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65022039
· 쪽수 : 266쪽
· 출판일 : 2015-08-15
책 소개
목차
책을 열며/애국가 작사자의 성명이 없다
1章
오늘 부르는 이 노래
과연 애국가는 작사자 미상인가
이것은 민중의 선택
수난기, 순결ㆍ비장한 나라사랑
2章
미상이라니?
작사자는 윤치호
역사 연구에 일대 획을 긋는 사료 발굴
모르는 척 40년
국사편찬위원회가 책임져라
3章
애국가 작사자도 모르는 정부
베일에 싸인 해괴한 상황이 반백년
증거 발굴
-애국가 작사자 윤치호, 정부는 이미 알고 있었다
최초 발굴
-애국가 작사자 안창호 아니다
애국가와 안익태, 뭉클한 두 이름
애국가 작사자, 엉뚱한 번지수 긁어 부스럼
‘애국가, 윤치호 친필 맞다’ 오래 전 검증필
4章
불순한 음모를 경계한다
애국가를 들으면 눈물이 글썽
애국가 작사자 ‘미상’ 아닌 ‘미결’
애국가는 윤치호 작사, 최고 증거 첫 발굴
애국가란 나라와 민족을 상징하는 노래
친일 윤치호, 자살했나
애국가는 많다
안익태, 누가 그를 폄하하는가
못마땅하니 새로 만들자고?
장준하 "듣고도 아무 감동 없는 자"
終章
사실이라는 것이 중요하다
애국가 안창호 작사설의 허구①
애국가 안창호 작사설의 허구②
애국가 안창호 작사설의 허구③
확정할 수 있는 근거 8가지
부록_1
1955년 국사편찬위원회
‘애국가 작사자 조사’ 기간 관련 보도
1955년 국사편찬위원회의 애국가 작사자 조사기간, 신문과 잡지는 관련기사를 통해 애국가 작사자가 안창호에서 김인식으로, 다시 최종 윤치호로 확정돼 가는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이 부록에서는 1955년 4월부터 7월까지 총14편을 수록했다.
부록_2
애국가의 역사
역사적 사실을 증명한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여러 가지 증거를 찾아 증명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부록_2는 또 다른 설명이기에 중복이 있다.
역사적 전개와 성격 변화 과정
제1기 전사 시대
제2기 애국가 시대
제3기 국가 대용 시대
제4기 국가 준용 시대
제5기 국가 공인 시대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 나라의 역사와 이념을 가사와 선율로 드러냄과 동시에 그 민족의 역사와 민족성 그리고 미래상까지 반영한 국민적 노래가 국가(國歌)다. 국가를 부르는 행위를 통해 국민들은 민족 정서에 공감한다. 이념을 일체화시켜 연대감과 동질감을 맛본다. 본질적으로 공동체적 유대를 공유한다.
동해물과 백두산이 말으고 달토록
하나님이 보호하사 우리대한만세
(후렴)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남산 우헤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 듯
바람이슬 불변함은 우리 긔상일세….
가을하날 공활한대 그름업시 높고
밝은 달은 우리가슴 일편단심일세….
이 긔상과 이 마음으로 님군을 섬기며
괴로우나 질거우나 나라사랑하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