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서울사회학

서울사회학

(서울의 공간, 일상 그리고 사람들)

조성남, 전상인, 장원호, 이나영, 한신갑, 이상직, 한준, 조영태, 김미영, 박우, 신인철, 심재만, 오세일, 윤여상, 최설아 (지은이), 변미리, 서우석, 김백영, 김지영 (엮은이)
나남출판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000원 -0% 0원
240원
23,760원 >
24,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400원
21,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서울사회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서울사회학 (서울의 공간, 일상 그리고 사람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30089159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7-03-15

책 소개

서울에 대한 접근을 여러 각도로 시도한 책이다. 각자 관심분야가 다른 18명의 사회학자가 모여 ‘건강’, ‘종교’, ‘광장’, ‘편의점’, ‘러브호텔’ 등 다양한 키워드로 서울을 이야기한다. 4개의 큰 주제와 14개의 작은 장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프롤로그 5

제1부 격차사회의 불평등과 삶의 질

제1장 서울의 인구 조영태
1. 들어가며 25
2. 서울, 서울로: 이촌향(移村向) 서울! 27
3. 서울에서 수도권으로 30
4. 서울에서 태어나기 33
5. 서울에서 결혼하기 37
6. 서울의 가구원 수 40
7. 서울에서 사망하기 43
8. 나가며 45

제2장 서울의 노동, 사회의 불평등 한준ㆍ신인철
1. 들어가며 49
2. 일에서의 불평등 51
3. 경제적 소득의 불평등 56
4. 불평등에 대한 인식 60
5. 나가며 68

제3장 서울 어느 동네 누가 건강할까? 심재만
1. 들어가며 71
2. ‘시민’의 건강, ‘구민’의 건강 73
3. 유유상종 효과 및 그 너머 75
4. 어떤 자치구 효과가 존재하는가? 80
5. 자치구 효과는 자치구 내 모든 사회집단에서 고르게 나타나는가? 84
6. 나가며 87

제4장 청년세대, 피안은 어디인가?:
행복, 종교, 세대의 관계성 탐색 변미리ㆍ오세일
1. 들어가며 99
2. 종교와 행복의 관련성에 대한 기존의 시각 101
3. 청년세대는 탈종교화 경향을 보인다 105
4. 종교는 강남/서초 등 중상층 거주지역, 여성 청년에게 더 가깝다 108
5. 일상생활과 종교의 관련성은 종교유형별로 상이하다 110
6. 청년세대에게 종교와 믿음은 어떤 의미인가? 113
7. 나가며 117

제2부 도시공간과 일상생활의 변화

제5장 서울의 광장문화,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 김백영
1. 한국의 광장 125
2. 한국 광장문화의 역사적 기원을 찾아서 127
3. 광장문화의 유형학: 과시형 광장과 소통형 광장 130
4. 조선시대의 상언과 격쟁에서 독립협회의 만민공동회까지 133
5. 일제하 서울 시내 광장의 형성과 활용 138
6. 4ㆍ19와 5ㆍ16의 공간사회학 142
7. ‘한강의 기적’과 1980년대 학생운동의 가두시위 147
8. 21세기 새로운 광장문화를 꿈꾸며 151

제6장 금 긋기의 곤혹스러움:
서울의 문화지리, 그 윤곽과 경계 한신갑
1. 두 가지 금 긋기 157
2. 첫 번째 금 긋기: 지리적 강남 162
3. 두 번째 금 긋기: 사회경제적 강남 165
4. 금 긋기의 곤혹스러움: 서울의 사회학 172

제7장 편의점으로 읽는 서울의 공간과 일상 전상인ㆍ최설아
1. 편의점으로 서울 읽기 177
2. 공간분석: ‘편의점 도시’ 서울 179
3. 일상연구: 편의점과 ‘서울살이’ 191
4. 편의점 ‘사용설명서’ 203

제8장 욕망의 문화사회사, 한국의 러브호텔 이나영
1. 들어가며 205
2. 불온한 성매매 공간으로서의 여관: 포스트/식민, 도심 하위문화로서 밤 공간의 탄생 210
3. ‘장급여관’과 ‘러브호텔’의 등장: 발전국가와 분열된 섹슈얼리티 217
4. ‘부티크 모텔’의 탄생: 후기자본주의사회의 놀이와 쾌락의 공간으로 228
5. 나가며 234

