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64479827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24-01-16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머리글
1장│한국 신학과 다석 류영모
I. 신학이 태동하는 자리
1. 신학의 구성 요건
2. 한국 신학의 특징
II. 한국 신학으로서 다석신학의 적합성과 가능성
1. 한국 신학의 과제와 다석신학
2. 후기-그리스도교 신학의 구성 ― 한국 신학, 변증 신학, 통전 신학
3. 한국적, 변증적, 통전적 신학으로서 다석신학
4. 다석신학의 구성
III. 다석신학의 연구 자료와 동향
1. 연구 자료
2. 연구 동향
IV. 다석신학의 연구 방법
1. 문헌 연구 방법론
2. 비교 융합 방법론
3. 지혜 신학 방법론
4. 통전적 구성 방법론
2장│세계와 합일하는 하나(一)의 신
I. 다석 신론의 형성 배경
II. 다석 신론의 쟁점: 신과 인간의 관계성 그리고 수행
III. 고난을 통한 초월적 내재로서의 한웋님
1. 일반적 의미
2. 부자유친의 효신학 ─ 신의 초월성에 기초한 수신적 신론
3. 머리골에 나려 계신 하나님 ― 신의 내재성에 기초한 수행적 신론
IV. 없이 계신 님: 자기 부정적 해체를 통한 신의 비실체론적 자기 계시
1. 없이 계신 하나님의 실체론적 이해와 비실체론적 이해
2. 더 큰 있음이 아닌 한없이 큰 것으로서의 ‘없음’
3. 개방성과 무규정성으로서의 없이 계신 하나님
4. 생성과 비시원성의 없이 계신 하나님
V. 절대공(絶大空)과 븬탕
1. 빔의 역설적 충만
2. 주체의 변형으로서 수행
VI. 하나(一): 신과 세계의 합일과 양방향성의 역동
1. 무극이태극의 신
2. 귀일과 유출
3. 가온찍기()와 수축
VII. 신비주의적 신론
1. 다석과 에크하르트
2. 신비주의적 언어관
3. 무로서의 신과 여공배향
VIII. 의 신론
1. 한아
2. 한늘
3. 한
4. 한님
IX. 은유 신학으로서 어머니 신론: 없이 계신 엄
3장│‘그리스도록’, 믿는 자들의 정체로서 그리스도
I. 다석 그리스도론의 형성 배경
1. 망국의 현실과 새로운 주체성의 요청
2. 견성과 부자유친
3. 에크하르트와 톨스토이
II. 다석의 그리스도교 신앙 정체성 문제
1. 다석과 종교다원주의
2. 다석의 그리스도교 신앙 정체성
III. 얼 그리스도론
1. 얼
2. 얼에서 그리스도로
IV. 효 그리스도론: 관계론적 구원의 한국적 이해
1. 효의 대속적 이해
2. 뫼신아달 예수의 효
3. 양언선 양아의
4. 천직과 고디의 대속론
V. 사람됨으로 태어나는 그리스도: 다석과 에크하르트의 독생자론 비교
1. 그이의 독생자론
2. 하나님 아들의 탄생과 한 나신 아들
3. 초탈과 ‘그리스도록’
4장│ ‧ 숨 ‧ 김
I. 다석 성령론의 구성 배경 ― 유교, 도교, 동학을 중심으로
II. 다석 성령론의 쟁점: 영(靈)의 포괄적 활동으로서 성령의 현존
III. 성령론
1. ‘깨끗’의 성령,
2. 인간 바탈로서의 性靈
IV. 숨 성령론
1. 포괄적 생명의 숨님
2. 상징과 은총을 통해 현존하는 진리의 숨님
3. 격물치지성령지 그리고 모름지기
4. 궁신지화
5. 수믄 님: 감춤으로 드러나는 신비의 영
V. 김 성령론
1. 기(氣)로서의 성령
2. 수심정기(守心正氣)와 지기(至氣)
3. 영의 비인격성과 인격성의 역설적 통합
5장│다석의 삼재론적 삼위일체론
I. 다석 삼위일체론의 구성 배경과 체계
1. 삼위일체론과 3수 분화의 삼재론적 세계관
2. 다석 삼위일체론의 구성 체계
: 구원의 역사 속에서 나타나는 하나님의 내면성과 정체성
