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신종교의 사회운동사적 조명

한국 신종교의 사회운동사적 조명

박광수, 박승길, 박맹수, 차옥숭, 카미벳부 마사노부, 성주현, 남춘모, 유광석 (지은이)
집문당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250원
24,750원 >
25,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50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2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신종교의 사회운동사적 조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신종교의 사회운동사적 조명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88930317450
· 쪽수 : 339쪽
· 출판일 : 2017-02-17

책 소개

민중종교의 개벽사상과 구세이념은 새로운 사회를 갈망하고 대다수 민초들의 희망을 대변하고 세계인식, 사회변화인식과 윤리의식, 가치관과 민족관 등이 응축되어 있다. 근현대의 신종교에 대한 연구는 많은 학자들이 역사와 사상사적 관점에서 주목할 만한 연구업적이 축적되어 왔다.

목차

책을 발간하며

일제강점기(1910-1945) 조선총독부의 종교정책과 한국사회 종교지형의 변화-박광수
Ⅰ. 서설
Ⅱ. 동아시아 전통의 ‘교(敎)’ 개념
Ⅲ. 메이지시대의 ‘종교(宗敎)’ 개념과 신도의 국교화
1. ‘종교(宗敎)’ 개념의 탄생
2. ‘유사종교(類似宗敎)’ 개념과 ‘신도비종교론(神道非宗敎論)’
Ⅳ. 조선총독부의 종교정책과 종교지형의 변화
1. 조선총독부의 ‘종교의 도구화’ 정책
2. ‘유사종교’화된 민족종교
3. 탄압받는 조선의 신종교
Ⅳ. 결 론

종교시장적 지형 속의 신종교운동과 종교지형 변화-박승길
Ⅰ. 머리글
II. 해방공간에서의 종교시장의 형성과 변형
III. 이승만정권과 종교시장 통제정책
IV. 종교시장의 재건과 개발, 성장, 발전
V. 신종교운동의 성장 토양과 방향

동학계 신종교의 사회운동사-박맹수
Ⅰ. 조선후기의 사회운동-민란의 시대
Ⅱ. 동학의 사회운동-1894년 동학농민혁명
1. 동학 창도와 전파
2. 동학의 사회운동-1894년 동학농민혁명
Ⅲ. 동학농민혁명 이후의 사회운동
1. 의병
2. 영학당과 활빈당
3. 동학의 분화와 신종교

대종교인의 독립운동과 사상의 변천 양상-차옥숭
Ⅰ. 들어가는 말
Ⅱ. 본론
1. 백포 서일(白圃 徐一, 1881-1921)
2. 백암 박은식[白巖 朴殷植, 1859-1925, 필명은 겸곡(謙谷)]
3. 단재 신채호(丹齋 申采浩, 1880-1936)
4. 우당 이회영(友堂 李會榮, 1867-1932)
Ⅲ. 나가는 말

사찰령(1911년)의 제정 과정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카미벳부 마사노부(上別府正信)
Ⅰ. 서론
Ⅱ. 근대에 있어서 한일 종교상황
1. 일본에 있어서 종교상황: 명치시대(明治時代) 전후
2. 조선에 있어서 종교상황: 조선의 개국
Ⅲ. 식민지 조선에 있어서 일본 불교의 유입
1. 진언종대곡파(眞宗大谷派)의 개교(開敎)
2. 일련종(日蓮宗)과 승려 도성출입금지 해제
3. 원흥사(元興寺) 창건, 원종종무원(圓宗宗務院) 설립과 광무(光武) 6년의 사찰령(寺刹令)
4. 조동종(曹洞宗)과 원종종무원(圓宗宗務院)-조동종(曹洞宗)의 조선불교 병합(倂合)계획
Ⅳ. 조선총독부제령 제7호 사찰령(1911년)-조선불교계 수용과 대응
Ⅴ. 1945년 이후 일본 종교정책
1. 1945년 이후 일본 종교정책
2. 1945년 이후 한국 종교정책
Ⅵ. 결론

1920년대 유림계의 ‘내지시찰’-성주현
Ⅰ. 머리말
Ⅱ. 내지시찰의 일정과 시찰지역
Ⅲ. 내지시찰의 구성원과 시찰 소감
Ⅳ. 맺음말

한국 신종교 신자들의 신앙적 특징과 종교적 지향성 비교분석-남춘모
Ⅰ. 머리말
Ⅱ. 연구디자인 및 가설
1. 조사개요 및 대상
2. 조사모형 및 연구가설
Ⅲ. 통계처리 및 분석 결과
1. 신앙적 특징 분석-기성종교와의 비교
2. 이원적 분석(신종교 4개 교단 신자들 비교)-추론통계
3. 경로분석
Ⅳ. 요약 및 결론
1. 기성종교와의 비교를 통해서 본 신종교 신자들의 신앙적 특징
2. 신종교 교단별 이원적 분석 비교-신종교 간 비교
3. 경로분석-신종교 교단 간 비교
4. 분석결과 요약 및 금후 과제

