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88964371466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1-12-0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서론
1. 투표 행태 연구의 현황
2. 이 책의 구성과 내용
3. 분석 방법과 자료
2장 투표 참여
1. 투표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투표 참여의 정향과 태도
3. 투표 참여 정향과 태도의 결정 요인
4. 투표율의 하락과 선거 결과의 대표성
3장 사회학적 투표
1. 지역
2. 연령
3. 계층
4. 도시화 · 종교 · 성
4장 당파적 투표
1. 정당 지지
2. 여야 성향
3. 이념 투표
5장 합리적 투표
1. 경제 투표
2. 대통령 직무평가
6장 후보자 투표와 이슈 투표
1. 후보자 투표
2. 이슈 투표
7장 집합적 투표 결정 요인
1. 대통령 선거
2. 국회의원 선거
8장 결론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보수적인 이념을 가진 사람이 보수정당을 지지한다는 것이나, 정부의 업적에 만족하는 사람들이 여당을 지지한다는 것은 일견 너무 당연한 인과관계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투표 행태 연구에서 이런 당연한 가설들을 검증하는 것은 어떤 가설도 경험적인 증거가 없는 한, 그 가설을 참이라고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 과학적 원칙이기 때문이다.
서구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소외에 의한 기권, 다시 말해 정치적인 불신감과 무력감 등으로 인해 투표에 참여하지 않는 현상은 한국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놀라운 사실은, 그동안 지역 투표의 원인으로 크게 주목받지 못한 지역민 호감도와 같은 심리문화적 요인이 정당 지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지역민 호감도와 같은 심리문화적 요인의 영향력은 단순히 영호남 지역민에게서만 발견될 뿐 아니라 서울?경기, 충청 지역민들에게서도 매우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지역 투표를 영남인과 호남인만이 하는 것이 아니라 서울?경기, 충청 및 기타 지역인들도 영호남 지역민에 대한 호감도에 따라 지역 투표를 한다는 것을 보여 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