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64478400
· 쪽수 : 568쪽
· 출판일 : 2022-12-0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_ 셸링과 신학
1장_ 초기 셸링 철학의 신학적 기여 ― 현대 창조 신학의 신론 구축을 위해
2장_ 창조자 하나님의 자유와 인간의 자유 ― 셸링의 『자유론』(1809)을 중심으로
3장_ 칸트와 셸링의 ‘근본악’ 개념 비교 ― 자유와 결정론의 대립을 극복하기 위해
4장_ 악의 문제와 신 ― 셸링의 『자유론』을 중심으로
2부_ 창조와 인간
5장_ 판넨베르크의 삼위일체 신학적 창조론
6장_ 생태주의 인간론의 아포리아를 넘어 ― 판넨베르크의 『조직신학』을 중심으로
7장_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에 대한 진화생물학적 이해― 데니스 알렉산더(Denis Alexander)를 중심으로
8장_ 트랜스/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한 신학적 · 비판적 고찰
3부_ 자유주의신학
9장_ 민족주의와 자유주의신학 I ― 독일제국 시기의 문화개신교
10장_ 민족주의와 자유주의신학 II ― 1차 세계대전 무렵 하르낙을 중심으로
11장_ 바르트 신학에 대한 자유주의신학적 해석 ― 렌토르프를 중심으로
4부_ 그리스도인의 삶과 정치
12장_ 신앙으로부터 행위로?! ― 루터 신학에 나타나는 신앙과 실천의 관계
13장_ 신학과 사회민주주의 ― 하르낙과 바르트를 중심으로
14장_ 칼 바르트의 신학과 사회주의의 상관관계
15장_ 삼위일체 신론과 사회민주주의 ― 사회민주주의에 대한 신학적 접근
글의 출처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신학은 교회의 신앙과 증언이 참되다는 것을 이해 가능한 방식으로 드러내고, 이를 통해 교회와 신자들의 신앙과 실천을 돕기 위해 노력하는 인간적 시도이다. 따라서 신학은 인간을 자유롭게 하는 하나님의 자유로운 은총의 활동으로부터 시작할 수밖에 없고, 이 하나님의 활동에 대한 합리적인 진술을 통해 교회와 세상 가운데 인간이 자유로운 삶을 실현하며 살도록 돕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런 점에서 자유는 신학의 출발점이자 목표이다.
<머리말> 중에서
셸링은 인격적 신을 부정함으로써 사실은 주체-객체-관계의 무한한 사슬을 넘어 ‘초월’해 있는 절대자 혹은 신으로부터 이 신과 세계의 관계를 해명하고자 하며, 스피노자주의를 수용함으로써 이 신이 어떻게 세계 안에 ‘내재’하는지를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다. 셸링의 초기 철학의 용어로는 ‘무제약자’(das Unbedingte) 또는 ‘절대 자아’(das absolute Ich)로 기술되는 절대자 혹은 신은 철저히 세계로부터 초월해 있으며, 동시에 자기의 활동성을 통해 ‘제약자’(das Bedingte) 혹은 ‘경험 자아’(das empirische Ich) 안에 내재한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초기 셸링은 초월이냐 내재냐의 양자택일 앞에 서 있는 현대 창조 신학이 직면한 바로 그 문제와 대결하고 있다.
<1부 1장_ 초기 셸링 철학의 신학적 기여> 중에서
칸트에게서 보았듯이 자연을 정신과의 대립적 관계 속에서 파악하면서 원인-인과율의 필연성의 법칙에 내던져져 있는 영역으로 이해하는 것은 오히려 인간의 자유를 위협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만다. 반면 자연을 신의 자유로운 창조 활동의 피조물로 파악하면서 그 안에 내재하는 창조자로서의 신의 활동에 주목할 때 인간은 “창조 안에 있는 자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도달할 수 있다. 신의 피조물로서의 자연 안에는 인간의 정신에서와 마찬가지로 개별성과 보편성, 자연과 이성의 원리의 통일성이 작용하고 있고, 바로 그렇기 때문에 인간 안에 작용하는 자연적 원리는 인간 자유의 걸림돌이 아니라, 인간 자유의 토대가 된다. 이럴 때에야 비로소 인간의 자유를 드러내고자 했던 칸트 철학의 정신을 제대로 구현하게 된다는 것이 셸링의 생각이다.
<1부 3장_ 칸트와 셸링의 ‘근본악’ 개념 비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