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비평/이론
· ISBN : 9788964354322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11-11-19
책 소개
목차
서문
명 말기에 전래된 기독교 미술과 그 양상 한 정 희
17세기 중국 회화에 미친 서양의 영향 박 효 은
파신파(波臣派)의 초상화 연구: 증경(曾鯨)의 제자들을 중심으로 장 준 구
강희.옹정.건륭 연간의 궁정회화와 서양화법 최 경 현
모모야마시대와 에도시대 초기 화단에 끼친 서양의 영향 홍 상 희
에도 후기의 서양미술 인식?아키타 난가(秋田蘭畵) 연구 강 민 기
청대(淸代)의 미인 이미지 고찰 박 청 아
중국 근대 여성화가 반옥량(潘玉良, 1899-1977)의 회화?누드화를 중심으로 이 주 현
20세기 초 한국 부인초상화의 제작 문 선 주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리치가 가져온 천주상(성모자상)을 접한 뒤, 그 생생하고 사실적인 면모에 감탄하는 17세기 전반 고기원-강소서의 반응은 놀라움과 호기심 자체이다.[···] 이들은 서양화에 거리를 두고 가치판단을 내릴 수 있을 만큼 서양화법을 이해하고 있었고, 의도적으로 중국 회화를 서양화로부터 차별화시키려 했으며 나아가 중국의 높은 수준에 비할 바 아니라고 폄하하게 되었다.
가쿠노다테 출신의 근대 일본 화가인 히라후쿠 햐쿠스이는 아키타 난가를 처음으로 연구했는데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즉 겐나이가 묶은 숙소에 있던 나오타케의 병풍화를 보고 그를 불러 가가미모치를 그리게 했는데, 그 그림을 보고 화분을 그렸는지 바퀴를 그렸는지 구분하기 어렵다고 하면서 처음으로 서양화의 음영법을 가르쳤다는 것이다.
실내의 여인들은 서화를 감상하며, 탁자 위에는 자기와 고동기물, 서책들이 가지런히 놓여 있다. 여인들이 감상하고 있는 서화는 여인의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목련과 모란이다. 여성들만의 전유 공간 속에서 고완물을 감상하고 있는 미인들은 그들 자신 역시 고완물과 같이 감상의 대상이 되며,[…] 이 여인들의 주인은 황제이며, 이 여인들 역시 황제의 고완물로써 재현되고 있음을 말해주는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