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탈종교화 시대의 종교 경쟁과 혁신

탈종교화 시대의 종교 경쟁과 혁신

김성건, 송재룡, 오세일, 유광석, 이시윤, 이정연, 임영빈, 장형철, 최현종 (지은이)
늘봄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16,200원 -10% 0원
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탈종교화 시대의 종교 경쟁과 혁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탈종교화 시대의 종교 경쟁과 혁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종교학
· ISBN : 9788965550877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0-05-30

책 소개

지난 2015~16년 2년에 걸쳐서 총 다섯 명의 국내 학자들이 미국 남캘리포니아대학교의 종교와 시민문화연구소와 공동 연구하였고, 네 명의 한국종교사회학회 회원들이 집필에 함께 참여한 결과물이다. 총 9편의 논문들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서문_종교사회학의 발전을 기대하며

1장 한국 종교 인구 변화에 관한 코호트 분석_임영빈
1. 들어가는 글
2. 출생 코호트별 종교 인구 변화 분석
3. 코호트별 종교 인구 변화
4. 나오는 글

2장 청년 신자들의 탈종교 현상에 대한 일 고찰: 서울 중심지역 종교 기관(회중)들을 중심으로_송재룡
1. 머리말: 연구 관심과 조망
2. 종교경제론과 이에 대한 보완적 관점들
3. 연구방법 - 다섯 사례 연구
4. 데이터 분석 및 결과
4.1. 변화하는 종교 환경에서 청년신자의 감소 현상에 대한 반응
4.2. 종교 경쟁과 혁신에 대한 인식
5. 요약 및 논의

3장 탈교회화 시대의 종교: 한국 개신교의 ‘가나안 교인’에 대한 종교사회학적 분석_최현종
1. 들어가는 말: 탈교회 현상이란?
2. 탈교회 현상: 종교의 개인화?
3. 개인화된 종교: 영성의 추구
4. 탈교회 현상의 출발로서의 개인화의 기원과 전개
5. 시장이론: 탈교회 현상의 또 다른 설명
6. 나가는 말: 탈교회 현상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

4장 청년세대와 종교혁신: 대학생 교목 프로그램 사례분석_오세일
1. 들어가는 글
2. 청년세대의 종교성향변화
3. 세속 시대, 종교시장과 혁신
4. 종교 교육의 혁신 프로그램
5. 청년의 탈종교화
6. 세속 시대, 종교혁신의 과제
1) 의무 수강의 한계
2) 자발적 참여, 갈등과 동반
3) 인간의 실존적 체험과 보편적 가치: 영성의 길
4) 종교시장의 공적 규제 문제: 이단·유사종교로부터 피해 방지
5) 개인과 공동체: 인류의 보편적 화두

5장 대학 내 경쟁적 종교 환경과 불교학생회_이시윤
1. 서론: 경쟁적 환경과 참여 사이의 간극
2. 대학이라는 장(場), 불교 특유의 무기력
3. 현황과 인터뷰-“불교는 강요하지 않잖아요”
4. 경쟁적 종교 환경 내에서 무기력의 재생산 과정과 ‘괴롭히지 않음’의 딜레마
5. 결론

6장 서울 속 이주민들의 종교 사례 연구: 혜화동 필리핀 가톨릭 공동체의 특성 이해_장형철
1. 들어가는 말
2. 이주와 종교
3. 연구방법
4. HFCC의 사회문화적 지리학
5. HFCC의 특성
1) 필리핀 이주민들의 믿음
2) 종교적 실천들(주일미사, 기도회, 가톨릭 축제
3) 영적인 가족과 연결망으로서의 HFCC
6. 실제적인 편의와 사회 서비스(복지)
7. 지역성 전환으로서의 재소속과 재영토화
8. 나오는 말

7장 도시 공간의 변화와 교회시장의 변모: 서울 창신동 사례분석_이정연
1. 서론: 도시와 교회
2. 창신동의 공간적 특성
3. 창신동의 공간변화와 교회시장의 변화
1) 인구밀집과 성장주의: 1950년대~1980년대
2) 봉제업의 침체와 전략의 다양화: 1990년대
3) 이주노동자의 유입과 정체성 구축 및 차별화: 2000년대
4. 결론

8장 종교적 경쟁과 창조적 혁신: 수도권의 초대형교회 네 곳의 사례 연구_김성건
1. 문제의식
2. 초대형교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3. 새로운 방식으로 혁신과 성장을 도모하는 초대형교회의 사례
4. 초대형교회: 미국과 한국(본 연구가 조사한 네 초대형교회)의 비교
5. 맺음말

9장 종교시장에 대한 한국점술의 진화론적 적응: 수도권 세 곳의 점술단지에 대한 사례연구_유광석
1. 서론
2. 기존 연구들의 문제와 이론적 배경
3. 전통적 틈새시장들
4. 종교다원주의적 시대의 점술시장
5. 단일신론적 합리성 대 다신론적 합리성
6. 결론

