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학과 과학의 만남 2

신학과 과학의 만남 2

(빅 히스토리 관점에서 본 기포드 강연)

김정형, 박형국, 백충현, 윤철호, 이관표, 이상은, 이용주, 최유진 (지은이), 윤철호, 김효석 (엮은이)
새물결플러스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학과 과학의 만남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학과 과학의 만남 2 (빅 히스토리 관점에서 본 기포드 강연)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2366
· 쪽수 : 266쪽
· 출판일 : 2022-08-24

책 소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된 일반 공동 연구 “기포드 강연 연구를 통한 21세기 자연신학의 모색: 신학-철학-과학의 학제 간 연구”의 2년 차 연구 결과물이다.

목차

머리말 • 윤철호

션 캐럴의 시적 자연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김정형

Ⅰ. 서론
Ⅱ. 션 캐럴의 시적 자연주의
1. 션 캐럴은 누구인가?
2. 방법론: 베이지안 추론
3. 유신론이냐 무신론이냐?
4. 시적 자연주의
5. 다양한 말하기 방식
Ⅲ. 시적 자연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1. 자연주의의 도전과 캐럴의 공헌
2. 자연주의의 한계
3. 베이지안 논증의 한계
Ⅳ. 결론: 자연주의와 종교의 관계를 다시 생각하다

진화와 목적에 관한 소고
- 맥그래스의 기포드 강연의 보충 • 박형국

Ⅰ. 서론
Ⅱ. 진화의 방향성에 대한 해석의 갈등: 우연의 서사, 목적의 서사?
1. 진화의 방향성은 우연의 서사
2. 진화의 방향성은 목적의 서사인가?
Ⅲ. 진화의 방향성에 대한 맥그래스의 목적론적 재해석
Ⅳ. 다윈주의 진화론자들에게 부치는 비판적 후기
Ⅴ. 결론을 대신한 질문과 성찰

기포드 강연에서의 ‘자연’의 재구성을 위한 시도들
- 바버, 미즐리, 브룩 & 캔터를 중심으로 • 백충현

Ⅰ. 서론
Ⅱ. ‘자연’의 재구성을 위한 시도들
1. 이안 바버: 비판적 실재론에 근거한 ‘자연’에 대한 모형(model)/패러다임(paradigm)
2. 매리 미즐리: ‘자연’에 대한 객관적·기계주의적 이해 비판 및 경외, 경탄, 존경의 회복
3. 존 헤들리 브룩 & 제프리 캔터: ‘자연’의 재구성에서 미학적 요소의 중요성
Ⅲ. 결론

존 맥쿼리의 자연신학과 변증법적 신론 • 윤철호

Ⅰ. 서론
Ⅱ. “새로운 방식”의 자연신학
Ⅲ. 신 개념의 두 유형: 종교적 계시신학과 철학적 자연신학
Ⅳ. 맥쿼리의 계시 인식론
Ⅴ.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인간학적 논증
Ⅵ. 고전적 신론에 대한 비판
Ⅶ. 변증법적 신론
Ⅷ. 결론

과학 시대, ‘신’에 대한 현대 자연신학의 논의
- R. 스윈번과 R. 스태나드의 신 이해, 그리고 신정론에 대한 대답들 • 이관표

Ⅰ. 서론
Ⅱ. R. 스윈번의 자연신학과 신에 대한 이해
1. 자연신학의 출발에 대한 스윈번의 이해
2. “궁극적인 확고한 사실”로서의 신
Ⅲ. R. 스태나드의 자연신학과 신 이해
1. 스태나드의 자연신학 이해
2. 초-정신으로서의 신
Ⅳ. 신정론에 대한 현대 자연신학자들의 대답
1. 신정론에 대한 스윈번의 대답
2. 신정론에 대한 스태나드의 대답
Ⅴ. 결론: 현대 자연신학의 특징과 그 한계

복음이 과학과 만날 때
- 영미 복음주의적 관점에서 ‘진화’는 단지 배제의 대상이었는가 • 이상은

Ⅰ. 서론
Ⅱ. ‘진화’와 마주 선 영미 복음주의
1. ‘진화’ 앞에 선 19세기 복음주의 신학
2. 지리적 차이는 학문적 수용의 조건으로 작용하는가?
3. ‘진화’ 개념 수용의 근거로서의 철학적 기반
4. 단절 속의 연속의 추구 그리고 새로운 과제
Ⅲ. 결론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인간에 대한 생물학적 이해
- 데니스 알렉산더의 기포드 강연을 중심으로 • 이용주

Ⅰ. 인간에 대한 생물학적 이해와 신학적 딜레마
Ⅱ. 유전자 결정론과 이분법적 인간 이해 비판: 시스템 유전학을 토대로
Ⅲ. 발달상 통합된 상보적 상호작용론(DICI: Developmental Integrated
Complementary Interactionism)
Ⅳ. 발생적 이중-양태 일원론적 창발론(DAME/Developmental Dual-Aspect
Monistic Emergentism): 뇌의 복잡성과 자유의지
Ⅴ. DICI와 DAME을 통해 보는 하나님의 형상
Ⅵ. 결론: 알렉산더의 기여와 한계

희생이란 가치는 여전히 유효한가?
- 빅 히스토리 관점에서 조망한 새라 코클리의 기포드 강연 연구 • 최유진

Ⅰ. 서론
Ⅱ. 본론
1. 코클리와 페미니즘 그리고 희생이라는 주제
2. 코클리의 포괄적 신학(théologie totale)과 기포드 강연 간의 관계
3. 코클리의 기포드 강연
4. 코클리의 기포드 강연 분석
Ⅲ. 결론

