갑게 대한다. 드라마의 내용을 미루어 짐작해 보면 실제로 슬이가 하고 싶었던 말은 “청혼이 진심인 거야? 친구 준혁이에게 한 말은 무슨 뜻이지? 나는 그런 당신을 믿을 수 없어.”일 것이다.
우리가 의식하든 의식하지 못하든 언어적인 것 이외에 표정이나 몸짓과 같은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이 따라오고 실제로 상대방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비언어(표정, 몸짓, 목소리 톤 등)적인 것이 더욱 중요할 때도 많다.
오스카는 슬에게 배신감을 느끼지만 슬의 당당한 태도를 보며 ‘쟤는 뭐가 저렇게 당당해? 잘한 것도 없으면서.’라며 속으로 생각한다. ‘그러면서 뭔가 오해가 있지 않을까’ 하는 느낌을 받게 된다.
앨버트 메라비언Albet Mehrabian은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7%의 문자언어와 38%의 구두언어, 55%의 몸짓언어가 작용해야 한다고 말한다. 구두언어만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데 분명한 한계가 있음에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구두언어로 소통하려 하고 이를 통해 상대방의 생각을 확인하고자 한다. ......


3장 분석과 공감
오빠라고 불러 봐 오빠의 재탄생 中...


.........자신보다 세 살 연하의 남자와 사귀고 있는 효진은 둘 사이의 호칭 때문에 종종 애정싸움을 벌인다. 남자친구는 헤어질 때나 전화 통화를 끝내기 전에 “오빠라고 불러 봐.”라고 장난스럽게 말을 하곤 한다. 정색하고 하는 말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그냥 지나가는 말도 아닌 것 같다. “네가 먼저 누나라고 불러 주면 오빠라고 불러 줄게.”라고 응답하면 은근히 토라지는 것도 같다. 정작 누나라고 꼬박꼬박 부르면 속으로 ‘나이 많다고 놀리는 건가’ 싶은 마음이 들면서도 나이 어린 남자친구에게 ‘오빠’라는 호칭이 선뜻 나오지 않는다.
남자들은 유난히 다른 호칭보다 ‘오빠’라는 말을 듣고 싶어 하는 것 같다. 여러 해석이 가능하겠지만 우리 사회에 아직까지 유교적 전통이 남아 있다고 봤을 때, 남자들이 바라는 ‘오빠’라는 호칭은 남자로서의 능력을 인정받고자 하는 의미가 포함돼 있다........

................이런 상황적 맥락 이외에도 사회문화적 맥락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1980년대와 1990년대 초에 대학가에선 남자 선배를 ‘형’이라고 불렀던 적이 있다. 지금 대학생들은 “왜”라며 의문을 가질 만하지만, 그때 당시의 분위기는 여자 후배가 남자 선배를 ‘오빠’라고 부르는 것은 스스로를 나약하고 의존적인 존재로 인정하는 것으로 비춰졌던 것 같다(당시 대학가에서 남자 선배를 부를 때, 학형의 줄임말로 형이라는 호칭을 쓴 것이나 실제로는 여성성에 대한 부인이나 이를 드러내서는 안 된다는 강박관념의 작용일 수도 있다.)...................

..............불혹이 넘은 나이에도 ‘어린왕자’라고 불리는 가수 이승환의 콘서트에 간 적이 있다. 감미로운 목소리로 노래를 부르며 환호를 받던 그가 뿌듯한 표정으로 객석을 향해 이런 말을 했다. “저보고 오빠라네요.” 무대 앞쪽의 여성 관객들이 그를 오빠라고 부르며 환호를 했던 것이다. 자주 들었겠지만 40대 중반이 넘은 그에게도 오빠라는 호칭이 흐뭇했던 모양이다.
단어에는 고유의 의미가 있지만 여기에는 말하는 사람의 의도도 포함된다. 남자들은 연인 관계에서 오빠라는 말을 들으면 왠지 으쓱해지고 ‘이 여자가 나를 믿고 의지하는구나.’ 싶어 더욱 잘해 주고자 하는 마음이 생긴다.
대부분의 남자들은 목표지향적인 경향이 강하고 자신의 능력을 과시하고 싶어 하기 때문에 누군가가 자기를 필요로 할 때 힘이 솟구치는 법이다. 반대로 친해지고 싶지 않은 여자가 자신을 오빠라고 부르면서 매달리면 그때는 오빠라는 호칭이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다. 아무리 좋은 호칭도 상황에 맞게, 누울 자리를 보고 발을 뻗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분위기 파악 못하는 사람이 될 뿐이다.
언어는 맥락에 따라서 그 의미나 뉘앙스가 달라진다. 남자들이 듣고 싶어 하는 ‘오빠’는 내가 생각하는 그 ‘오빠’가 아니다. 사랑한다면 싸우지 말고 그냥 불러 줘도 좋을 것 같다.
“오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