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중어중문학
· ISBN : 9788963563787
· 쪽수 : 314쪽
· 출판일 : 2022-12-30
책 소개
목차
[prologue] 중국어와 중국어권 vii
제1장 중국의 근대, 중국어권의 근대 3
1.1 에스페란토와 중국어 페시미즘 / 1.2 중국어 근대화의 여정 / 1.3 근대 중국의 언어개혁운동과 내셔널리즘 / 1.4 현재 진행형의 언어개혁운동
제2장 한어병음과 중국어권 31
2.1 “한자불멸, 중국필망” / 2.2 한자와 알파벳의 만남 / 2.3 한자 폐지 논쟁의 막후 / 2.4 근대 창힐(蒼頡)들의 새로운 문자 / 2.5 주음자모에서 라틴화신문자까지 / 2.6 한어병음의 탄생 / 2.7 한자폐지론은 왜 실패했나?
제3장 한자와 중국어권 61
3.1 한자, 3천년의 대장정 / 3.2 간화자의 탄생 / 3.3 한자와 중국어의 만남, 우연인가 필연인가? / 3.4 최근의 번(繁)・간(簡) 논쟁 / 3.5 번・간 논쟁의 쟁점 / 3.6 한자의 미래
제4장 중국어권의 공동문어 93
4.1 문언과 백화의 이중주 / 4.2 중국어의 시대구분과 고전중국어 / 4.3 고전중국어: 동아시아 공동문어의 기초언어 / 4.4 동아시아 공동문어 시대의 재구성 / 4.5 공동문어와 다이글로시아 / 4.6 동아시아 공동문어의 해체와 민족어 시대의 개막
제5장 중국어권의 공통어 125
5.1 중국의 방언 분화 / 5.2 중국 방언의 역사 / 5.3 공통어 정립을 위한 여정 / 5.4 ‘아언(雅言)’은 춘추전국시대의 공통어인가? / 5.5 통어(通語)에서 천하통어(天下通語)까지 / 5.6 관리들의 중국어, 관화(官話) / 5.7 보통화 보급정책 / 5.8 보통화의 보급과 다중언어사회의 성립
제6장 번역된 근대와 중국어권 171
6.1 동아시아의 번역된 근대 / 6.2 중(中)과 서(西)의 만남: 마테오 리치에서 엄복(嚴復)까지 / 6.3 스기타 겐파쿠, 난학(蘭學)을 열다 / 6.4 중국과 일본의 어휘 교류 / 6.5 창신(創新)과 법고(法古) 사이: 근대 번역어 조어(造語)의 성격 / 6.6 ‘개인’과 ‘사회’의 번역과 수용 / 6.7 ‘자유’의 번역과 수용 / 6.8 근대번역어와 격의(格義) / 6.9 번역어와 근대어의 형성
제7장 중국 밖의 중국어권 233
7.1 영어 세계화 시대의 언어정체성 / 7.2 대만의 언어정책 / 7.3 싱가포르의 언어상황 / 7.4 유산어로서의 중국어
[ 부 록 ] 중국어권 개황 257
[ 참고문헌 ] 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