필자 소개
편집자 소개

저자소개

윤철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Th.B., M.Div.), 프린스턴신학교(Th.M.), 노스웨스턴대학교(Ph.D.)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30년간 장로회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로 봉직했으며, 현재 동 대학교 명예교수이자 미래신학연구소 대표이다. A Compendium of Christian Theology 등 15권의 저서와 7권의 번역서, 그리고 7권의 책임편집 및 공저를 저술했으며,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김정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B.A.),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버클리 연합신학대학원(GTU, Ph.D.)에서 수학하고, 장로회신학대학교 연구지원처 조교수를 거쳐 지금은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에서 종교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창조론: 과학 시대 창조신앙』 외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용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B. A./Th. M.), 튀빙겐 대학교(Dr. Theol.) 등에서 신학을 공부했고, 현재 숭실대학교 조직신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Unterwegs zum trinitarischen Schopfer(De Gruyter, 2010), 『셸링: 절대자와 자유를 향한 철학』 등의 저·역서를 출판했고, 국내외 전문학술지에 다수의 학술논문을 발표했다. 조직신학의 전통적인 주제들 중에서는 신론, 창조론, 인간론, 교회론 등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자유주의신학과 그 유산, 기독교의 사회적 역할, 교회와 국가의 관계 등에 대해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백충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철학 (B.A.)을 전공하고,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교역학 석사 (M.Div.)를 취득했다. 프린스턴신학교에서 조직신학 및 철학적 신학(Th.M.)과 예일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조직신학(S.T.M.)을 전공하였으며, 버클리 연합신학대학원(GTU in Berkeley)에서 조직신학 및 철학적 신학으로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현재 장로회신학대학교 조직신학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The Holy Trinity - God for God and God for Us(Pickwick Publications),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새물결플러스), 《삼위일체적 평화통일신학의 모색》(나눔사), 역서로는 《이해를 추구하는 신앙 – 기독교조직신학개론》(새물결플러스) 등이 있다.
펼치기
이관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B.Th./M.A./Ph.D. in theology), 장로회신학대학교(M.Div.), 독일 드레스덴 대학교(Dr.phil. in Philosophie)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하고, 협성대학교 초빙교수(2016-2017), 인천대학교 강의객원교수(2017)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교양학부 부교수다. 『현대의 철학적 신학』, 『하이데거와 부정성의 신학』을 저술했으며, 전문학술지에 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최유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B.A./M.Div./Th.M.), 프린스턴신학대학원(Th.M.), 게렛신학대학원(Ph.D.)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현재 호남신학대학교 조직신학 조교수로 재임하고 있다. 저서로 『혐오와 여성신학』(공저), 『한국의 에큐메니컬 신학』(공저), 『신학과 과학의 만남 2』(공저), 번역서로 『몸의 선택』이 있고, 그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윤철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Th.B., M.Div.), 프린스턴신학교(Th.M.), 노스웨스턴대학교(Ph.D.)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30년간 장로회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로 봉직했으며, 현재 동 대학교 명예교수이자 미래신학연구소 대표이다. A Compendium of Christian Theology 등 15권의 저서와 7권의 번역서, 그리고 7권의 책임편집 및 공저를 저술했으며,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김효석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B.S.)에서 전기공학을, 장로회신학대학교(M.Div.), 하버드 대학교(M.T.S.), 클레어몬트 대학원대학교(Ph.D.)에서 신학과 종교철학을 공부하고 현재 한남대학교 인성플러스센터 연구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D. Z. Phillips on Religious Language, Religious Truth, and God(Mohr Siebeck, 2022), 편집한 책으로는 『신학과 과학의 만남: 기포드 강연을 중심으로』(공동책임편집)가 있고, 여러 편의 학술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자연신학을 표방하는 기포드 강연 기획팀이 우리 시대의 대표적인 자연주의자 중 하나인 션 캐럴을 초청했다는 사실은 매우 의미 있다. 물론 리처드 도킨스 등 캐럴보다 더 이름 있는 자연주의자들이 없지 않지만, 필자는 캐럴이 기포드 강연자로 초청받은 것은 그가 내세우는 자연주의가 종교 담론의 여지를 전혀 허용하지 않는 극단적이고 과격한 다른 자연주의와 달리 상대적으로 유연하고 열려 있는 ‘시적’ 자연주의라는 이유 때문이 아니었을까 추정한다.
_“션 캐럴의 시적 자연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중에서


진화론을 포함한 현대 과학은 현상과 사실의 발견에 몰두하면서 자연에 의미와 목적의 자리를 부여하지 않는 것 같다. 과학자들은 자연현상에 대한 전대미문의 설명과 통찰을 주지만, 자연에서 의미와 목적을 걷어낸 것도 사실이다. 과학적 사실조차도 부정하려는 사람들이 있지만, 과학이 발견하는 현상적 사실을 경청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하지만 자연 세계에 대한 탐구는 과학적 사실의 설명으로만 축소되어서도 안 된다. 자연현상에 대한 과학적 사실과 설명 못잖게 가치와 의미에 대한 탐구도 중요하다.
_“진화와 목적에 관한 소고” 중에서


우리가 현재 가지고 있는 자연에 대한 이해는 그 자체로 영원불변한 것이 아니라 특정 시대에서 생성된 하나의 개념에 불과하다. 더욱이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자연에 대한 이해는 자연 자체에 대한 완전한 혹은 충분한 이해를 제시하지 못하며 단지 어떤 측면에서의 이해를 드러낼 뿐이다. 그러므로 시대의 변화와 과학의 발달에 따라 자연에 대한 기존 개념은 탈개념화되어야 하며, 동시에 새롭게 재구성되어야 한다.
_“기포드 강연에서의 ‘자연’의 재구성을 위한 시도들”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