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종교일반 > 종교철학
· ISBN : 9788964470763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4-12-13
목차
책을 펴내며
제1부 _ 슐라이어마허의 초기 사상
슐라이어마허의 초기 윤리학 사상 연구- “최고선에 관하여”를 중심으로_ 김윤상
I. 들어가는 말
II. 슐라이어마허의 초기 윤리학과 연관된 이론적 배경- 독일 후기계몽주의 시기의 경험적 영혼론 내지 인간학적 전환
III. 슐라이어마허의 “최고선에 관하여”에 내포된 이론적 맹아들과 초기 윤리학 사상
IV. 나가는 말
자유로운 사교로서의 낭만주의적 예술비평- 슐라이어마허의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루친데」에 대한 친밀한 편지” _ 이경진
I. 들어가며: 비평의 생성 배경
II. 「루친데」에 대한 예술비평으로서의 “친밀한 편지”
III. 자유로운 사교의 장으로서의 “친밀한 편지”
IV. 나오며: 사교에서 사랑으로
야코비와 슐라이어마허 _ 최신한
I. 머리말
II. 야코비의 칸트 비평
III. 슐라이어마허에게 미친 야코비의 영향
IV. 사고와 행위의 타자
V. 야코비-슐라이어마허 연관의 철학사적 의미
제2부 _ 경건과 자기의식
경건의 향연 _ 심광섭
I. 들어가며
II. 경건-감각, 맛, 감정
III. 은총에 의한 구속의 감정
IV. 성령론적 전환
V. 나가는 말
슐라이어마허의 종교 개념과 공감- 슐라이어마허와 하이데거의 철학적 상보관계에 입각한 공감의 존재론 시도 _ 한상연
I. 여는 글
II. 슐라이어마허의 실존론적 종교 개념과 그 근원적 근거로서의 감각
III. 공감의 존재론적 근거로서의 종교
IV. 닫는 글을 대신하여- 도덕의 지양을 통해 도리어 도덕을 완성하게 할 그 근거로서의 존재론적 공감
신적 ‘자기 묘사’에서 드러난 슐라이어마허의예술적 주체로서 ‘우리-존재’의 문제 _ 최태관
I. 들어가는 말
II. 예술적 주체를 현실화하는 우주의 활동으로서 ‘신적 자기 묘사’
III. 우주의 활동성에 나타난 교제의 삶으로서 ‘우리-존재’
IV. 신적 자기 묘사에 나타난 종교적이고신학적 차원의 종합으로서 교제의 삶: 예술작품
V. 나오는 글
제3부 _ 해석학의 전개와 적용
슐라이어마허의 보편해석학의 고린도전서 9장 주석에의 적용- 바울의 역설적 자유의 종교사상을 중심으로 _ 김덕기
I. 서론: 슐라이어마허의 보편해석학에 의한고린도전서 9장의 종교사상 탐구
II. 보편해석학의 성서 본문 적용에서의 문제점과 종교철학과의 연관성
III. 슐라이어마허의 기본적 해석학적 순환에 의한8-10장의 통일성 탐구
IV. 해석학적 순환의 9장에의 적용과 그 종교적 사상 도출 가능성 탐구
V. 종교적 관념을 도출하기 위한 해석학적 순환의 도약
VI. 결론: 슐라이어마허의 보편해석학에 의해서 도출된 역설적 자유의 종교사상
슐라이어마허의 의무론 이해와 그 실제로서 그리스도인의 국가 활동 - 전체와 개별의 관계에 대한 해석학적 통찰을 중심으로 _ 박광우
I. 서론
II. 해석학을 통해 본 전체와 개별의 관계
III. 전체와 개별의 순환 관계에 기초한 의무 이해
IV. 그리스도인의 국가 활동: 해석학적 의무론의 실제
V. 결론
가다머의 슐라이어마허 해석학 평가에 대한 비판_ 서동은
I. 들어가는 말
II. 가다머의 개념사적인 접근
III. 가다머의 딜타이 해석
IV. 가다머의 슐라이어마허 해석
V. 슐라이어마허의 문법적 해석과 심리적 해석
VI. 해석학의 토대로서의 언어
VII. 재구성의 해석학 vs. 통합의 해석학
VIII. 나가는 말
후 세속성과 영성의 윤리 - 찰스 테일러와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_ 황은영
I. 서론
II. 슐라이어마허와 테일러의 영성
III. 슐라이어마허와 테일러의 영성 윤리의 두 가지 원칙
IV. 슐라이어마허와 테일러의 영성의 윤리와 제도적 세력들
V. 결론
참고문헌
논문 출처
지은이 알림
참고문헌
논문 출처
지은이 알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