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65294177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24-07-31
책 소개
목차
PROLOGUE
PART Ⅰ. 진로가 뭐예요?
진로는 인생이다.
너의 삶을 살아라!
꿈을 선택할 때 기준이 있나요?
얘야, 너 이름이 뭐니?
진로를 찾아가는 여정
행복과 몰입의 관계
진로의 본질은 ‘나만의 꿈’을 찾는 것
우리 아이 처음 길을 갈 때 부모인 ‘나’는 어디에 있어야 할까요?
PART Ⅱ. 나는 어떤 사람이죠?
온전한 나로 살기 위해서는 용기가 필요하다.
우리 아이는 왜 꿈이 없을까?
나의 길은 진로인가? 퇴로인가?
그냥 내 마음을 알아주면 좋겠어.
진로의 시작은 자기이해
정답 없는 인생, 해답을 만들어가요!
마음의 소리에 귀 기울이면 길이 보인다.
나는 진짜 무엇을 하고 싶지?
PART Ⅲ. 앞으로 세상은 어떻게 변할까요?
미래는 알 수 없지만, 준비는 할 수 있어요.
우리는 왜 지나고 나서 후회할까?
당신의 실패는 안녕하십니까?
경험은 건강한 직업을 선택하게 하는 나침반입니다.
경험의 밀도
어디로 가서 뭘 하지?
나만의 길을 찾아서
진로와 진학
PART Ⅳ. 꿈을 이루기 위해 뭘 하면 될까요?
꿈을 실현하는 방법
미래를 위한 준비 ‘배움’의 본질과 ‘경험’의 가치
발목 잡기? 발판 딛기?
나만의 재능을 디지털 세상과 연결하라.
꿈의 매몰비용
함께 키워요!
‘나다운 삶’을 살고 싶은 우리 모두에게
꿈을 포기하지 않고 노력했던 사람들
EPILOGUE
참고 문헌
참고 미디어
저자소개
책속에서
‘진로는 인생이다.’ 중에서
오늘날 급변하는 사회 · 경제 · 교육적 환경에서 학생들은 영 · 수 · 국 · 과 · 사 등 교과목 지식뿐만 아니라 진로결정 역량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학과 직업을 성공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죠. 하지만 위 대화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진로에 대한 인식부터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잘 모르는 학생들이 있다는 겁니다. 최근 진로교육이 활성화되면서 많은 학생들과 학부모들께서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여전히 부족한 부분들을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어린 학생들이 자신의 미래를 결정한다는 것은 참으로 쉽지 않은 일이죠.
그렇다면 우리는 왜 진로(進路)에 대해 고민해야 하는 걸까요?
아마도 행복한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가 아닐까란 생각을 해봅니다.
‘우리 아이는 왜 꿈이 없을까?’ 중에서
우리 아이만 꿈이 없는 것 같아 걱정이라는 부모님을 자주 만나게 됩니다. 하지만 우리 아이만 꿈이 없는 게 아닙니다. 언젠가 신문 기사에서 대한민국 청소년 10명 중 7명은 꿈이 없다는 통계를 본 기억이 있습니다. 꿈이 있다고 응답한 3명도 대부분 부모님이 권유한 직업을 막연하게 그릴 뿐 진짜 아이의 꿈은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제가 만난 아이들도 꿈을 물으면 70%는 없다거나 모르겠다고 말합니다. 통계와 정말 비슷한 수치죠. 고등학생은 대입을 생각해야 하니 그나마 계열 정도는 정한 경우가 있지만 막연합니다. 아주 가끔 100명 중 한 명은 꿈이 너무 많아 정하기 어렵다는 아이를 만나게 됩니다. 꿈이 많다고 자신있게 말하는 아이들은 두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번째는 좋아하는 게 많고, 두 번째는 자신감이 넘칩니다.
‘당신의 실패는 안녕하십니까?’ 중에서
앞으로도 계속 기술은 발전할 것이고, 그때마다 계속 유망 직업들은 바뀔 거예요. 어떤 직업이 살아남을까가 아니라 어떤 상황에서도 살아갈 수 있는 역량이 그래서 중요합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진로교육은 직업탐색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들에게 꿈이 무엇인지 질문하면, ‘크리에이터’, ‘연예인’, ‘선생님’ 등의 직업을 이야기합니다. 변화의 소용돌이에서 우리 아이들이 현재 꿈꾸는 직업은 보장받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의 진로 교육은 ‘무엇으로 살까?’보다는 ‘어떻게 살까?’, ‘왜 살까?’에 대한 답을 생각할 수 있게 해야 합니다.
불확실한 미래에 살아갈 아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진로역량은 바로 ‘진로탄력성’이 아닌가 합니다. 현재 한 우물만 파는 전문가나 ‘평생직장’이라는 말들은 어느새 사라지고, 융합전문가와 이직러 또는 N잡러 등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변화의 연속선 상에 있는 삶, 우리들에게 새로운 변화를 받아들이고, 변화에 적응하고, 실패도 즐기는 훈련이 필요한 이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