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박근혜 정부의 탄생과 신학적 성찰

박근혜 정부의 탄생과 신학적 성찰

김진호, 최형묵, 이숙진, 정용택, 이상철, 최진영, 조민아, 전철, 손성현, 황용연, 박성훈, 한수현, 후카다 미키오, 낙운해 (지은이), 제3시대 그리스도교연구소 (엮은이)
동연출판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13,5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350원
14,6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박근혜 정부의 탄생과 신학적 성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박근혜 정부의 탄생과 신학적 성찰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학회/무크/계간지
· ISBN : 9788964472361
· 쪽수 : 294쪽
· 출판일 : 2013-12-31

책 소개

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가 발간하는 <시대와 민중신학> 무크지 12호이다. 이번 호에는 “박근혜 정부의 탄생과 신학적 성찰”이라는 특집 주제를 다뤘다. <시대와 민중신학>은, 이미 발견된 민중과 신학을 연역하기 위한 노력이 아니다.

목차

특집_박근혜 정부의 탄생과 신학적 성찰

독재의 내재화, 그 순박한 열정 / 김진호
박근혜 정권 탄생의 동학 / 최형묵
-기억의 정치와 헤게모니 전략을 중심으로
여성정치세력화와 여성대통령 만들기 / 이숙진
종교복지와 복지동맹 / 정용택
-사회서비스의 시장화와 ‘작은 교회’의 정치적 주체화를 중심으로

민중신학의 현재성

어느 늙은 민중신학자의 편지 / 이상철
Towards a Transnational Perspective on Minjung Hermeneutics / Jin Young Choi

일반논문_사유의 모험

개미들이여, ( )를 장악하라! / 조민아
-미셸 드 세르토와 함께 생각하는 평신도 운동
그리스도교에서 바라본 죄의 사회적 의미 / 전철
비블리오드라마의 교육적 가능성에 대한 고찰 / 손성현
Theological consideration on the marginal experiences of Korean “Military brides” in America / Yong Yeon Hwang

텍스트비평

바울과 데리다 / 박성훈
-두 낯선 이방인의 (불)가능한 만남, 그리고 환대의 공간
Theodore W. Jennings Jr., Reading Derrida/Thinking Paul: On Justice
법 밖의 정의 / 한수현
-바울의 메시아적 정치론에 대한 짧은 소개서
Theodore W. Jennings Jr., Outlaw Justice: The Messianic Politics of Paul
민중신학자 바울, ‘도시국가 서울’에서 ‘정의’를 외치다 / 정용택
-김진호, <리부팅 바울: 권리 없는 자들의 신학을 위하여>
한국 교회에 있어서 기독교 신앙을 묻다 / 후카다 미키오
-최형묵, <권력을 지향하는 한국 기독교>
한국 기독교 관련 책에 대한 비교서평 / 낙운해
-최형묵, <한국 기독교의 두 갈래 길> 외

