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질 들뢰즈의 철학

질 들뢰즈의 철학

(들뢰즈 연구의 이정표)

대니얼 W. 스미스 (지은이), 박인성 (옮긴이)
그린비
4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6,550원 -5% 0원
1,470원
45,0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질 들뢰즈의 철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질 들뢰즈의 철학 (들뢰즈 연구의 이정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질 들뢰즈/펠릭스 가타리
· ISBN : 9788976828330
· 쪽수 : 912쪽
· 출판일 : 2023-08-28

책 소개

그린비는 들뢰즈 연구의 이정표로 불려 온 Essays on Deleuze를 철학의 정원 59번째 시리즈 『질 들뢰즈의 철학』으로 발간하였다. 『질 들뢰즈의 철학』에는 질 들뢰즈에 관한 모든 것이 담겨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목차

감사의 말
약호
서문

제1부 들뢰즈와 철학사

[시론 1] 플라톤주의 | 시뮬라크르 개념: 들뢰즈와 플라톤주의의 전복 _ 23
[시론 2] 일의성 | 일의성 이론: 들뢰즈의 내재 존재론 _ 85
[시론 3] 라이프니츠 | 라이프니츠에 관한 들뢰즈: 차이, 연속성, 미적분법 _125
[시론 4] 헤겔 | 들뢰즈, 헤겔, 그리고 칸트-이후의 전통 _ 159
[시론 5] 칸트-이전과 칸트 이후의 철학 | 논리와 실존: 실재적인 것의 조건들에 관한 들뢰즈 _ 190

제2부 들뢰즈의 철학 체계

[시론 6] 감성론 | 들뢰즈의 감각 이론: 칸트의 이원성을 극복하기 _ 225
[시론 7] 변증론 | 들뢰즈, 칸트, 그리고 내재적 이념 이론 _ 267
[시론 8] 분석론 | 개념의 생성에 관하여 _ 304
[시론 9] 윤리학 | 들뢰즈 철학에서의 윤리학의 위치: 내재성의 세 가지 물음 _ 362
[시론 10] 정치학 | 흐름, 코드, 증권: 들뢰즈 정치철학에 관한 주석 _ 396

제3부 들뢰즈의 다섯 가지 개념

[시론 11] 욕망 | 들뢰즈와 욕망의 물음: 내재적 윤리 이론을 향하여 _ 427
[시론 12] 생명 | “순수 내재성의 생명”: “비평과 진단” 기획 _ 461
[시론 13] 감각 | 베이컨에 관한 들뢰즈: 『감각의 논리』의 세 가지 개념적 궤적 _ 545
[시론 14] 새로운 것 | 새로운 것의 조건들 _ 577
[시론 15] 열려진 것 | 열려진 것의 이념: 운동에 관한 베르그손의 논제들 _ 624

제4부 들뢰즈와 현대철학

[시론 16] 자크 데리다 | 들뢰즈와 데리다, 내재성과 초월성: 최근 프랑스 사상의 두 방향 _ 653
[시론 17] 알랭 바디우 | 수학과 다양체 이론: 들뢰즈와 바디우 재고 _ 691
[시론 18] 자크 라캉 | 구조의 반대면: 들뢰즈에 관한 라캉, 라캉에 관한 들뢰즈 _ 754
[시론 19] 피에르 클로소프스키 | 클로소프스키의 니체 독해: 충동, 환영, 시뮬라크르, 스테레오타입 _ 783
[시론 20] 폴 패튼 | 들뢰즈와 자유주의 전통: 규범성, 자유, 판단 _ 815

