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사회교육의 기원과 전개

한국 사회교육의 기원과 전개

(평생교육 역사연구)

이정연 (지은이)
  |  
학이시습
2010-09-30
  |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23,000원 -0% 0원 690원 22,3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사회교육의 기원과 전개

책 정보

· 제목 : 한국 사회교육의 기원과 전개 (평생교육 역사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커리큘럼
· ISBN : 9788964069158
· 쪽수 : 346쪽

책 소개

이전까지 거의 밝혀지지 않았던 한국에서의 ‘사회교육’ 개념의 도입과 전개 과정을 방대한 역사적 사료를 기반으로 분석한 연구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이 책은 지금까지 ‘식민교육-민족교육’ 또는 ‘억압-저항’이라는 이분법적 인식틀에 의거해 온 한국 식민시대 교육사를 보다 다각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그동안 한국에서 논의된 ‘사회교육’ 개념에 대한 새로운 평가를 가능하게 하고 한국 사회교육 역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준다.

목차

머리말
서론

1부 근대화와 사회교육
1장. 한국에서 ‘근대화’의 의미: ‘식민지적 근대’ 연구에 관한 고찰을 중심으로
2장. 국민 개념의 형성과 사회교육
3장. 사회교육 속의 ‘사회’ 및 ‘지방’ 개념의 의미

2부 대한제국 말기(1906~1910)의 사회교육 도입
4장. 학부에 의한 통속교육의 도입과 실태
5장. 한국 개화파 지식인들에 의한 사회교육의 도입과 실천:
각종 ‘학회’ 기관지에 관한 검토를 중심으로

3부 식민지 조선에서의 사회교육 시책의 전개 과정
6장. 식민지 초기(1910~1919)의 사회교육 시책
7장. 식민지 중기(1919~1932)의 사회교육 시책
8장. 식민지 후기(1932~1945)의 사회교육 시책

4부 실업교육 관련 사회교육 시책의 전개 및 목적
9장. 실업보습학교의 설치·운영 및 변용
10장. ‘졸업생 지도’ 시책의 실시와 의도
11장. 농민훈련소의 설치와 중견 인물의 양성

5부 조선 민중에 의한 사회교육 실천: 야학을 중심으로
12장. 3·1운동 이후 야학 급증의 배경
13장. 야학의 설립 및 운영 실태
14장. 조선 민중에 의한 야학 활동의 특징

6부 결론

참고문헌
자료
찾아보기

저자소개

이정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동경대학 대학원 교육학연구과 교수, 박사(교육학) 전공분야는 사회교육, 평생교육 동국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부 및 석사과정을 마친 뒤 일본으로 건너가 나고야대학(名古屋大學)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06년에 나고야대학 대학원 교육발달과학연구과 조교수로 부임, 이후 부교수를 거쳐 2011년부터는 동경대학으로 자리를 옮겨 교육 및 연구에 힘쓰고 있다. 2022년부터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사회교육’의 기원과 전개』(학이시습, 2010), 『日本の社會敎育·生涯學習―新しい時代に向けて―』(大學敎育出版, 2013, 공편), 『社会教育福祉の諸相と課題:欧米とアジアの比較研究』(大學敎育出版, 2015, 공저),『國家主義を越える日韓の共生と交流―日本で硏究する韓國人硏究者の視點』(明石書店, 2016, 공편저), 『躍動する韓國の社會敎育·生涯學習―市民·地域·學び』(エイデル硏究所, 2017, 공편저), 『人生100年時代の多世代共生−‘學び’によるコミュニティの設計と實裝−』(東京大學出版會, 2020,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기존의 많은 선행 연구들이 광의 및 협의의 ‘사회교육’ 개념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고 있으며,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른바 학교교육 이외의 교육으로서의 ‘사회교육’의 기원을 정확히 규명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본에서의 ‘사회교육’이란 용어의 출현 시기나 구한말 지식인들의 해외 유학 및 해외 문물 수용 같은 시대적 상황을 고려했을 때 한국 사회교육의 도입 시기 및 그 이후의 전개에 관한 소수의 선행 연구들에 대해서도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었다. 예를 들면, ‘근대 교육제도 및 교육학 이론을 적극적으로 도입했던 대한제국 말기의 개화파 지식인들에 의한 사회교육 도입의 가능성은 없었는가?’, 나아가 ‘식민지시대 교육의 전체상을 억압과 저항이라는 이항 대립의 구도만으로 규명할 수 있는가?’, ‘민중에 의한 교육 요구로서의 사회교육은 어떠한 것이었는가?’ 등의 의문들이었다.
…중략…
일본 사회교육의 역사적 경위에 기초해 보면, 한국의 사회교육도 기존의 연구들에서 식민지시대에 일본으로부터 도입되었다는 이유만으로 단순히 부정적으로만 파악해선 안 될 것이다. 사회교육에 대한 부정적인 판단은 사회교육의 정확한 기원을 규명하고, 그 전개 과정을 소상히 살펴본 뒤에 해도 늦지 않다. -‘머리말’ 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