저자소개

김성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헐대학교(The University of Hull)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최근 저(역)서로서 『왜 섬기는 교회에 세계가 열광하는가? 기독교적 사회참여의 새로운 모델, 성령운동』(교회성장연구소, 2008), 『글로벌 사회와 종교』(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5), 『일본의 종교: 토착교회 운동』(다산출판사, 2019), 『종교와 정치』(하늘향, 2020) 등이 있다. 서원대학교 사회교육과 명예교수이며 현재 장로회신학대학교 종교사회학 초빙교수이다.
펼치기
송재룡 (옮긴이)    정보 더보기
영국 브리스톨대 사회학과에서 석사와 박사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 전망에서 종교, 문화, 윤리, 자아 등의 주제를 다루며, 저서로는 『포스트모던 시대와 공동체주의』가 있으며, 『종교와 사회진보(공저)』 등이 있으며, 찰스 테일러의 『현대 종교의 다양성』을 우리말로 옮겼다. 최근 주요 논문으로, “Why Young Adult Believers are Turn Away from Religions: With a Focus on Religious Congregations in Downtown Seoul”; “The Korean Christianity and Civic Engagement: A Theoretical investigation”; “상호존재신론에서 보는 기도와 영성: 새로운 종교이해 전망을 위한 시론(공저)”, 그리고 “유교와 기독교의 초월 지평 비교: ‘좌광두’와 ‘토마스 모어’의 종교적 삶을 통해 본” 등이 있다.
펼치기
장형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감리교신학대학교 종교철학과(학사)와 신학대학원(석사), 영국 The University of Leeds, Dept. Theology and Religious Studies(MA)에서 공부한 후 영국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Dept. Theology & Religions에서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다.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사회과학연구(SSK 소형 ‘한국의 종교와 사회진보’와 중형 ‘사회적 진보와 공화적 공존: 개인, 종교, 공동체’), 일반공동연구(개신교 근본주의와 한국사회의 갈등), 저술지원(종교와 담론), 그리고 미국 템플턴재단이 지원하는 연구 Religious Competition and Creative Innovation(CRCC, Univ. of Southern Carlifornia) 등에 연구원으로 참여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다양한 연구 결과물들이 생산되었다. 주요 논문으로는 「한국 개신교의 근본주의적 특성에 대한 종교 사회학적 고찰-형성과 발전을 중심으로」, 「2005년과 2015년 인구 총조사 결과 비교를 통해서 본 불교, 개신교, 천주교 인구 변동의 특징-연령과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세월호 참사 사건에 대한 기독교 담론 분석: 성명서들과 선언문들 그리고 공식 입장 표명들을 중심으로」, 「유형별로 나누어 본 문화적 혼성화-종교문화를 중심으로」, 「도시 발전과 초대형 교회 건축: 서울을 중심으로」, 「종교와 사회적 자본: 한국 개신교회를 중심으로」, 「혼성화 이론으로 바라본 한국 개신교의 성장과 감소-새로운 개신교 문화담론을 향한 한 시도」, 「김수환 추기경과 노무현 전 대통령 추모 현상에 대한 뒤르케임주의적 한 이해」 등이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종교/문화 사회학, 사회/문화 이론 및 연구 방법론이다. 현재 인덕대학교 교목으로 사역 중이다.
펼치기
최현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하였고, 독일 라이프찌히(Leipzig) 대학에서 종교사회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서울신학대학교 교양교육원 교수이며, 종교사회학회 회장으로 섬기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 종교인구변동에 관한 연구』(2011, 서울신학대학교 출판부), 『오늘의 사회, 오늘의 종교』(2017, 다산출판사), 『현대사회, 종교, 그리고 돈』(2019, 한국학술정보)이 있으며, 그외에 다수의 논문과 공저가 있다. 번역은 이번이 처음 작업이다.
펼치기
유광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캐나다 오타와대학(University of Ottawa)에서 종교사회학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희대학교 사회학과 학술연구교수를 거쳐 현재는 국립코스타리카대학 한국학 파견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적 토대의 종교시장이론을 한국 및 동아시아적 상황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주요 저(역)서로는 『현대한국의 종교시장정책론』(2019),『중국의 종교』(2017), 『종교경제행위론』(2016),『종교시장의 이해』(2014) 등이 있다.
펼치기
오세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보스톤컬리지에서 사회학 박사를 취득하였고 현재 서강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이다. 연구 관심 분야는 종교와 영성, 문화와 사회운동, 행복과 삶의 질 등을 포괄하며, 통계 분석과 질적 방법론을 통해 사회현상의 구조적이고 심층적인 의미를 분석하는 학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이시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대학원 과정을 마치고 박사학위 논문을 집필 중이다. 사회학이론, 종교사회학, 비판이론을 주제로 연구하고 있으며, “한국 종교지형에 대한 이론 분석과 통합 과제”(공저), “‘두 개의 운동’으로서의 천성산 터널 반대 운동”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이정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기초교육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종교, 도시 공간과 불평등, 생활문화, 메가처치 등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최근 논문으로는 “1990년대 강남문화와 상류층의 ‘신성적 자기계발론’: 강남 상류층 교회의 신념(belief) 분석”, “서울, 자본의 도시와 교회의 비대화”, “근대성과 종교 연구에 대한 검토”, “근대적 인간과 전근대적 종교의 심원: 1970년대 성장주의와 여의도순복음교회” 등이 있다.
펼치기
임영빈 (옮긴이)    정보 더보기
미국 미시시피주립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 전문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최근 논문으로 “한국 종교 지형과 종교 척도,” “한국 무종교인에 관한 연구 : 무종교인과 탈종교인의 분화를 중심으로,” “천주교와 개신교의 현세 관점이 19세기 조선 선교에 끼친 영향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ception of Catholicism vs. Protestantism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Chos?n”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