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세트] 한국 미술 다시 보기 1~3 - 전3권

[세트] 한국 미술 다시 보기 1~3 - 전3권

김이순, 송희경, 신정훈, 정무정, 김종길, 박영택, 이선영, 임산, 기혜경, 김장언, 신보슬, 장승연, 정현 (엮은이)
  |  
현실문화
2022-12-15
  |  
1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117,000원 -10% 0원 6,500원 110,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세트] 한국 미술 다시 보기 1~3 - 전3권

책 정보

· 제목 : [세트] 한국 미술 다시 보기 1~3 - 전3권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현대미술
· ISBN : K312830442
· 쪽수 : 1488쪽

책 소개

‘한국 미술 다시 보기’ 시리즈는 한국 현대미술의 다종다양한 흐름과 운동을 포괄하기 위해 전후부터 2008년까지의 미술사를 다양한 키워드로 접근하고 있다.

목차

<1권 목차>
전후-1970년대: 현대의 욕망, 굴절, 응시

1부 전위
무엇이 ‘새로운 미술’인가?: 1950-70년대 미술인들의 전위 인식 / 김이순
문헌 자료

2부 추상
1950-70년대 한국 미술에서의 추상 / 신정훈
문헌 자료

3부 전통
1950-70년대 동양화단의 ‘전통’ / 송희경
문헌 자료

4부 냉전과 국제교류
‘냉전’과 ‘국제교류’로 읽어보는 1950-70년대 한국 미술 / 정무정
문헌 자료

5부 좌담
1960년대 현대의 분출: ≪청년작가연립전≫을 중심으로
1970년대의 한국의 전위미술: 평면, 오브제, 행위
현대의 욕망: 전후-1970년대 동양화단을 중심으로

한국 현대미술 연표: 1950-70년대
참고 문헌

<2권 목차>
1980년대 한국 현대미술 서론

1부 민중미술
1980년대 민중미술운동
문헌 자료

2부 한국화
1980년대 동양화단의 흐름과 담론
문헌 자료

3부 여성주의 미술
1980년대와 여성, 그리고 여성주의 미술
문헌 자료

4부 포스트모더니즘
1980년대 한국 현대미술의 분화: 모더니즘 ‘이후’의 담론과 실천의 의미
문헌 자료

5부 좌담
1980년대 ‘운동으로서의 미술’
1980년대 소집단 미술: 충동과 정열
1980년대 미술, 리얼리티와 모더니티: 작가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용어 해제
한국 현대미술 연표: 1980년대
참고 문헌

