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64470862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5-03-20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1부 ╻ 한국 문화 속의 K-신학
박성권 ∙ 한국의 민중신학과 몰트만의 정치신학의 상관관계 연구
심광섭 ∙ “‘하느님의 춤’ 卽 ‘인간의 춤’” ― 현영학의 탈춤 미학을 토대로
김바로본 ∙ 소셜 미디어를 통한 신학 공유 방법론 ―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신학 공유 가능성 연구
참고문헌(1부)
2부 ╻ K-신학 방향의 정립
장왕식 ∙ K-신학의 불가능성을 넘어서 ― 방법론적 소고
이찬석 ∙ 한국신학의 유형화에 관한 고찰 ― ‘K-신학의 방법론’을 지향하며
백충현 ∙ 삼위일체에 관한 한국신학적 이해들과 공헌 가능성
참고문헌(2부)
3부 ╻ 한국 사상과 K-신학
김광묵 ∙ 퇴계의 하늘(天)에 대한 신학적 접근
안규식 ∙ 그리움과 에로스의 수행 ― 미학적 한국신학― 다석 류영모와 플로티노스의 신비적 합일을 중심으로
신용식 ∙ 토착화신학의 상호문화적 전개 가능성 모색
참고문헌(3부)
4부 ╻ 한국 사회 정치 현실과 K-신학
최태관 ∙ 민족의 해체 시대에 남북 분단의 고착화의 극복과 통일을 이루는 한국신학으로서 통일 신학의 길 모색
강응섭 ∙ 라캉의 ‘3말’(三語)로 안병무의 “그리스도교와 민중언어 1” 읽기― 민중언어의 기원과 전개 과정에 관한 시론
이상은 ∙ K-신학의 성령론― 한국적 성령론은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까
참고문헌(4부)
지은이 알림
저자소개
책속에서
“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 이는 1937년 조선총독부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춤’(무용, 댄스)은 교회와 신학에서 주변적인 것이고 심지어 불온한 것인가? 성서, 신학 사전에 ‘춤’(dance, Tanz) 항목은 거의 찾을 수 없다. 성서와 신학 연구자들이 얼마나 춤에 대해 인색한가를 말해 준다. 그렇지만 성서는 하느님의 해방과 약속의 성취에 대해 온몸, 즉 춤으로 응답한다. 미리암과 다윗이 대표적 인물이다. 화가들은 웃거나 춤추는 십자가상의 그리스도를 그리기도 했다. 최근 삼위일체론은 윤무(輪舞)를 통해 삼위일체 하느님의 페리코레시스적 교제를 설명하기도 한다. 춤이 인간학에서 그리스도론 그리고 신론으로 발전한 것이다.
<1부╻심광섭∙“‘하느님의 춤’ 卽 ‘인간의 춤’”> 중에서
소셜 미디어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신학의 공유 가능성과 그 방법론은 두 가지 모델을 바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 모델은 세계적인 IT 블로거이자 뉴욕대학교 저널리즘 교수인 제프 자비스(Jeff Jarvis)의 ‘공공화 모델’이다. 두 번째 모델은 ‘콘텐츠 마케팅’(Contents Marketing)이라는 용어의 창시자요 경제 저널 「인크」(Inc.)가 선정한 초고속 성장 미디어 회사인 ‘콘텐츠마케팅연구소’(Content Marketing Institute, CMI)의 설립자 겸 CEO인 조 풀리지(Joe Pulizzi)의 일곱 단계 콘텐츠 비즈니스 모델이다.
<1부╻김바로본∙소셜 미디어를 통한 신학 공유 방법론> 중에서
대체 누가 K-신학을 불가능하다고 하는가? 첫 번째 예상 그룹은 서구의 신학자이다. 특히 오리엔탈리즘에 찌든 일부 유럽 중심주의 신학자들은 다음과 같이 말할지 모른다: “한국에 과연 조직신학이 있었던 적이 있는가? 기독교가 인구의 1/4을 넘는다는 얘기는 들어봤지만, 한국적 기독교 신학이 있다는 얘기는 처음이다. 계속 우리 것을 수입해다 쓰지 않았는가? 한국적으로 적용된 판넨베르크와 몰트만은 결국 헤겔리안이 아니었나? 폴 틸리히는 결국 하이데거의 또 다른 판본이며, 최근의 과정신학은 화이트헤드의 복사판 아니던가? 유럽과 영미의 주파수만 바꿔 놓은 안테나 신학이 한국적 신학이 아닌가? 그 외 한국에서 과연 무슨 신학이 나올 수 있을까?”
<2부╻장왕식∙K-신학의 불가능성을 넘어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