저자소개

최형묵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천안살림교회 담임목사로, 차별과혐오없는평등세상을바라는그리스도인네트워크 공동대표 및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인권센터 이사를 맡고 있다. 한신대 초빙교수, 한국민중신학회장,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정의평화위원장, 성소수자교인목회연구소위원장, 5.18진실과화해위원장, 한국기독교장로회총회 교회와사회위원장, 사회선교사운영위원장, 생태공동체운동본부 상임대표, 성소수자목회연구위원장, 국가인권위원회 혐오차별대응특별추진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기독교윤리학 전공으로, 저서로 『해방공동체1~5』(공저), 『함께 읽는 구약성서』(공저), 『사회 변혁운동과 기독교 신학』, 『보이지 않는 손이 보이지 않는 것은 그 손이 없기 때문이다 : 민중신학과 정치경제』, 『뒤집어보는 성서 인물』, 『무례한 자들의 크리스마스』(공저), 『반전의 희망, 욥』, 『한국 기독교의 두 갈래 길』, 『한국 근대화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평가』, 『성찰하는 신앙, 마주하는 용기』, 『차별 없는 그리스도의 공동체 - 성소수자 교인 목회 및 선교 안내서』(공저) 외, 역서로 『무함마드를 따라서 - 21세기에 이슬람 다시 보기』 외, 일본어 저서로 『権力を志向する韓国のキリスト教』,『旧約聖書の人物 ー「韓国」という時空間で読む』,『無礼者たちのクリスマス - 韓国キリスト教保守主義批判』등이 있다.
펼치기
손성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독일어를, 감리교신학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습니다. 독일 튀빙겐대학교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고 한국의 여러 신학교에서 기독교교육학을 강의했습니다. 지금은 숨빛청파교회를 담임하고 있습니다. 베르너 라우비 & 안네게르트 푹스후버의 『어린이 성경』(북극곰) 외 많은 책을 번역했고, 『나를 넘어서는 힘』(크리쿰북스)을 썼습니다.
펼치기
황용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버클리 연합신학대학원(GTU) 박사과정에서 공부하고 있으며, 제3시대기독교연구소의 객원연구원이다. 저서로 『죽은 민중의 시대 안병무를 다시 본다』(공저), 『21세기 민중신학』(공저)가 있으며, 유학길에 오르기 전에 민중신학에 관한 많은 글들을 발표했다. 현재 주된 관심은 탈식민주의적 관점에 입각하여 민중신학을 재해석하고, 한국 사회를 분석하는 것이다.
펼치기
황용연의 다른 책 >
이숙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기독교윤리(Ph.D.)를 공부했으며 한국여성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사)한국YWCA연합회 Y아카데미 연구위원, (사)한국YWCA연합회 여성신학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 중이다. 여러 대학에서 여성신학, 기독교윤리, 종교와 여성 등의 과목을 담당하고 있으며 젠더ㆍ섹슈얼리티, 인권, 신자유주의, 자기 계발 등의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 근대 기독교와 여성의 탄생』(2022,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한국기독교와 여성 정체성』 등이 있다.
펼치기
박성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대학에서 생물학을 전공했고 현재는 철학 및 신학 관련 전문번역자로 활동하고 있다. 알랭 바디우의 『세계의 논리』(근간) 『철학을 위한 두 번째 선언』 『수학 예찬』 『정치는 사유될 수 있는가』 등과 피터 홀워드의 『알랭 바디우』, 테드 W. 제닝스의 『무법적 정의: 바울의 메시아 정치』 『데리다를 읽는다/바울을 생각한다』, 지그문트 바우만의 『이것은 일기가 아니다』(공역) 등 여러 책을 번역했다.
펼치기
김진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3시대연구소 연구실장을 지냈고,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민중신학연구자로, 한국사회와 그리스도교의 조합이 일으키는 폭력의 제도화에 대해 다루는 글을 저술해 왔다. 주요 저작으로는 『시민K, 교회를 나가다―한국 개신교의 성공과 실패, 그 욕망의 사회학』, 『대형교회와 월빙보수주의―새로운 우파의 탄생』, 『극우주의와 기독교』 등이 있다.
펼치기
조민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세인트캐서린 대학교(St. Catherine University)의 영성과 신학 분야 조교수이다. 연구 주제는 기독교 영성, 페미니스트신학, 탈식민주의이론, 아시아 및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종교와 문화이다. 특히 개개의 그리스도인들이 그들이 속한 문화적 맥락 속에서 전통적인 교회 제도의 영향을 고치고 다시 만들어나가는 방식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는 『21세기 민중신학』(공저), 최근에는 『여성, 글쓰기, 신학: 배제의 전통을 변화시키기』(Women, Writing, Theology: Transforming a Tradition of Exclusion, 2011)에 글을 기고한 바 있다.