<3권 목차>
1990년대 이후 미술 연구

1부 연대기적 지형

1980년대 말 / 대중매체의 확산과 이미지 시대의 도래 / 기혜경
문헌 자료

1990년 /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지식 생산의 장 / 김장언
문헌 자료

1991년 / 현대미술로서의 사진 / 신보슬
문헌 자료

1992년 / ≪압구정동, 유토피아 디스토피아≫—시각문화연구의 시작 / 정현
문헌 자료

1993년 / ≪휘트니 비엔날레 서울≫, 복합매체와 복합문화주의 / 장승연
문헌 자료

1994년 / 페미니즘으로 촉발된 정체성 정치 / 기혜경
문헌 자료

1995년 / 예술제도, 세계화의 밑그림 / 정현
문헌 자료

1996년 / 비디오 아트, 설치에서 싱글 채널까지 / 신보슬
문헌 자료

1997년/ 제회 광주비엔날레 ≪지구의 여백≫, 담론으로서의 비엔날레 / 김장언
문헌 자료

1998년 / 세계화 시대의 변화하는 작가상 / 기혜경
문헌 자료

1999년 / 온/오프라인 문화 플랫폼의 확장 / 장승연
문헌 자료

2000년 / ‘미디어시티_서울’과 한국 미디어 아트의 행방 / 신보슬
문헌 자료

2001년 / 뉴밀레니엄, 거대 서사의 해체와 회화의 위기 / 장승연
문헌 자료

2002년 / 미술에서 시각예술로 / 정현
문헌 자료

2003년 / (동)아시아 미술을 둘러싼 실천들 / 신보슬
문헌 자료

2004년 / 전시는 어떻게 미술사를 재구성하는가! / 장승연
문헌 자료

2005년 / 안양공공미술프로젝트와 미술의 공공성 논의 / 기혜경
문헌 자료

2006년 /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문화예술 정책 / 김장언
문헌 자료

2007년 / 미술시장과 자본 / 정현
문헌 자료

2008년 / 다원예술의 안과 밖 / 김장언
문헌 자료

2부 좌담

1990년대 이후 공공성 담론
붕괴와 접합: 불/가능한 전시기획
혼돈의 2000년대를 보는 법

전시로 보는 한국 현대미술 연표: 1990년대-2008년

저자소개

박영택 (글)    정보 더보기
한국 현대미술 작가들의 삶과 작품에 누구보다 밀착해 있는 미술 평론가로, 1980년대 후반부터 수많은 작가와 작품을 만나며 한국 현대미술의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성균관대학교에서 미술교육을 공부했으며, 동 대학원에서 미술사를 공부했습니다. 그 뒤 뉴욕 퀸스 미술관에서 큐레이터 연수를 마치고, 금호미술관에서 10여 년간 큐레이터로 일했습니다. 현재는 경기대학교 예술학과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또한 1997년 제2회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큐레이터, 2010 아시아프 전시 총감독, 2013 강정 대구현대미술제 전시 총감독을 지내는 등 60개 이상의 전시를 기획했으며 수백 편의 리뷰, 전시 서문, 작가론 등을 썼습니다. 한국 근현대 미술 관련 논문으로 〈식민지 시대 사회주의 미술운동의 성과와 한계〉〈권옥연의 회화세계-인물화를 중심으로〉〈박생광의 그림을 통해 본 무속적 세계관〉〈박정희 시대의 문화와 미술〉〈김환기의 백자 항아리 그림과 문장지의 상고주의〉 등이 있으며, 지은 책으로는《예술가로 산다는 것》《식물성의 사유》《나는 붓을 던져도 그림이 된다》 《얼굴이 말하다》《애도하는 미술》《테마로 보는 한국 현대미술》《한국 현대미술의 지형도》《앤티크 수집 미학》《민화의 맛》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정무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덕성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서양미술사학회와 한국미술사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최근 냉전의 정치적, 사회적 배경 및 시각미술과 냉전 문화의 상관관계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공저로 『한국미술 100년 1』(2006), 『한국미술 1900-2020』(2021)이 있고, 「록펠러 재단의 문화사업과 한국미술계 (I)」(2019), 「아시아재단과 1950년대 한국미술계」(2019), 「록펠러 재단의 문화사업과 한국미술계 (II)」(2020), 「춘추회와 1960년대 한국현대미술」(2020) 등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김이순 (옮긴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교수. 한국 근현대미술사와 전통미술사에서 왕릉 석물에 관한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현대조각의 새로운 지평』(2005), 『한국의 근현대미술』(2007), 『대한제국 황제릉』(2010), 『조선왕실 원(園)의 석물』(2016)이 있으며, 공저로 『근대와 만난 미술과 도시(2008), 『시대의 눈: 한국 근현대미술작가론』(2011), Images of Famillial Intimacy in Eastern and Western Art (2014), Korean Art From: Collision, Innovation, Interaction (2020), 한국미술 1900-2020(2021) 등이 있다.
펼치기
임산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덕여자대학교 큐레이터학과 교수. 대안공간 루프 큐레이터, 『월간미술』 기자, 아트센터 나비 큐레이터를 역임했다. 《미술과 건축의 만남: ‘사이’에 대한 탐구》(2002)와 《소리공동체》(2015) 등의 전시를 기획했으며, 『청년 백남준: 초기 예술의 융합 미학』(2012), 『컨텍스트 인 큐레이팅1: 20세기 모던아트 전시의 실험』(2016) 등의 저서가 있다. W.J.T. 미첼의 『아이코놀로지: 이미지, 텍스트, 이데올로기』(2005), 에르빈 파노프스키의 『시각예술의 의미』(2013), 알린 골드바드의 『새로운 창의적 공동체: 예술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2015)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신정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미국 빙엄턴 소재 뉴욕주립대 미술사학과에서 1960년대 이후 서울의 변화와 미술의 전환이 교차하는 지점들을 조명하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박사후연수연구원 및 한국예술종합대학교 한국예술연구소 학술연구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와 협동과정 미술경영의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묵, 김수근, 김구림, 현실과 발언, 최정화, 박찬경, 성남프로젝트, 플라잉시티에 대한 논문과 에세이가 있다. 공저로 『한국미술 1900?2020』(국립현대미술관, 2021), Interpreting Modernism in Korean Art(Routledge, 2021), Collision, Innovation, Interaction: Korean Art from 1953(Phaidon, 2020)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기계, 우주, 전자: 1960년대 말 한국미술과 과학기술」, 「모방과 필연: 1950?60년대 한국미술비평의 쟁점」 등이 있다.