종교관련 해외 데이터베이스에서 한국 종교소수자의 현황과 문제점-유광석
Ⅰ. 서론
Ⅱ. 숫자에 대한 믿음
Ⅲ. 숫자와 범주들
Ⅳ. 믿음에서 의심으로

저자소개

박맹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불교 교무이자 한국근대 역사 및 사상 연구자로 오랜 기간 활동했다. 동학농민혁명에 관해 다수의 연구를 발표하고 관련 활동에 참여했다.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교수와 같은 학교 총장을 역임하고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 『사료로 보는 동학과 동학농민혁명』 『개벽의 꿈 동아시아를 깨우다: 동학농민혁명과 제국일본』 『생명의 눈으로 보는 동학』 등이 있다.
펼치기
차옥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학과 및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프랑크프르트 대학에서 종교학으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일장신대학교 교수와 이화여자대학교 HK 연구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 『한국인의 종교 경험 : 巫敎』, 『한국인의 종교 경험 : 천도교 대종교』 등이 있고, 공저서로는 『한국인의 생명 사상의 뿌리』, 『동아시아의 여신 신화와 여성 정체성』 등이 있다. 편저서로 『기독교사 자료집』 I~IV, 역서로 『오늘의 신학 무엇인가』(위르겐 몰트만)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전쟁 폭력 여성 : 오키나와 전장의 기억을 중심으로」, 「오키나와 전쟁의 국가 폭력에 대한 분석」, 「동서 교섭의 관점에서 본 몸과 마음 이해 : 동학과 스피노자를 중심으로」, 「인간과 자연의 소통 불가능성의 가능성 : 멕페이그와 해월 사상을 중심으로」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박광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졸업, 미국 아이오와 대학 비교종교학 문학석사 위스콘신 매디슨대학 불교학 철학박사. 웨스트버지니아 대학 조교수 역임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교수·종교문제연구소 소장 -주요업적 『한국 신종교의 사상과 종교문화』(2012) (2013년대한민국학술원우수도서) 『근대 한국과 일본의 공공성』1, 2(2015, 공저) 『한국신종교 지형과 문화: 종교운동의 역사적 전개와 사상의 시대적 변화』(2015, 공저) The Won Buddhism (Wonbulgyo) of Sot'aesan: A Twentieth-Century Religious Movement in Korea(1997) The Role of Religious and Philosophical Traditions in Promoting World Peace - An Asian Perspective (2007, 공저) Religion in Korea,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ㆍKorean Conference on Religion & Peace(2003,공저)
펼치기
카미벳부 마사노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chuo univiersity) 법학부 정치학과(법학사) 중앙대학(chuo univiersity) 대학원 총합정책연구과 석사, 박사 서울대학교 국제지역원 한국학 전공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종교학과 철학박사 서울여자대학교 인문대학 일어일문학과 전임강사
펼치기
박승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문학박사 동대학원 사회학과 명예교수 『현대 한국사회와 SGI』(2008), 『현대신종교의이해』(1994, 공저) 『21세기종교사회학』(사회학총서 2, 2013, 공저) On Secularization: Towards a Revised General Theory (현대세속화이론, 2008, 공역)
펼치기
유광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캐나다 오타와대학(University of Ottawa)에서 종교사회학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희대학교 사회학과 학술연구교수를 거쳐 현재는 국립코스타리카대학 한국학 파견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적 토대의 종교시장이론을 한국 및 동아시아적 상황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주요 저(역)서로는 『현대한국의 종교시장정책론』(2019),『중국의 종교』(2017), 『종교경제행위론』(2016),『종교시장의 이해』(2014) 등이 있다.
펼치기
성주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대학원 사학과를 졸업,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근대사를 전공했으며, 동학, 천도교와 민족운동사를 연구하고 있다. 천도교중앙총부 자료실장, (사)한국역사문화원 대표,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참여자조사위원,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원, 숭실대학교 HK연구교수, 청암대학교 연구교수 등을 지냈다. 주요 저술로는 『식민지 조선과 매일신보: 1910년대』, 『동학과 동학혁명의 재인식』, 『왜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났을까』, 『시선의 탄생: 식민지 조선의 근대관광』, 『천도교에서 민족지도자의 길을 간 손병희』, 『식민지시기 종교와 민족운동』, 『일제하 민족운동 시선의 확대』, 『근대 신청년과 신문화운동』, 『관동대지진과 식민지 조선』, 『근대전환기 서구문명의 수용과 민족운동』, 『일제강점기 종교정책』, 『근대전환기 평택과 평택인의 삶』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