펼치기
최진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콜게이트 로체스터 크로저 신학교(Colgate Rochester Crozer Divinity School)의 신약성서 및 기독교의 기원 분야 조교수이다. 저서로는 Mark: Texts @ Context (Fortress, 2010), Feasting on the Gospels: Matthew (Westminster John Knox, 2013), 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Bible and Gender Studies (2014년 출간 예정) 등이 있다. 현재 미국성서학회(SBL)의 Asian & Asian American Hermeneutics group의 공동 에디터로 활동하고 있으며, 2013-2015년 기간 동안 Louisville Institute로부터 Postdoctoral Fellowship을 받고 있다.
펼치기
전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신대 신학부 교수. 한신대 신학과와 동대학원 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신대 신학대학원 원장이며 한신대 종교와과학센터(CRS) 센터장이다. 서울대-한신대 포스트휴먼연구단에 소속되어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과 문명에 관한 논의에 참여했다. 주요 저서로 『화이트헤드의 창조성과 세계의 상대성』 등이 있고, 공저서로 『내가 만난 루만』 『AI 시대, 행복해질 용기』 『한국교회의 개혁을 위한 신학』 『한국의 과학과 종교』 『평화의 신학』 『소수자의 신학』 『포스트휴먼 시대, 생명・신학・교회를 돌아보다』 『한국신학의 선구자들』 『미디어와 여성신학』 등이 있다.
펼치기
한수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카고 신학교(CTS)에서 바울신학의 정치학에 관심을 두고 박사과정 중에 있다. <웹진 제3시대>에서 ‘바울신학가이드’라는 제목으로 바울 연구사에 관해 연재를 하고 있다.
펼치기
후카다 미키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동지사대학의 명예교수이다
펼치기
낙운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기독교단 한국파견선교사이자 한국 장로회신학대학교 조교수이다.
펼치기
이상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신대에서 신학수업을 받았다. 그 후 미국 멕코믹 신학대학원 석사를 거쳐 시카고 신학대학원에서 ‘레비나스의 타자의 윤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크리스챤아카데미 원장, 한백교회(기장) 담임목사, 한신대 신학과 겸임교수로 활동하는 N잡러 인문/신학자이다. 대중문화와 사회현상에 드러난 당대의 문화적, 윤리적 이슈를 해명하는 작업에 관심이 크고, 시시각각 새로운 형태로 변모하는 자본의 패권적 질서에 맞서 신학적으로, 윤리적으로 제동을 거는 것이 신학함의 중요한 이유라 생각한다. 앞으로 어떻게 변모할지는 모르겠으나 지금까지는 주로 레비나스의 타자론, 데리다의 해체론, 지젝의 실재론에 기대어 글을 써왔다. 근래에는 ‘포스트휴먼시대, 이타성에 바탕한 신학적 인간학, 혹은 윤리학’이라는 주제에 꼿혀 있다. 신학적으로 영향을 준 인물을 꼽으라면 강원용과 안병무, 본회퍼와 테드 제닝스라고 서슴없이 말한다. 제11차 WCC 칼스루에 총회(2022) 한국준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였고, ‘교회 고백 문서: 한국교회 코로나 문서’(NCCK, 2022), ‘한국기독교장로회 제7문서’(2023) 집필위원으로 참여했다. 단행본으로 『죽은 신의 인문학』과 『탈경계의 신학』이 있고, 『전쟁 넘어 평화: 탈냉전의 신학적 인문학』, 『바이러스, 팬데믹, 그리고 교회』, 『인간 너머의 인간』, 『아픔 넘어: 고통의 인문학』, 『코로나19와 한국교회의 사회인식』, 『한국 기독교의 보수화, 어느 지점에 있나』, 『민중신학, 고통의 시대를 읽다』, 『십계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등 10여 권의 공저와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제3시대 그리스도교연구소 (엮은이)    정보 더보기
소장: 김창락 1991년 창립한 이래 진보적 신학의 전문화, 현장화, 대중화를 모토로 강좌, 심포지엄, 연구프로젝트, 저술 등의 활동을 펴고 있다. http://www.minjungtheology.net
펼치기
제3시대 그리스도교연구소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