제3부 도시경제와 소비문화

제9장 강남 문화경제의 사회학:
문화산업과 뷰티산업의 결합 서우석ㆍ변미리
1. 소비ㆍ주거에서 생산으로 241
2. 문화산업과 뷰티산업의 결합 244
3. ‘강남’이라는 장소의 생산 252
4. 강남 문화경제의 진화 256

제10장 서울의 한류 씬 장원호
1. 도시 씬의 개념 259
2. 한류현상의 개요와 현황 261
3. 서울의 한류 씬 265
4. 서울의 한류 씬과 초국적 문화공동체 277

제11장 서울, 호텔로 말하다 김미영
1. 호텔과 도시, 그리고 서울 281
2. 서울의 호텔, 전형(典型)과 변형(變形) 283
3. 서울의 호텔, 숙박 그 이상의 공간 292
4. 나가며 301

제4부 소수자들의 생활세계

제12장 서울의 노숙인, 노숙인의 서울 이상직ㆍ한신갑
1. 서울의 노숙인 305
2. 서울에 오다 309
3. 노숙을 시작하다 314
4. 노숙장소의 의미 320
5. 노숙인의 서울 326

제13장 ‘초국적 상경’과 서울의 조선족 박 우
1. 서울의 조선족, 그들은 누구인가? 329
2. ‘만주드림’의 잔상, ‘사회주의적 인간’으로 설정되다 331
3. 중국식 자유주의, ‘코리안드림’을 배태하다 333
4. 한국의 신자유주의, ‘코리안드림’을 현실화하다 337
5. ‘코리안드림’은 서울에서 실현되고 있다 340
6. ‘초국적 상경’과 조선족의 의미 346
제14장 이방인 아닌 이방인, 탈북자 윤여상
1. 서울의 이방인, 서울살이를 꿈꾼다 351
2. 남한살이, 서울살이의 현재 354
3. 서울 시민, 그러나 출발선이 다른 이방인 359
4. 북한과 제3국 출생 탈북청소년의 서울살이 366
5. 이방인에서 탈출하기, 성공할 것인가? 375

