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88977784239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4-06-05
목차
서문
제1부 지역균열
제1장 지역발전과 지역적 정당투표 (이갑윤, 박경미)
Ⅰ. 서론
Ⅱ. 기존연구의 검토와 연구가설
Ⅲ. 전국표본면접설문조사 자료를 통한 가설검증
Ⅳ. 결론 및 제언
제2장 사회자본(Social Capital) 특성이 지역주의에 미치는 영향:
결속형과 교량형을 중심으로 (이현우, 이지호, 한영빈)
Ⅰ. 서론
Ⅱ. 지역주의 분석을 위한 이론적 논의
Ⅲ. 경험적 분석
Ⅳ. 결론
제3장 지역민 호감도가 정당지지에 미치는 영향 (이갑윤, 박정석)
Ⅰ. 서
Ⅱ. 기존연구의 검토
Ⅲ. 연구가설 및 연구방법
Ⅳ. 가설검증
Ⅴ. 토론
Ⅵ. 결
제2부 계층균열
제4장 재산이 계급의식과 투표에 미치는 영향 (이갑윤, 이지호, 김세걸)
Ⅰ. 서론
Ⅱ. 선행연구의 검토와 이론적 논의
Ⅲ. 연구가설과 분석모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분석결과의 함의
제5장 계층인식이 정책선호 및 투표선택에 미치는 영향:
‘계층거리감’변수의 적실성 검토 (서복경, 한영빈)
Ⅰ. 문제의식
Ⅱ. 이론적 검토
Ⅲ. 연구가설과 변수설정
Ⅳ. 분석결과
Ⅴ. 분석의 함의
제3부 세대 및 이념균열
제6장 세대별 이념갈등의 이질성: 세대 내 이슈태도 분석을 중심으로 (이현우, 이정진)
Ⅰ. 문제제기
Ⅱ. 기존논의 및 가설
Ⅲ. 경험분석
Ⅳ. 요약 및 결론
제7장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구성적 특성 (박경미, 한정택, 이지호)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와 연구방법
Ⅲ. 한국사회의 이념적 특성
Ⅳ. 이념 이미지 집단별 이념갈등의 특성
Ⅴ. 요약과 함의
<부록> 토대연구 설문조사
[부록 1-1] 지역갈등을 중심으로
[부록 1-2] 계층갈등을 중심으로
[부록 1-3] 세대, 이념갈등을 중심으로
[부록 2-1] 지역갈등조사 주요 내용(2010년)
[부록 2-2] 계층갈등조사 주요 내용(2011년)
[부록 2-3] 세대, 이념갈등조사 주요 내용(2012년)
색인
편자 및 필자 소개
책속에서
나는데, 선거를 포함한 제도적 정치참여 과정을 통해 타협이나 통합이라는 정치적 결과를 가져오지 못하고 균열의 재생산 혹은 강화라는 악순환을 겪고 있는 것이 심각한 문제라 하겠다. 통합적 사회란 균열이 없는 사회가 아니라 정당을 통한 이익표출과 선거경쟁이라는 정치과정 속에서 균열수준이 조절되는 것을 의미한다.
…
민주화 이후 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한국사회 균열은 4가지로 구분된다. 지역주의, 계층, 세대 그리고 이념이 주된 균열 축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균열 축에 대한 담론적 연구는 상당한 수준에 이르고 있지만 균열의 성격 및 수준을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실증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균열현상의 단순한 기술이나 서구의 분석틀을 한국의 사례에 적용하는 수준을 넘어서기 위해 한국적 균열의 명확한 개념정립에서부터 출발하고 있다.
-서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