II. 다석의 삼재론적 삼위일체론의 내용
1. 참, 빛, 나: 지성적 삼위일체론
2. 터 ‧ 때 ‧ 삶: 의 삼위일체론
3. 양언선 양아의: 비움의 삼위일체론
4. 성언: 사랑의 삼위일체
5. 통전적 구원의 삼재론적 삼위일체론
6장│다석의 수행-미학적 인간론
I. 다석 인간론의 수행-미학적 구성
II. 다석의 수행적 인간론의 토대: 참나
1. 초월적 만남의 주체로서 참나
2. 유교 수행 맥락에서의 참나
3. 불교 수행 맥락에서의 참나
III. 다석의 수행적 인간론의 특징
1. 초월적 내재
2. 성례
3. 금욕
4. 생각
5. 씨알
IV. 비움과 영의 아름다움
7장│후기-그리스도교 시대의 다석신학
I. 세속화와 탈서구화 시대
II. 후기-그리스도교 신학으로서의 다석신학
: 한국 신학, 변증 신학, 통전 신학
1. 한국 신학으로서 다석신학
2. 변증 신학으로서 다석신학
3. 통전 신학으로서 다석신학
8장│결론: 다석신학 연구에 대한 평가와 전망
다석신학, 한국적 영성에 나타난 하나님의 얼굴
참고문헌
찾아보기
<표 차례>
표 1: ‘쇠북소리와 울림’의 『주역』을 통한 삼위일체론적 구성
표 2: 다석과 아우구스티누스의 지성적 삼위일체론 비교
표 3: 삼위일체론 비교
<그림 차례>
그림 1: 1971년 12월 9일 다석일지 106
그림 2: 1956년 11월 18일 다석일지 160
그림 3: 1960년 6월 14일 다석일지 172
그림 4: 1959년 5월 22일 다석일지 182
그림 5: 1959년 6월 25일 다석일지 217
그림 6: 1955년 12월 11일 다석일지 295
그림 7: 1955년 5월 22일 다석일지 471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은 다석 류영모의 신학을 한국의 얼 생명, 곧 ‘한국적 영성’을 표출하는 한국 신학으로, 역사의식을 갖춘 변증 신학으로 그리고 동양 종교 사상들과 서구 신학들과의 ‘비교’와 ‘대화’를 통하여 다양성 속에서 역동성을 가진 일치를 위한 통전 신학으로 규정하고, 다석신학의 내용들을 그리스도교 조직신학의 체계를 따라 신론, 그리스도론, 성령론, 삼위일체론, 인간론의 범주로 구성한다. 그리고 다석신학이 가진 동시대적 의의를 설명하기 위해 후기-그리스도교 신학으로서 다석신학으로 종합하고 정리한다. 특히 이 책이 비교와 대화의 방법으로 통전적 구성을 시도하려는 이유는 다석신학을 구성하고 있는 유교, 불교, 도가 사상 및 한국 전통종교문화 그리고 서양철학 및 서구 그리스도교 신학을 상호 비교하는 연구를 통해서 다석신학과 이들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상호조명과 상호보완이라는 결과를 얻기 위함이다.
「1장_ II. 한국 신학으로서 다석신학의 적합성과 가능성」 중에서
김흡영은 다석이 허상인 현상세계인 ‘있음’보다 “더 큰 실재”라 할 ‘없음’의 신학을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런 맥락에서 김흡영은 다석의 ‘없음’은 ‘있음’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고, ‘있음’ 그 자체에 대한 더욱 폭넓은 이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없이 계신 님’이라는 신명칭은 ‘있음’(有)과 ‘없음’(無)을 초월한 맨 처음의 일체로서의 있음보다 “더 큰 실재”로서의 하나님을 설명한다는 것이다.
「2장_ IV. 없이 계신 님: 자기 부정적 해체를 통한 신의 비실체론적 자기 계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