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문화는 중국문화의 아류인가?

한국문화는 중국문화의 아류인가?

(복식.음식.건축.자기.음악.민족(민속).언어.종교)

최준식, 양세욱, 윤지원, 이춘자, 허채옥, 이강민, 김윤정, 송혜나, 최준 (지은이)
소나무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7,500원 -10% 870원 14,880원 >

책 이미지

한국문화는 중국문화의 아류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문화는 중국문화의 아류인가? (복식.음식.건축.자기.음악.민족(민속).언어.종교)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사
· ISBN : 9788971395677
· 쪽수 : 508쪽
· 출판일 : 2010-07-06

책 소개

복식, 음식, 건축, 자기, 음악, 민족(민속), 언어, 종교 여덟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각 분야 전문가들이 객관적인 입장에서 한국과 중국이라는 두 문화를 구체적으로 비교해보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의 원조를 가려내 국가적 자만심을 높이자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문화의 다양성과 미래지향적인 실용성을 제고하자는 것이다.

목차

1부 복식/음식/건축

중국과 사뭇 다른 한국 복식 | 윤지원
1. 우리 옷은 어디서 왔나
2. 한국 복식과 중국 복식
3. 한국 복식의 국속화·한국화
4. 현대 한복 시장의 현황과 디자인 제안
5. 우리 옷의 정체성

닮은 듯 닯지 않은 한국과 중국의 음식 문화 | 이춘자, 허채옥
1. 밥상과 식탁
2. 한국의 음식 문화가 완성되기까지
3. 한·중 음식 문화의 구체적 비교
4. 음식과 문화적 정체성

중국 건축의 규범과 한국 건축의 적응| 이강민
1. 문명의 척도로서의 건축
2. 중국 건축의 규범적 구성
3. 한국 건축에서 규범의 수용과 적응
4. 조선 시대의 중국 건축 인식
5. 현대 건축의 규범과 한옥

2부 자기/음악

시대를 담은 한·중 자기 문화 | 김윤정
1. 도기와 자기
2. ‘자기 문화’의 시작
3. 고려 시대의 ‘청자 문화’
4. 조선 시대의 ‘백자 문화’
5. 한국 ‘자기 문화’의 특징
6. 중국의 영향과 한국의 발전

한국 음악과 중국 음악, 그 오래된 관계와 오늘 | 송혜나
1. 한국 전통 음악의 형성과 중국 음악
2. 중국 음악의 흐름
3. 중국 음악의 한국 수용
4. 중국 음악의 한국적 변용
5. 음악과 문화 정체성

3부 민족·민속/언어/종교

한·중의 문화적 아이덴티티와 민속 의례 | 최준
1. 전통 문화의 경계
2. 한국과 중국의 민족 개념
3. 한국과 중국의 민속 의례
4. 문화 정체성과 현대사회

한국어와 중국어, 두 천년의 만남 | 양세욱
1. 중국어의 풍경
2. 중국어와 한국어의 언어 접촉
3. 한문과 동아시아의 공동 문어
4. 고유어를 압도하는 중국어계 한자어
5. 한자와 한글 단상
6. 언어차용과 문화적 다양성

한국의 종교는 중국의 유불선이 아니다! | 최준식
1. 유·불·선의 실체
2. 중국 종교 발달 약사
3. 한국 종교 발달 약사
4. 한국인의 종교 정체성

저자소개

최준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약력〉 1979년 서강대학교 사학과 졸업 1988년 미국 템플대학교 종교학과 대학원 졸업 1989년 종교문화연구원 설립 1992년~2021년 이화여대 한국학과 교수 역임 2005년 한국죽음학회 설립 2021년~ 이화여대 명예교수 2024년 UFO 협력단 창설 〈저서〉 『Beyond UFOs—UFO, 그 너머의 이야기』(2024), 『외계지성체의 방문과 인류 종말의 문제에 관하여』(공저)(2015), 『최준식의 메타 종교로 가는 마지막 춤 1, 2, 3』(2023), 『인간은 분명 환생한다』(2017), 『한국 사자의 서』(2017), 『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죽음학 강의』(2014) 등
펼치기
양세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제대학교 국제어문학부, 융합문화예술학협동과정 교수.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박사과정을 마쳤으며 연강재단 중국학연구원으로 북경대에서 수학하였다. 동과 서, 고와 금, 문(文)과 이(理)가 만나 때로 스며들고 때로 불꽃이 튀는 황홀경에서 공부의 보람을 찾는다. ‘중국을 방법으로, 세계를 목표로’ 삼아 언어·문화·중국의 세 꼭짓점을 잇는 삼각형의 변을 오가며 읽고 쓴다. ‘글자의 세계’를 강의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짜장면뎐: 시대를 풍미한 검은 중독의 문화사》(2009), 《중국어의 비밀》(2012, 공저), 《韓国·朝鮮の美を読む》(2021, 공저), 《일곱 시선으로 들어다본 〈기생충〉의 미학》(2021, 공저) 등 10여 권이 있고, 40여 편의 논문을 썼다.
펼치기
윤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여자대학교 박사(전공: 한국 복식) 현재 한복나라 총괄이사
펼치기
이춘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신여자대학교 박사(전공: 식품영양학) 현재 한양여자대학교 강사
펼치기
이강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건축역사를 전공하여 석사와 박사를 마쳤다. 한국과 동아시아의 건축사를 연구해 왔으며, 주요 저서로 《3칸×3칸:한국건축의 유형학적 접근》(2006)과 《도리구조와 서까래구조:동아시아 문명과 목조건축의 구조원리》(2013) 등이 있다.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국가한옥센터장을 역임하면서 다수의 한옥과 문화재 정책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있으며, 현재는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김윤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문화재학협동과정 박사과정 수료(전공: 한국도자사) 현재 고려대학교 동아시아미술문화연구소 연구원
펼치기
송혜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박사과정 수료(전공: 음악교육)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강사
펼치기
최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중앙민족대학 박사(전공: 민속학) 현재 홍익대학교 강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71393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