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독서/작문 교육
· ISBN : 9788965021964
· 쪽수 : 191쪽
· 출판일 : 2015-04-14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 혼자 써 오던 나의 비밀 병기
Part1 좋은 문장 쓰기
좋은 문장을 위하여
가. 좋은 문장이란? / 나. 비법은 없지만 방법은 있다
왜 엄마표
가. 초등 작문 지도 요령은 어떻게? / 나. 엄마가 꼭 해야 하는 이유
다. 글짓기의 어려움 2가지
좋은 문장
가. 활어? / 나. 활어 맛을 보자 / 다. 활어의 특징
활어 잡는 법
가. 활어는 어디서 잡을까? / 나. 활어 찾기 대상 / 다. 활어 찾는 법
활어 보관법
활어사전이란
가. 활어는 분류가 생명이다 / 나. 활어사전 분류 색인
활어사전 수업 방법
가. 활어사전 학습 방법 / 나. 수업 목표 / 다. 수업 방법(예시)
유의어
사전
Part2 활어사전 집중 탐구
01. 활어사전 탐구-말하다
02. 활어사전 탐구-듣다
03. 활어사전 탐구-보다
04. 활어사전 탐구-생각하다/기억하다
[학습예제-1] 활어 찾기-말하다, 듣다, 보다, 생각하다/기억하다
05. 활어사전 탐구 - 기쁘다/즐겁다/행복하다
06. 활어사전 탐구 - 화내다/불안하다
07. 활어사전 탐구 - 슬프다/실망하다
08. 활어사전 탐구 - 놀라다
09. 활어사전 탐구-고통/아픔/무서움
[학습예제-2] 활어 찾기-‘기쁘다/즐겁다/행복하다’, ‘화내다/불안하다’, ‘슬프다/실망하다’,
‘놀라다’, ‘고통/아픔/무서움’
[묘사 vs 활어]
가. 인물 묘사 / 나. 묘사 / 다. 묘사의 방법 / 라. 활어 VS 묘사
10. 활어사전 탐구-묘사-사람 성격/모습
11. 활어사전 탐구-묘사-사물/동물
12. 활어사전 탐구-음식/먹다/맛
13. 활어사전 탐구-냄새
14. 활어사전 탐구-소리
15. 활어사전 탐구-색
16. 활어사전 탐구-풍경
17. 활어사전 탐구-날씨
18. 활어사전 탐구-시간
[학습예제-3] 활어 찾기
Part 3 형식별 글쓰기
01. 날마다 쓰는-일기
가. 일기를 쓰는 이유는 무엇일까? / 나. 일기란 무엇인가?
다. 일기 쓰는 방법 / 라. 일기는 가장 자유로운 형식
마. 일기에 변화를 주는 요소들 / 바. 엄마 역할
02. 책을 읽고 쓰는-독서 감상문
가. 책 고르기 / 나. 어떻게 읽을 것이냐(동화, 전기, 그 외)
다. 독서 / 라. 정리(요약하기) / 마. 감상(느낀 점, 생각, 질문)
바. 감상문 초고 쓰기(서론, 본론, 결론의 초고 쓰기) / 사. 퇴고
03. 내 마음을 전하는-편지문
가. 편지문 특성 / 나. 편지문의 형식
04. 보고 듣고 생각을 쓰는-기행문
가. 기행문의 성격 / 나. 기행문의 특징
다. 기행문의 소재 / 라. 기행문의 요소
마. 일반적인 기행문 형식 / 바. 기행문 잘 쓰는 방법
Part4 실전 글 고치기
일반적인 글쓰기
①구상 / ②구성 / ③글쓰기 / ④퇴고
활어사전, 활용하여 글 고치기
가. 활어사전을 활용한 글 고치기 / 나. 주의사항
실전 글 고치기-예시1
실전 글 고치기-예시2
문장 다듬기 요령
Part5 실전 글쓰기
실전 글쓰기
가. 어떤 글을 쓸 것인가? / 나. 글감 찾기
다. 주변을 샅샅이 살펴라 / 라. 머리를 굴려라
실전 예제-머리 굴리기
가. 실전 예제 / 나. 결과 / 다. 머리 굴리기 과정 분석
라. 머리 굴리기 최종 결과물 / 마. 머리 굴리기 기술
실전 예제-글 만들기
실전 예제-생각 키우기
실전 예제-생각과 감정을 담아 글쓰기
좋은 문장이란?
가. 쉬운 문장 / 나. 바른 문장
다. 짧은 문장 / 라. 매력적인 문장
퇴고
가. 퇴고의 3가지 원리 / 나. 퇴고의 기술 / 다. 퇴고 시 주의사항
저자소개
책속에서

좋은 문장 쓰는 것은 글쓰기의 최종 목표이다. 좋은 문장을 마음먹은 대로 쓰기란 쉽지 않다. 상당한 습작기를 거친 사람도 좋은 문장을 쓰기 위해 애를 먹는다. 이 책의 목표는 좋은 문장 쓰기이다. 게다가 이 책의 독자는 성인 초보자이다. 성인 대상 글쓰기 수업은 대부분 비슷하다. 문장 이론, 문법과 첨삭 위주의 실기로 이뤄진다. 실제 이런 방법으로 글쓰기에 성공한 경우는 거의 없다. 실패한 이유가 과연 뭘까?
‘말하다’의 쓰임을 관찰해 보자. 관찰은 단순히 보는 행위가 아니다.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대상은 달라진다. 자신의 눈이 카메라 렌즈가 되어 사물을 관찰하자. 같은 대상이라도 초점에 따라 방향에 따라 사진은 달라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