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무역
· ISBN : 9788964891650
· 쪽수 : 278쪽
· 출판일 : 2012-11-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어려운 무역계약·관리는 가라/공부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라/저자의 과거와 오늘
제1장 무역계약
Ⅰ. 계약서 작성 전에 체크해야 할 사항
1. HS Code 확인 및 중요성/2. 샘플 발송 및 확인/3. T/T로 결제조건을 지정할 경우 주의점/4. 결제조건의 명확한 표기/5. 제품 생산 후 선적 및 수입 통관 스케줄/6. 가격조건(인코텀스)에 따른 견적가 재확인 및 수입통관을 위한 자금 준비/7. 가격조건에 따른 포워더의 서비스 질
Ⅱ. 결제조건을 신용장(L/C)으로 결정하기 전 체크해야 할 사항
수입자 체크사항
1. 수입자의 신용장 개설 신청에 대한 은행의 동의 여부 사전 체크/2. L/C는 취소불능이기 때문에 신중히 개설 신청할 것/3. 선적 전 검사증명서 요청/4. Usance L/C에서 결제 유예 기간 설정에 대한 주의점
수출자 체크사항
1. 46A 조항에서 무리한 요구 사항이 없는지 체크/2. S/D, E/D 및 선적서류제출기일 확인/3. Usance L/C의 경우 Banker's인지 Shipper's인지 반드시 확인/4. 수출자 자신에게 지급 보증하는 개설은행의 신뢰도 확인/5. 은행의 조언에 100% 의지하지 말 것
공통체크 사항
1. 신용도 체크/2. 언급되는 일자와 함께 사용되는 단어의 해석
Ⅲ. 클레임(Claim)과 중재(Arbitration)
1. 계약서에는 클레임 제기 및 해결 방법을 명시해야/2. 무역 클레임의 해결 방법으로서 중재 선택/3. 중재의 특징과 계약서에 중재 조항 적용 방법
Ⅳ. 무역 계약 관련 서류 작성법 및 이해
1. 무역계약 절차에 대한 개념 바로잡기/2. FirmOffer/3. 매매계약서/4. 반거래조건협정서
제2장 무역서류 작성
Ⅰ. 수출자가 작성하는 서류
1. 선적서류에 대한 이해/2. 제조공정도, 성분분석표, 그리고 검역증/3. 미수금내역서/4. 크레딧 노트/5. Order Confirmation/6. Beneficiary's Certificate
Ⅱ. 수입자가 작성하는 서류
1. 오더시트 작성/2. 클레임 노트
제3장 무역관리대장 작성 및 관리 방법
Ⅰ. 관리대장 작성을 위한 기본 지식
1. 관리 대장 작성 및 활용을 위한 유용한 엑셀 기능/2. 선적서류 관리를 위한 ‘관리번호’ 지정/3. PDF Converter를 이용한 PDF 파일 전환
Ⅱ. 엑셀을 활용한 무역관리대장
1. 오더 관리대장/2. 결제 관리대장/3. 수입자의 Usance L/C 한도 사용 내역대장/4. 수출자의 L/C 매입 신청스케줄 관리대장/5.통관스케줄리스트/6.재고관리대장(입·출고대장)/7. 재고관리대장을 이용한 월 마감 업무/8. 샘플 관리대장/9. 실재고와 전산재고 일치를 위한 ‘재고 창고 배치도’ 활용
Ⅲ. 선적서류 관리를 위한 파일링 방법
오더 관리 대장 파일철-선적서류 파일링 방법
Ⅳ. 기본적인 엑셀 기능
1. 절대값 $의 활용/2. 필터 기능 활용/3. 사용자 지정 기능 및 기타 내용 195
제4장 이메일 관리 및 작성법
Ⅰ. 이메일에 대한 올바른 개념 및 관리 방법
1. 이메일 작성의 목적은 뜻 전달이다/2. 이메일에 대한 올바른 개념 정립/3. 아웃룩 사용 이유와 주요 활용 기능
Ⅱ. 아웃룩(Outlook)의 유용한 기능
1. 이메일 계정 등록/2. 거래처별 폴더 만들기/3. 메일 규칙 만들기/4. 주소록 설정/5. 편리한 파일 첨부 기능
Ⅲ. 체계적인 이메일 작성 기술과 관례
1. 이메일 제목 결정 요령/2. 이메일 본문 작성 요령/3. 질문을 던지는 요령과 답변 요령/
4. 이메일 제목은 해당 건이 종료될 때까지 변경하지 않는다/5. 주제가 다른 경우 그 주제별로 이메일 발송
제5장 실무에서 발생되는 사건과 해결 방법
1. 외관상 파손된 물품에 대한 보세창고의 처리 방법/2. 수입신고필증 & 수출신고필증 재발행 방법(UNI-PASS 통해서)/3. 화물의 포장과 적하보험과의 관계/4. 한국에서 발급 된 원산지증명서 조회 방법(상공회의소 / 세관 발행)/5. 관세 계산할 때 발생하는 가산금액(수입신고필증에 표기 내용)/6. Packing List의 CBM과 B/L의 CBM이 다른 경우/7. CFR과 CIF가 비용분기점과 위험분기점이 동일한 이유/8. FCA Incheon Airport와 FOB Incheon Airport의 차이점/9. 적하보험 가입은 Freight 구간에 대한 위험 커버 당사자의 선택 사항/10. 목재포장재(열처리, 훈증)에 대한 기준과 소독처리 마크의 이해
제6장 무역 용어집
1. HS Code에 대한 이해/2. Lot No.의 정의/3. 인보이스 Cost Breakdown/4. Surrender와 Telex Release의 차이점
부록
1. 각국의 목재포장재 소독 및 증명방법/2. 매입 신용장 개설 응답서/3. 입고증, 출고증, 그리고 거래명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