참고 문헌 _ 864
역자 후기 _ 887
색인 _ 890

저자소개

대니얼 W. 스미스 (옮긴이)    정보 더보기
미국 퍼듀대학교 철학과 교수. 저서로 『질 들뢰즈의 철학』Essays on Deleuze이 있고, 역서로 질 들뢰즈의 『프란시스 베이컨: 감각의 논리』Francis Bacon: The Logic of Senastion(2012), 피에르 클로소프스키의 『살아 있는 화폐』Living Currency(2017), 미셸 세르의 『엄지공주』Thumbelina(2014), 미셸 푸코의 『즐거운 학문: 장 르 비토와의 인터뷰』The Gay Science, interview with Jean Le Bitou(2011), 이사벨 스탕제의 『현대 과학의 발명』The Invention of Modern Science(2000), 피에르 클로소프스키의 『니체와 악순환』Nietzsche and the Vicious Circle(1998), 질 들뢰즈의 『비평적인 것과 진단적인 것』Essays Critical and Clinical(1997) 등이 있다. 편編한 책으로 『들뢰즈와 푸코 사이에서』Between Deleuze and Foucault(2016), The Cambridge Companion to Deleuze(2012), 『들뢰즈: 사건의 철학』Deleuze: A Philosophy of the Event, together with The Vocabulary of Deleuze, by Francois Zourabichvili(2012), 『들뢰즈와 윤리학』Deleuze and Ethics(2011), 『질 들뢰즈: 이미지와 텍스트』Gilles Deleuze: Image and Text(2009) 등이 있다.
펼치기
박인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를 졸업했다.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명예교수. 저서로 『무문관을 사색하다: 무문과 들뢰즈의 만남을 기리며』, 『화두』, 『법상종 논사들의 유식사분의唯識四分義 해석』 등이 있으며, 철학 역서로 『들뢰즈 철학의 계보 1』, 『질 들뢰즈의 철학』, 『질 들뢰즈의 저작 I: 1953-1969』, 『들뢰즈와 재현의 발생』, 『생명 속의 마음: 생물학·현상학·심리과학』,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후설의 후기 사상을 중심으로』, 『현상학적 마음: 심리철학과 인지과학 입문』, 『유식사상과 현상학: 사상구조의 비교연구를 향해서』, 『현상학과 해석학』 등이 있고, 불교 역서로 『유식삼십송석: 산스끄리뜨본과 티베트본의 교정·번역·주석』, 『중中과 변邊을 구별하기: 산스끄리뜨본·현장한역본』, 『중변분별론소』, 『유식삼십송 풀이: 유식불교란 무엇인가』, 『니야야빈두/니야야빈두띠까: 산스끄리뜨본』, 『불교인식론 연구: 다르마끼르띠의 「쁘라마나바릇띠까」 현량론』, 『아비달마구사론 계품: 산스끄리뜨본·진제한역본·현장한역본』, 『중론: 산스끄리뜨본·티베트본·한역본』, 『반야심경찬』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철학자로서, 예술 연구를 할 때 들뢰즈의 목표는 감성적 집적체들에 상응하는 개념들을 창조하는 것이다. 『프랜시스 베이컨: 감각의 논리』는 일련의 철학적 개념들을 창조하는데, 이 개념들은 각각 베이컨 회화들의 특정한 국면과 관련을 맺고 있다. 이 텍스트는 준-음악적 방식으로 조직되어, 국소적 개념들을 마치 선율인 양 전개하는 열일곱 개의 시퀀스 혹은 시리즈로 분할되며, 결국 복잡한 대위법적 관계들로 들어가서, 베이컨의 감성적 조성들에 상응하는 일종의 개념적 조성들을 함께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들뢰즈는 그의 두 권의 『시네마』를 “어떤 영화적 개념들, 즉 영화에 고유한 개념들을 분리해 내기 위해” 제시하는 “논리학의 책, 영화의 논리학”으로 기술하지만, 이는 오로지 철학적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이다. 똑같은 것을 음악, 문학, 연극에 관한 들뢰즈의 시론들, 특히 『비평적인 것과 진단적인 것』에 대해서도 말할 수 있다.
(제2부 들뢰즈의 철학 체계, 「시론 6. 감성론」)


우리는 어떻게 회화에서 감각을 얻는가? “비명을 그리고자” 하는 베이컨의 노력은 좋은 사례이다. 그의 목적은 우리가 비명을 지르는 곳인 세계의 보이는 공포들을 그리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비명을 생산하는 강도적 힘들, 비명을 지르는 입을 창조하기 위해 몸을 뒤틀리게 만드는 강도적 힘들을 그리는 데에 있다. 공포스런 광경의 폭력은 감각의 폭력을 얻기 위해 포기되지 않으면 안 된다. … 들뢰즈는 이런 방식으로 문제를 제기한다. 즉, “힘[강도]이 감각의 조건일지라도, 감각되는 것은 힘이 아니다. 감각은 감각을 조건 짓는 힘들과는 완전히 다른 어떤 것을 ‘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예술가의 본질적 물음은 이렇게 된다. 즉, “어떻게 감각은 주어지지 않은 힘들을 우리에게 주어진 것에서 포획하기 위하여, 또 우리로 하여금 이러한 감각 불가능한 힘들을 감각하게 만들고 감각 그 자체를 감각 그 자체의 조건들로 격상시키기 위하여, 자기 자신 안으로 돌아가서 충분하게 팽창하거나 수축할 수 있는가?”(FB 48)


들뢰즈가 『안티-오이디푸스』에 대한 라캉의 반응을 처음에 우려했음에도 불구하고, 라캉은 분명 이 책을 묵살하지 않았다. 이와는 반대로, 이 책을 읽은 것이 들뢰즈를 “소환하는” 명백한 근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그는 심지어 그 자신의 사유를 정립해 가는 데에 있어서 『안티-오이디푸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도 보인다. 지젝 그 자신이 라캉의 후기 작업(1964년 세미나 XI 이후)은 충동들과 반-오이디푸스 주제들에 관한 이론에 관심이 증가되어 있는 특징을 보인다고 언급하고 있다. 『안티-오이디푸스』에 정교하게 서술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충동들의 복합적인 지위를 감안할 때(가령, “충동들은 하부구조 그 자체의 일부이다”), 우리는 라캉이 들뢰즈를 적대적인 비평가나, 혹은 심지어 (밀레르와 같은) 정설의 잠재적 보존자로 보지 않고, 대단히 독창적인 여행 동반자로 보았다고 가정해 볼 수 있다.
(제4부 들뢰즈와 현대철학, 「시론 18. 자크 라캉」)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