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초등 자녀
· ISBN : 9788965181873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16-08-1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우리말 받아쓰기
01 우리 문자 이해하기
01 우리말의 낱글자 : 자음
02 우리말의 낱글자 : 모음
03 우리 글자 만들기:음절
02 단어들의 묶음
01 이름을 가리키는 말:명사
02 이름 대신 쓰는 말:대명사, 수사
03 동작이나 모양을 가리키는 말:동사, 형용사
04 다른 말을 꾸미는 말:부사
05 다른 말을 꾸미는 말:관형사
06 관계를 나타내는 말:조사
07 감탄을 나타내는 말:감탄사
03 정확하게 받아쓰기
01 자주 틀리는 자음:된소리
02 자주 틀리는 모음:ㅐ, ㅔ
03 자주 틀리는 모음:ㅚ, ㅙ, ㅞ
04 자주 틀리는 모음:ㅟ
05 자주 틀리는 모음:ㅒ, ㅖ
06 자주 틀리는 모음:ㅢ
07 자주 틀리는 받침:ㅅ
08 자주 틀리는 받침:ㅈ
09 자주 틀리는 받침:ㅊ
10 자주 틀리는 받침:ㅌ
11 자주 틀리는 받침:ㅋ, ㅍ
12 자주 틀리는 받침:ㅎ
13 자주 틀리는 받침:ㄲ
14 자주 틀리는 받침:ㄺ
15 자주 틀리는 받침:ㄼ
16 자주 틀리는 받침:ㄵ, ㅄ, ㄾ, ㄿ
17 자주 틀리는 받침:ㄶ, ㅀ
04 소리로 익히는 받아쓰기
01 음절의 끝소리 현상:받침소리 7개
02 음절의 끝소리 현상:자음 동화
03 음절의 끝소리 현상:구개음화
04 단어에 ㅅ을 넣어요:사잇소리
05 소리가 없어져요:ㄹ탈락
06 소리가 없어져요:ㅡ탈락
07 소리가 합쳐져요:자음 축약
08 소리가 합쳐져요:모음 축약
2부 우리말 띄어쓰기
01 문장 속 역할로 익히는 띄어쓰기
01 문장을 끝맺는 방법을 배워요
02 주어, 서술어의 띄어쓰기
03 서술어의 띄어쓰기:시제
04 서술어의 띄어쓰기:높임법
05 목적어의 띄어쓰기
06 수식어의 띄어쓰기:모양 꾸밈말
07 수식어의 띄어쓰기:소리 꾸밈말
08 부사어의 띄어쓰기
09 수식어의 띄어쓰기:관형어
02 단어의 종류로 익히는 띄어쓰기
01 하나로 이루어진 단어는 붙여 적어요:단일어
02 단어와 단어가 합쳐져서 새로운 단어가 되었어요
:합성명사
03 단어와 단어가 합쳐져서 새로운 단어가 되었어요
:합성동사, 형용사
04 단어와 단어 아닌 것이 합쳐져서 새로운 단어가 되었어요
:파생명사
05 단어와 단어 아닌 것이 합쳐져서 새로운 단어가 되었어요
:파생동사, 형용사
06 단어와 단어 아닌 것이 합쳐져서 새로운 단어가 되었어요
:파생동사(피동)
03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
01 조사는 앞말에 붙여 적어요
02 의존명사의 띄어쓰기:것
03 의존명사의 띄어쓰기:수, 줄, 척, 데, 지
04 의존명사이면서 조사인 것들 띄어쓰기
:대로, 만큼, 만, 뿐
부록 초등 교과서를 활용한 받아쓰기 연습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소리 나는 대로 적으면 어떤 때는 ‘떠기’라 썼다가 다른 때는 ‘떡’이라고 써야 하니 혼동되겠지요? 맞춤법은 읽는 사람의 입장에서 구분하기 쉽도록 쓰는 거예요. 그래서 ‘ㄱ’을 받침 위치에 적어야 하는 거지요.
-“이 단어는 누구와 친하지?”라든지, “이 단어는 어떤 걸 꾸미지?”와 같은 질문을 활용하세요. 문장 속 단어들의 관계를 제대로 이해해야 국어를 제대로 공부할 수 있거든요. 가끔 “어떤 게 없어도 말이 될까?”와 같은 질문도 좋습니다.
-‘왠지’와 ‘웬지’는 어른들도 많이 틀리는 맞춤법이지요? 이것을 구분하는 것은 생각보다 쉽습니다. 일단 질문할 때 여러분은 어떤 단어를 쓰시나요? ‘왜’를 쓰지요? 거기에 ‘인지’를 붙인 것이 ‘왠지’입니다. 즉 이 단어 안에는 ‘왜’가 있는 것이지요.
-아이들이 ‘곳’을 ‘곧’으로 적을 경우에 ‘곧’이라는 단어를 가르쳐 주세요. 짧은 문장을 만들도록 하는 것이지요. ‘동생이 곧 태어난다.’와 같은 문장을 만드는 것이지요. 그러면 ‘곧’과 ‘곳’의 의미 차이를 알 수 있어요.
-단어를 낱개로 하나하나 가르치지 마세요. 단어 하나에 뜻 하나로 외우는 것은 오래 기억하는 데 방해가 돼요. 일상에서 많이 보는 단어를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일단 문장 속에서 단어를 익히도록 하세요.
-혼동하는 단어들은 일부러 함께 익히게 하세요. 그래야 구분하기가 더 쉽거든요. 어렵게 기억해야 받아쓰기를 더 쉽게 잘할 수 있어요.
-사이시옷을 쓰는 단어는 크게 세 가지 요건을 지켜야 합니다. 첫째는 단어 안의 두 요소가 각각 의미를 가져야 해요. 예를 들어 ‘귓속’이면 ‘귀’에도 의미가 있고 ‘속’도 의미가 있어야 한다는 거지요. 그리고 ‘귀의 속’처럼 ‘의’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해요. 그리고 적어도 하나는 원래 우리말이어야 해요.
-단어의 관계를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지요? 단어들이 나오면 공통점을 찾는 연습을 꼭 해야 합니다. ‘구름’과 ‘하늘’에서는 ‘높은 곳’이라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어요. ‘발’과 ‘팔’에서도 ‘사람 몸의 일부’ 등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고요. 아이들이 그 관계를 보는 데 익숙해져야 사고가 더 풍부해진답니다.
-아무리 길더라도 하나의 단어는 붙여 적어야 한다는 것을 가르쳐 주세요. ‘-하다’가 붙은 말은 아주 길어질 수 있어요. 그렇지만 아무리 길더라도 한 단어랍니다. 그러니 붙여서 적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