에필로그 381
찾아보기 393
저자 소개 397

저자소개

조성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와이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국제교육원 원장과 사회과학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리더십개발원 원장을 맡고 있다. 전국여교수연합회장, 한국사회학회장, 한국사회과학협의회 부회장, 평화의료재단 총재를 지냈고, 지금은 한국가족문화원 이사장과 그린리더스포럼 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연구 분야는 의료보건사회학, 고령화와 노인문제, 글로벌 시대의 다문화사회 및 생애주기별 커뮤니티 건강성 연구 등으로, 다양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펼치기
전상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브라운 대학 사회학과 석사 및 박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계획 이론’, ‘도시사회학’, ‘공간의 문화사회학’ 등을 가르쳤고, 2023년 정년퇴임해 현재 명예교수이다.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를 지냈고, 미국 워싱턴 주립대학과 일본 히토쓰바시 대학에 방문 교수로 재직한 적이 있다. 한국미래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고개 숙인 수정주의: 한국현대사의 역사사회학』, 『아파트에 미치다: 현대한국의 주거사회학』, 『편의점 사회학』, 『공간으로 세상 읽기: 집·터·길의 인문사회학』, 『공간 디자이너 박정희』, 『도시계획의 사회학』 등이 있고, 칼럼집으로 『세상과 사람 사이』, 『헝그리 사회가 앵그리 사회로』가 있다.
펼치기
장원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시카고 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8년부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연구 지원사업(Social Science Korea, SSK)의 지원으로 글로컬문화·공감사회연구센터를 운영하면서 한국사회에서 사회적 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저서로는 『한류와 아시아 팝문화의 변동』(공저), 『레드퀸 레이스의 한국 교육』, 『공감, 대한민국을 바꾼다』(공저) 등이 있고, 공감과 관련한 다수의 논문을 국제저명학술지에 게재하였다.
펼치기
이나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여성학 박사로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포스트식민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이론과 실천을 고민하면서, 일본군성노예제, 미군 기지촌 ‘위안부’, 성매매, 여성운동과 섹슈얼리티와 관련된 주제에 천착해 왔다. 논문으로는 “Un/forgettable histories of US camptown prostitution in South Korea : Women’s experiences of sexual labor and government policies”(2018), <여성혐오와 젠더차별, 페미니즘: ‘강남역 10번 출구’를 중심으로>(2016) 등이 있으며, 지은 책으로는 《여성주의 역사쓰기 : 구술사 연구방법》(공저, 2012), 《다시 보는 미디어와 젠더》(공저, 2013), 《젠더와 사회》(공저, 2014), 《누가 여성을 죽이는가》(편저,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이나영의 다른 책 >
한신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교수. 주요 연구 분야는 사회조직(사회연결망/네트워크분석, 조직과 제도, 경제사회학, 사회계층의 구조와 과정), 경력과 생애사, 문화소비/소비문화, 사회사/역사사회학, 방법론(텍스트, 시간/공간) 등이다. 최근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막힌 길 돌아서 가기: 남북관계의 네트워크 분석』(2013), “빅데이터와 사회과학하기”(2015), “나이테 다시 그리기: 사회적 역할 구분에 따른 연령구분의 재설정”(2014, 김이선 공저), “The Other Ride of Paul Revere: The Brokerage Role in the Making of the American Revolution”(2009) 등이 있다.
펼치기
이상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박사과정 수료. 저서 및 역서로 <한국의 노숙인: 그 삶을 이해한다는 것>(2013, 공저), <그들은 어떻게 최고의 정치학자가 되었나?>(2012, 공역)가 있다.
펼치기
한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조직사회학, 예술사회학, 삶의 질을 연구하고 강의한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사회 안의 조직, 조직 안의 사회』, 『BTS의 글로벌 매력 이야기』(공저)가 있으며, 「현대 한국 예술계의 변화와 발전」, 「문화예술 교육의 가치 분석 연구」, 「한국 근대적 음악계의 형성과 분화」, 「한국인의 문화적 경계와 문화적 위계구조」 등 예술사회학 관련 논문이 있다.
펼치기
조영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람들이 태어나고 이동하며 사망하는 인구 변동 현상을 연구하는 인구학자. 서울대학교 인구정책연구센터에서 인구로 사회를 읽고 변화를 예측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대한민국을 넘어 베트남, 미국, 인도네시아, 동유럽 등으로 연구 대상지를 확장하고 있다. 인구 변동의 원인뿐만 아니라 그 결과로 사회가 어떻게 변화하고 시장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 탐구한다. 저출산, 고령화, 수도권 집중 같은 인구 현상을 단순히 문제로 보기보다 미래를 준비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자원임을 설파한다. 저서로 《정해진 미래》 《인구 미래 공존》 《베트남의 정해진 미래》 《정해진 미래 시장의 기회》 《초저출산은 왜 생겼을까》(공저) 등이 있다. 이 책은 오늘날 인구가 감소하는 현상을 위기로만 보는 시각을 뛰어넘어 나와 내 가족에게 주어진 기회와 가능성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인구학 기본 개념부터 인구구조 변화, 글로벌 잘파 세대, 미래 시장 예측까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설계하기 위해 알아야 할 인구학의 핵심을 담았다.
펼치기
김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박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신인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심재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오세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보스톤컬리지에서 사회학 박사를 취득하였고 현재 서강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이다. 연구 관심 분야는 종교와 영성, 문화와 사회운동, 행복과 삶의 질 등을 포괄하며, 통계 분석과 질적 방법론을 통해 사회현상의 구조적이고 심층적인 의미를 분석하는 학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윤여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최설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변미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연구원 도시사회연구실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고, 미국 매사추세츠대 앰허스트에서 초빙교수를 역임했으며 한국사회학회와 미래학회 이사로 활동 중이다. 관심 분야는 도시의 사회문화와 도시 구조의 변화를 둘러싼 원인과 결과 분석, 서울시와 세계 도시의 삶의 질 비교 연구, 미래 사회 발전 전략 등이며 공저로 『서울의 인문학』, 『도시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서울사회학』 등이 있다.
펼치기
김백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0년 부산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과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교토대학 방문연구원, 도시사학회 편집위원장, 미국 UC 샌디에이고 방문학자, 한국사회사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광운대학교 인제니움학부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표 저서 『지배와 공간: 식민지도시 경성과 제국 일본』(2009) 이외에 「4·19와 5·16의 공간사회학」, 「철도제국주의와 관광식민주의」, 「강남 개발과 올림픽 효과」, “Korean Studies between the Social Sciences and Historical Studies” 등의 논문과 『경계의 섬, 오키나와』, 『고도의 근대』, 『사회사/역사사회학』, 『서울사회학』 등의 공저가 있다.
펼치기
김지영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