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불교인식론 연구

불교인식론 연구

(다르마끼르띠의 『쁘라마나바릇띠까』 「현량론」(現量論))

도사키 히로마사 (지은이), 박인성 (옮긴이)
길(도서출판)
4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15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불교인식론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불교인식론 연구 (다르마끼르띠의 『쁘라마나바릇띠까』 「현량론」(現量論))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불교철학
· ISBN : 9788964451076
· 쪽수 : 715쪽
· 출판일 : 2015-06-15

책 소개

다르마끼르띠의 『쁘라마나바릇띠까』는 위자비량, 양성취, 현량, 위타비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쁘라마나바릇띠까』에서 다르마끼르띠는 디그나가의 『쁘라마나사뭇짜야(집량론集量論)』을 주석하면서 다른 학파와의 대론을 설정하는 등 보다 진전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목차

옮긴이의 말 5

상권 차례

머리말 27
사용한 주요 텍스트와 줄임말 35

서론 41
1. 다르마끼르띠의 생애와 연대 41
2. 다르마끼르띠의 저작 64
3. 『쁘라마나바릇띠까』에 대한 주석서 70

제1부 다르마끼르띠의 사상적 입장 75
제1장 『쁘라마나바릇띠까』 「현량장」의 구성 77
제2장 『쁘라마나바릇띠까』 「현량장」에 보이는 경량부설 81
제3장 『쁘라마나바릇띠까』 「현량장」에 보이는 다르마끼르띠의 사상적 입장 99

제2부 『쁘라마나바릇띠까』 「현량장」의 번역 연구 105
Ⅰ. 양(量)의 수 107
1. 양(量)은 현량(現量)과 비량(比量) 두 가지뿐이다 107
2. 반론자와 대론함 185
Ⅱ. 현량(現量)에 대한 정의 257
1. 현량제분별(現量除分別)은 자증현량(自證現量)에 의해서 알려진다 258
2. 현량제분별(現量除分別)은 비량(比量)에 의해서 알려진다 284
Ⅲ. 현량(現量)의 명칭 349
Ⅳ. 아비달마의 학설과 현량에 대한 정의인 ‘현량제분별’(現量除分別)을 회통함 353
1. 회통 353
2. 다수가 하나의 지(知)에 의해서 파악되는 일은 없다는 비판과 반론 357
3. 하나의 지(知)가 다수의 형상을 지니는 일은 없다는 비판과 반론 369
4. 적집한 극미는 소취(所取)가 아니라는 비판과 반론 380
5. 반론자의 설을 논파함 381
Ⅴ. 현량(現量)의 대상 389
1. 주장 390
2. 반론자의 설을 논파함 391
Ⅵ. 현량(現量)의 종류 399
1. 의식(意識) 400
2. 즐거움(樂) 등의 자증(自證) 410
3. 요가행자의 현량(現量) 441
4. 분별지(分別知) 자증현량(自證現量) 446
Ⅶ. 사현량(似現量) 449
1. 디그나가가 든 사현량(似現量)의 종류 450
2. 디그나가가 사현량을 든 이유 451
Ⅷ. 양과(量果) = 양(量) 461
1. 양과(量果)와 양(量)의 비별체설(非別體說) 463
2. 지(知)의 능취성(能取性) 468
3. 반론자의 설을 논파함 469
4. 승의(勝義)의 입장과 세속(世俗)의 입장 479

하권 차례

머리말 485
사용한 주요 텍스트와 줄임말 489

제2부 『쁘라마나바릇띠까』 「현량장」의 번역 연구 493
Ⅸ. 양과(量果) = 자증(自證) 495
1. 유식설(唯識說)과 외경실재론(外境實在論) 495
2. 유식설에서 소량(所量), 양(量), 양과(量果) 532
3. 지(知)의 2상성(相性)에 대한 논증 545
4. 지(知)의 자증성(自證性)에 대한 논증 598

찾아보기 715

저자소개

도사키 히로마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시모노세키(下關)에서 태어났으며, 규수(九州) 대학 교수 등을 역임했다. 현재 규수 대학 명예교수로 있다. 역서로 『大乘佛典 Ⅰ』에 실린 『善勇猛般若經』이 있고, 논문으로는 『講座: 大乘思想』 제2권에 실린 「後期大乘佛敎の認識論」 등이 있다.
펼치기
박인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를 졸업했다.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명예교수. 저서로 『무문관을 사색하다: 무문과 들뢰즈의 만남을 기리며』, 『화두』, 『법상종 논사들의 유식사분의唯識四分義 해석』 등이 있으며, 철학 역서로 『들뢰즈 철학의 계보 1』, 『질 들뢰즈의 철학』, 『질 들뢰즈의 저작 I: 1953-1969』, 『들뢰즈와 재현의 발생』, 『생명 속의 마음: 생물학·현상학·심리과학』,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후설의 후기 사상을 중심으로』, 『현상학적 마음: 심리철학과 인지과학 입문』, 『유식사상과 현상학: 사상구조의 비교연구를 향해서』, 『현상학과 해석학』 등이 있고, 불교 역서로 『유식삼십송석: 산스끄리뜨본과 티베트본의 교정·번역·주석』, 『중中과 변邊을 구별하기: 산스끄리뜨본·현장한역본』, 『중변분별론소』, 『유식삼십송 풀이: 유식불교란 무엇인가』, 『니야야빈두/니야야빈두띠까: 산스끄리뜨본』, 『불교인식론 연구: 다르마끼르띠의 「쁘라마나바릇띠까」 현량론』, 『아비달마구사론 계품: 산스끄리뜨본·진제한역본·현장한역본』, 『중론: 산스끄리뜨본·티베트본·한역본』, 『반야심경찬』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