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한국미술
· ISBN : 9788965642145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8-06-0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I 대중매체의 확산과 대중문화를 보는 시각의 변화
1 두 번의 미디어 혁명: 컬러 TV 보급에서 초고속 인터넷망까지
2 대중문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 대중문화를 바라보는 시각들
II 1980~1997년의 미술계와 매체 논의
1 민중미술,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신세대 미술
2 매체에 대한 인식과 논의
III 도시와 대중문화, 그리고 시각 이미지
1 대중매체 이미지의 차용과 매체 특성의 전유
2 도시, 일상 그리고 정체성
IV 기술 기반 시각매체의 도입
1 이미지 시대와 사진
2 복합매체 및 설치미술
3 영상 및 테크놀로지 기반의 미술
V 시각문화와 문화연구
1 미술 개념의 확장과 제도비판
2 문화연구
나가며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본격적인 대중매체 시대에 들어선 시기인 1980~1997년 사이에 대중매체가 확산되는 데 따른 미술계의 변화를 살핀다. 시기 구분에 있어서 1980년을 기점으로 삼은 이유는 한국 대중매체사의 중요한 획을 긋는 사건이자 전격적인 대중매체 확산의 신호탄이 된 컬러 TV의 보급과 방송이 이루어진 해가 1980년이기 때문이다. 연구의 하한 시기를 1997년으로 제한한 것은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가 실시된 시점이 1998년임을 감안해서이다.
― 「들어가며」
1980~90년대에 우리는 두 번의 ‘미디어 혁명’을 경험했다. 1980년의 컬러 TV 방영과 1998년의 무선 인터넷망의 보급이 그것이다. 또한 이 시기에 우리 사회는 정치·경제·사회·문화 등의 모든 국면에서 커다란 변화가 일어난 때였다.
― Ⅰ장 「대중매체의 확산과 대중문화를 보는 시각의 변화」
80년대 전반 당대를 대중매체 시대로 인식한 현실과 발언은 모더니즘적인 고급미술과 대중문화의 구분에 회의하며 시각문화 전반에 대해 각성하고 삶과 미술의 간극을 좁히고자 소통으로서의 매체에 주목한다. 이는 ‘예술을 위한 예술’을 지향한 70년대 단색화식의 재귀적 작품 이해 방식에서 벗어나 예술이 사회에서, 그리고 사회의 변화에 따라 무엇을 담아내고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태도는 예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고민을 근간으로 한다는 점에서 동시대성에 대한 고민과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 Ⅱ장 「1980~1997년의 미술계와 매체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