펼치기
신정훈의 다른 책 >
송희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옛 그림에 담긴 뜻을 탐구하는 데 힘쓰면서 여러 사람과 그 가치를 나누는 일에 관심이 깊다. 그 결과물로 『조선후기 아회도』(2008), 『아름다운 우리 그림 산책』(2013), 『대한민국의 역사, 한국화로 보다』(2016), 『사대부의 만남과 풍류의 장, 아회도』(2016), 『동아시아의 아름다운 스승, 공자』(2019) 등을 펴냈다. 어린이들에게 우리 옛 그림의 숨겨진 매력을 이야기해 주고 싶어 『이 그림을 왜 그렸는지 알아?』(2015)도 썼다.
펼치기
김종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술평론가, 경기도미술관 DMZ아트프로젝트 전시 예술감독. 민중미술을 연구하면서 유라시아의 인류학적 상상계가 펼친 철학적 구조를 통합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월간미술대상 장려상, 김복진미술이론상을 수상했다. 《경기천년도큐페스타: 경기 아카이브_지금,》(2018), 《시점時點·시점視點년대 소집단 미술운동 아카이브》(2019-2020) 등을 기획했고, 『포스트 민중미술 샤먼/리얼리즘』(2013), 『한국현대미술연대기 1987-2017』(2018) 등의 저서가 있으며, 공저로 『민중미술, 역사를 듣는다2—소집단 활동을 중심으로』(2021), 『한국미술 1900-2020』(2021)이 있다.
펼치기
김장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술평론가, 큐레이터. 월간 『아트』지 기자(2000), 대안공간 풀 큐레이터(2001–2002), 안양공공예술재단 예술팀장(2006–2007), 제7회 광주비엔날레 《제안전》 큐레이터(2008), 계원예술대학 겸임교수(2011–2014),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전시기획팀장(2014–2016),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2018 디렉토리얼 컬렉티브(2018) 등을 역임했다. 2009년에 설립한 동시대 미술 실험실인 ‘노말타입’을 2013년까지 운영했다. 저서로 비평집 『미술과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2012)와 『불가능한 대화: 미술과 글쓰기』(2018)가 있다. 2022년 현재 아트선재센터 관장으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이선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술평론가. 조선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 부문으로 등단했으며(1994), 웹진 『미술과 담론』 편집위원(1996-2006)과 『미술평단』 편집장(2003-2005)을 지냈다. 김복진미술이론상(2006), 한국미술평론가협회상(2009), AICA Prizes for Young Critics(2014)를 수상했다. 현재 미술평론가로 현장에서 활발히 활동 중이다.
펼치기
기혜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시립미술관 관장.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한국 근현대미술사로 석사와 박사를 마쳤다. 국립현대미술관 큐레이터를 거쳐, 북서울미술관 총괄, 현재는 부산시립미술관에 재직 중이다. 동시대 미술 현장에서의 경험과 고민을 바탕으로 박사 논문인 「대중매체의 확산과 한국현대미술: 1980–1997」을 비롯하여 동시대 예술의 변화 양상과 사회적 역할 및 한국 동시대 미술의 다양한 양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펼치기
정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술비평가, 전시기획자로 활동하고 있다. 미술비평을 배움의 방법으로 활용하며, 전시기획을 지식생산 및 연구의 실천으로 여긴다. 2018년부터 잇자잇자 사회적협동조합 대표이사를 맡아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를 가로지를 수 있는 ‘협동예술’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중이다. 현재 인하대학교 예술체육대학 조형예술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신보슬 (엮은이)    정보 더보기
토탈미술관 책임큐레이터. 아트센터 나비 큐레이터(2000-2002), 서울국제미디어아트비엔날레(미디어시티 서울) 전시팀장(2003-2005), 의정부디지털아트페스티벌 큐레이터(2005), 대안공간 루프 책임큐레이터 등을 역임했다. 2007년부터 토탈미술관에 재직중에 있으며, 안토니 문타다스, 게리 힐의 개인전을 기획하고, 이외에도 《The Show Must Go On》, 《Digital Playground》, 《로드쇼》, 《바틱 스토리》 등 다양한 형식의 플랫폼 기반 프로젝트를 기획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장승연 (엮은이)    정보 더보기
미술사 및 시각문화 연구자. 미술전문지 『아트인컬처』 기자, 편집장을 역임했다. 1990년대 한국 미술계의 ‘문화’에 대한 인식 전환과 확장 과정을 탐구하고, 관련 전시와 출판 등 다양한 미술 실천 사례를 고찰하는 미술사 박사학위 논문을 쓰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