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64479506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23-09-30
책 소개
목차
책 머리에
1장 ׀ 책을 열면서
I. 왜 이 글을 쓰는가?
II. 어떻게 쓸 것인가?
III. 어떤 시각인가?
1. 보유론적 시각
2. 변증 ․ 성취론적 시각
3. 해석학적 시각
IV. 요약과 정리
2장 ׀ 칼뱅의 경건 신학: 하나님 ‧ 인간 ‧ 경건
I. 서설(prolegomena)
1. 칼뱅 신학의 특성
2. 칼뱅의 패러다임 전환
3. 칼뱅 신학의 중심 과제
II. 칼뱅의 하나님: 경건의 바탕
1. 초월적인 하나님: 만유의 주님
2. 내재적인 하나님: 거룩한 동행자
3. 아버지 하나님: 세상의 구원자
III. 칼뱅의 인간: 경건의 담지자
본질적인 인간: 하나님의 형상
실존적인 인간: 죄에 빠진 존재
소망하는 인간: 경건한 존재
IV. 칼뱅의 경건: 경외와 사랑
1. 원초적 영성으로서의 경건: 경외
2. 실천적 영성으로서의 경건: 사랑
3. 참된 인간의 길: 성화
4. 삶의 신학으로서의 경건
V. 요약과 정리
3장 ׀ 퇴계의 경(敬) 철학: 하늘 ‧ 인간 ‧ 경
I. 서설(prolegomena)
1. 퇴계 유학의 특성
2. 퇴계의 패러다임 전환
3. 퇴계 유학의 중심 과제
II. 퇴계의 하늘: 경의 바탕
1. 의리천(義理天)으로서의 하늘
2. 주재천(主宰天)으로서의 하늘
3. 인격천(人格天)으로서의 하늘
III. 퇴계의 인간: 경의 담지자
1. 천명을 받은 존재
2. 인욕에 묶인 존재
3. 희망을 품은 존재
IV. 퇴계의 경(敬): 외경과 사랑
1. 궁리와 함양으로서의 경
2. 거경과 성찰로서의 경
3. 참된 인간의 길: 수신
4. 삶의 철학으로서의 경
V. 요약과 정리
4장 ׀ 칼뱅과 퇴계의 대화
I. 서설(prolegomena)
1. 대화를 위한 전제
2. 대화의 방법
3. 대화를 위한 출발점
II.경건: 근본 메타포
1. 내재적 초월의식: 경건의 의미
2. 초월을 향한 결단: 경건의 실천
3. 자기초월의 실현: 경건의 목표
III. 하나님과 하늘: 경건의 바탕
1. 초월적 주재자
2. 내재적 주재자
3. 인격적 주재자
IV. 인간성 패러다임: 경건의 담지자
1. 본질적 인간성
2. 현실적 인간성
3. 궁극적 인간성
V. 인간화의 길: 경건의 실행
1. 경건한 인간: 신앙(信仰)과 경(敬)
2. 진실한 인간: 사랑(愛)과 인(仁)
3. 거룩한 인간: 새로운 비전
VI. 요약과 정리
5장 ׀ 책을 닫으며: 한국 영성 신학을 위한 담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기독교는 하나님의 자기 계시인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복음을 종교 ‧ 문화적 모체라는 독특한 채널(영성)로써 해석하는 가운데, 지역마다 독특한 영성 공동체를 형성해 왔다. 이것은 한국 사회적 맥락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한국 사회는 일찍부터 다원적인 종교 ‧ 문화적 모체를 형성해왔지만, 기독교 전래 당시의 종교 ‧ 문화적 흐름은 단연 유교, 그것도 퇴계의 성리학이 강세를 띠고 있었다. 그 상황에서 자연스레 기독교와 유교와의 대화가 이뤄졌다. 이것은 초기 기독교 지도자들의 많은 수가 유학자 출신이었다는 측면에서도 설명이 가능하다. 그들은 성리학의 한계에 대한 극복의 길을 서학에서 찾으려 했고, 그 과정에서 천주교회에 입문했던 것이다.
“1장_ 책을 열면서” 중에서
칼뱅에 따르면, 인간은 비록 하나님의 피조물 중에서 세상에 가장 늦게 등장하지만 사실상 피조 세계에서 가장 고귀한 존재이다. 따라서 사람이 “자신에 대해 무지한 것은 매우 치욕스러운 일”이다. 왜냐하면, 자신에 대한 무지는 곧 자신을 향한 하나님의 고귀한 은총을 망각하는 불경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창조 사역을 통해 등장한 인간은 마땅히 거룩한 하나님의 영광으로 빛나는 창조 세계라는 “아름다운 극장”에서 “하나님의 창조 솜씨에 대한 경건한 즐거움을 누리며,” 창조주를 찬양해야 한다. 그때 인간은 창조의 은총을 통해 자신에게 주어진 존재의 탁월함과 존재의 무한한 가치성을 더욱 선명하게 드러낼 수 있다. 왜냐하면, 사람은 하나님의 다양한 피조물 중에서 하나님의 공의와 지혜와 선을 드러내는 “가장 고귀하고도 탁월한 모범”이기 때문이다
“2장_ 칼뱅의 경건 신학: 하나님 ‧ 인간 ‧ 경건” 중에서
철학적 견지에서 볼 때, 서양인들의 관심사는 대체로 자신들의 직접적인 삶과는 거리가 먼 추상적 세계를 향한 동경에서 출발하여 우주의 기원과 그 실체를 탐구하는 형이상학적 본체론에 머물러 있었다. 이것은 그들의 풍요로운 생활 환경이 빚어낸 결과였다. 그러나 척박한 환경에서 거친 삶을 일궈온 동양인들은 자신들의 삶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자연 현상의 질서와 작용 그리고 자연과의 관계에 관심하면서 경험적이고 공리적인 인간 윤리 문제를 주목하였고, 그 결과 유학이라는 철학 체계를 발달시켰다
“3장_ 퇴계의 경(敬) 철학: 하늘 ‧ 인간 ‧ 경”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