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정치비평/칼럼
· ISBN : 9788965235750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2-02-1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_ 비굴의 시간을 위한 변명
제1부_ 미친 세상 이해하는 척하기
1 테스 형은 절대 모른다
움베르토 에코는 왜? / 새로운 암흑시대: 디지털과 바벨탑 / 유튜브가 힘을 가지게 된 이유 / “Let’s go Brandon” / 지라시와 뇌피셜
2 사라지는 기록들
국가기록원 블랙리스트 소동 / NLL 기록 삭제와 대통령의 ‘부담’ / 입시기록의 불편한 진실: 그때는 안 됐고 지금은 된다? / 왕조실록과 대통령 기록 / 대통령 기록물이 위험하다: 대통령기록물법 개정의 문제점
제2부_ 세상이 이상하거나, 내가 미쳤거나
3 만들어진 진실: 대통령은 왜 탄핵됐을까
태블릿 PC와 포렌식 / 수첩은 ‘기록’일까: 기록의 조건 / ‘세월호 7시간’과 신뢰 / 너무나 다른 ‘승마 선수 정유라’ 기록: 브리태니커와 위키피디아
4 숨겨진 진실: 2020년 총선, 부정선거일까
동전 천 개 던져 같은 면 나오기: 게임의 룰이 바뀌었나 / 선거법과 연속성의 법칙(chain of custody) / 디지털 선거관리와 공무원의 ‘설명할 책임’ / 부정도 선거 전략이 되는 시대: <에포크 타임스>와 <타임>의 선거 보도
제3부_ 누구의 책임인가
5 ‘정의’가 헌법을 이기면
정의와 법치의 무게 / 교통경찰이 뒷돈을 안 받게 된 이유: 핵심 가치와 얼라인먼트 / 디지털은 죄가 없다 / 미디어는 사회주의를 좋아해
6 결국 ‘공공’이 문제다
공무원 사회는 오늘도 안녕합니다: 2016년 12월 어느 날 광화문 사무실에서 / 공무원 인사고과는 100점부터 / 그래도 공공이 필요한 이유 / 대통령이 목숨까지 걸어야 하나 / 낭만닥터 김사부가 국회로 간다면
덧붙이는 글_ 진실은 기록에서 나온다
시체해부법은 있는데 포렌식법은 없다 / 탈원전과 원전 기록: ‘산자부 신내림’ 사건을 기억하시나요? / 혁신은 아카이브로부터 / 기록 축적과 아카이브 산업: 네이버, 삼성 그리고 구글 / 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추천의 글_ 자유, 진실 그리고 기록 _강규형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인터넷과 미디어의 발달 덕분에 우리는 정보의 바다에서 살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예전보다 세상은 더 어둡고 불투명합니다. 유튜브의 ‘가짜 뉴스’를 조롱하면서 ‘팩트 체크’를 내세우는 공영 미디어는 자신이 정론이라 우기며 사람들의 생각을 조종하려 하지만, 정작 그들이 전하는 소식만으로는 해석되지 않는 일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들어가는 글)
넷플릭스에서 유행한 <오징어 게임>의 대사가 생각납니다. 이제라도 미디어와 디지털에 대한 몰입을 멈추고 각성하지 않으면 드라마 대사처럼 “우리 모두 이러다 다 죽어!”와 같은 상황이 닥칠지도 모릅니다. 모두가 무언가를 위해 열심히 달려가지만 정작 움베르토 에코처럼 ‘미친 세상’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각성하지 않으면 정말 어느 날 문득 세상의 종말이 이미 우리 코앞에 닥쳐와 있다 해도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닐 겁니다. (움베르토 에코는 왜?)
“요즘 세상에 부정선거가 가능하냐?” “수백 명의 눈을 속이는 게 어떻게 가능하냐?”라며 부정선거 의혹을 가짜 뉴스로 몰아갔습니다. ‘요즘 세상이기 때문에’ 부정선거가 가능하고, ‘디지털 세상이기에’ 수백 명이 아니라 수십만 명의 눈을 속이는 건 일도 아니라는 것을 알지 못하는 것입니다. 우리 사회에는 디지털 문맹을 벗어나지 못한 사람들과 이미 세상이 바뀌었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 아날로그적 사람들이 아직도 많다는 방증입니다. (부정도 선거 전략이 되는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