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64479582
· 쪽수 : 215쪽
· 출판일 : 2023-10-30
목차
머리말
민중신학 서설
1강 _ 민중사건과 증언
1. 민중신학에 대하여
2. 왜 '민중인가?
3. 민중사건의 증언으로서 민중신학
민중신학의 방법
2강 _ 두 이야기의 합류
1. 신학이란 무엇인가?
2. 민중신학의 고유한 방법을 함축하는 "두 이야기의 합류"
3. 합류 모형이 갖는 신학적 독창성
4. 신학의 장(場)과 실천에 대한 새로운 이해
3강 _ 계시의 하부구조
1. 다시 음미하는 '합류'의 해석학
2. 계시의 하부구조와 반신학(反新學)
3. 물과 계급에 대한 인식의 혁명
4. 정치경제화적 현실 분석과 신학적 성찰의 결합
5. 천상의 언어에서 지상의 언어로
민중신학의 내용
4강 _ 하늘도 땅도 공(公)이다
1. "하늘도 땅도 공이다"
2. '공' 개념의 역사적 맥락
3. '공' 개념의 민중신학적 심화
4. 하느님의 주권의 표상으로서 '공'과 인권
5. 오늘 한국 사회에서 공의 의미
[보론] 공의 신학과 공공성의 신학
5강 _ 민중 메시아론
1. 민중은 메시아인가?
2. 민중 메시아론의 형성과 그 요체
3. 민중 메시아론, 그 쟁점들
4. 주객 이분법의 극복, 구속사와 일반사의 통합
6강 _ 부활의 신앙, 살림의 신앙
1. 어떤 부활이냐?
2. 죽임을 넘어 살림으로
3. 오늘의 시대정신과 부활 신앙의 회복
7강 _ 민중사건과 교회 공동체
1. 민중신학의 교회론은 불가한가?
2. 역사적으로 구체적인 현실에서 대안을 제시하는 민중신학
3. 종말 의식을 회복한 민중의 공동체로서 교회
4. 민중신학에 기초한 교회
민중신학의 전망
8강 _ 민중신학의 계보학
1. 민중신학 세대론
2. 민중신학의 여러 경향
3. 오늘의 역사적 지평에서 민중신학의 의의와 전망
맺음말에 갈음하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